$\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관리자의 일-가족전이가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ork-Family Spillover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of Women Manag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2, 2017년, pp.514 - 523  

전방지 (호서대학교 경영학부 글로벌창업) ,  이동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성 관리자가 경험하는 일과 가족 간 이중부담과 조직문화와의 관계가 조직애착 형성에 작용하는 기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 관리자 패널자료 중 4차, 5차 자료를 취합하고, 5차 자료 중 근속 여성 1,62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조직애착에 있어 일-가족 간 긍정관계 형성은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일하는 여성으로서 경험하는 조직과 가족의 지원은 여성 관리자가 경력을 유지함에 있어 가장 큰 동력이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여성 관리자의 조직애착은 일에서의 부정전이보다 가족에서의 부정전이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로자임에도 가족 내 여성으로서의 지위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이에 가족에서 발생하는 갈등관계는 여성의 조직애착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이다. 셋째, 3단계 모델에서 일-가족전이와 조직문화 간 상호작용 변수를 추가 투입한 결과, 조직애착에 대한 일-가족전이 및 조직문화의 독립적 영향력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력만 감지되었다. 구체적으로, 합리적 조직문화일 경우에 가족-일 긍정전이는 조직애착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일-가족 부정전이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일 부정전이와 합리적 조직문화의 결합은 조직애착을 높이는 반면, 전통적 조직문화의 경우 가족-일 부정전이는 부적 영향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여성이 경험하는 가족에서 일로의 부정전이가 조직애착을 약화시킬 수 있는데, 합리적 조직문화와 결합할 경우 오히려 여성의 조직애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 한편, 일에서 가족으로의 부정전이가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이와 같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처럼 전이의 방향성에 따른 상이한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에서 밝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직문화와 일-가족전이의 통합모델을 더욱 확대하여 관련 변수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고려하고, 여성 관리자 하위그룹 분석을 통해 여성 관리자 내부의 차이를 밝혀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ork-family spillover on the organizational attachment of female managers. The 4th and 5th data sets of Korean Women Manager Panel Survey establish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ere merged and the 5th data set for female managers was analyz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일-가족관계와 조직문화, 그리고 조직애착에 대한 위의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본 연구는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변수인 일-가족전이와 조직문화를 연구 모델에 통합하여 일-가족전이와 조직문화가 어떻게 여성 관리자의 조직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종속변수는 조직애착으로 선정하였으며, 독립변수 중 일-가족 관계를 각 일-가족 긍정/부정전이, 가족-일 긍정/부정전이 등 4개 변수로 세분화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일-가족전이는 조직애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조직문화는 조직애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일-가족전이는 조직문화 특성에 따라 조직애착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일 긍정전이와 부정전이란? 이에 본 연구는 일-가족 관계를 관계의 성격과 촉발 영역을 구분하여 일-가족 긍정전이, 일-가족 부정전이, 가족-일 긍정전이, 가족-일 부정전이로 나누어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 일-가족 긍정전이와 부정전이에 대한 정의는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업무 과중 등의 부담과 성취, 인정 등 긍정적 경험이 가족생활에 긍정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침이며, 가족-일 긍정전이와 부정전이의 개념은 가족의 지지와 인정 등 긍정지원과 가족의무 부담이 일에 미치는 긍정 혹은 부정적 영향을 의미한다.
일-가족 부정전이는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되나? 같은 맥락에서 여성 관리자가 속해 있는 조직문화가 시간 헌신 위주의 전통적·남성 중심적 조직이라면 일하는 여성으로서 가족에서 오는 부정적 영향은 본인이 아닌 조직이 원인이라 여길 수 있는 것이다. 즉, 가족-일 부정전이 문제는 여성 관리자가 어떤 조직에 속해있느냐에 따라 조직애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도 부정적으로 기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조직이란? 조직은 과업을 수행하기 구성된 유형의 실체이며, 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이 공유한 가치와 신념체계 또는, 드러나는 외부의 상징체계 즉, 언어, 의례 등으로 인식되기도 한다[16, 17]. 한편, Cameron과 Quinn[18]은 조직 문화를 리더십 유형, 일상 언어, 그리고 성공을 평가하는 수단 등 구성원이 공유하는 가치관의 체계라 보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조직문화에 접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ILO. "Women in Business and Management : Gaining Momentum", 2015. ILO. 

  2. Jae-Yoon Chang.,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Work-Family Conflict on the Attachment toward Organization and OCB"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7(1), 107-127, 2004. 

  3. Bang-Jee Chun.Mee-Ra Han., "Work and Family Role Conflict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Women Entrepreneurs in Contents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9), 150-165, 2008. DOI: https://doi.org/10.5392/JKCA.2008.8.9.150 

  4. Yejee Jeong. Jeongkoo Yoon,. Seeun Kim.,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The Reciprocal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korean management review, 45(5), 1271-1299, 2016 

  5. Kyung-Hwan, Park ., "The Influence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on the Managerial Compete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anagerial Women"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2), 879-905, 2012. 

  6. Young Mi, Sohn.Cheong Yeul, Park., "The compara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family support system on the married working women' work-family spillo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9(2), 111-125, 2014. 

  7. Sook-Yeon, Won., "Rhetoric or Reality? 'Practical' Functioning of Leave Policies for Maternity Protection and Child care"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14(2), 157-188, 2005 

  8. Sook-Yeon, Won., "Multi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Working Mothers: A Focus o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Work-Family Support",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3(3), 57-81, 2015. 

  9. Grzywacz, J.G, D. M. Almeida, & D. A. Mcdonald.,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 51, 28-36, 2002. DOI: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2.00028.x 

  10. Zedexk, S. Work, Family and Organization, San Francisco : Jossey-Bass, 1992. 

  11. Greenhaus, J. H & N. J. Beutell.,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1985. DOI: https://doi.org/10.2307/258214 

  12. Hye-Ryun, Kang.Hee-Jung Lim., "Work-Family Conflict and Career commitment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5(2), 1-14, 2000. 

  13. Soon-ok Jo.Hee-Su Lee., "The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of HRD policies in terms of lifelong stag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1(2), 127-151, 2009. DOI: https://doi.org/10.23840/agehrd.2009.41.2.127 

  14. Gutek, B. A., S. Seals & L. Klepa.,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ect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560-568, 1991.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76.4.560 

  15. Hyun-Wook, Kim.Tae-Yong, Yoo.,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The Influences of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ngagemen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2(2), 155-182, 2009. 

  16. Schein, E. H., "Dialogue and Learning" Executive Excellence, 12(4).3-4, 1995. 

  17. Eun-Jin, Chang.Jeeyon, Paek.,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Female Resourc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ompetenc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20(5), 1-23, 2013. 

  18. Cameron K. S. & R. E. Quinn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MA : Addison-Wesley, 1999. 

  19. Thomson. C. A, Beauvais, L. L. & K. S. Lyness.,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92-415, 1999. DOI: https://doi.org/10.1006/jvbe.1998.1681 

  20. Karen, S. L., "When work 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4, pp.392-415, 1999. DOI: https://doi.org/10.1006/jvbe.1998.1681 

  21. Thomas, L. T. & D. C. Ganster,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No.1, pp.6-15, 1995.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80.1.6 

  22. Eun-Ju Kim. In-Soo Han., "Work-Family Interfac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 Female Managers: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0) 2015.436-446. 

  23. Whayoun Choi. Chulyoung Jyung.,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female workers' work-family spillover factors",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8, 65-92, 2014. 

  24. Allen, N.J. &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3, 1990. DOI: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25. Kossek, E. E. & Ozeki. C., "Bridging the work-family policy and productivity gap : A literature review" Community, Work and Family 2, 7-32, 1999. DOI: https://doi.org/10.1080/13668809908414247 

  26. Nan-Jue Kim.Min-Jung Kang. Geon-Pyo Park .Byung-Yoo Jeon. Mi-Youn Park. 2015 Korean Women Manager Panel, Seoul :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5 

  27. Nan-Jue Kim. Min-Jung Kang. Geon-Pyo Park. Byung-Yoo Jeon. Moon-Jung Kang, 2014 Korean Women Manager Panel, Seoul :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4 

  28. Sook-Yeon, Won. Dongsun Lee., "The Effect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on Gender Gap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21(3), 325-360,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