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및 문제해결 역량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alysis of Impacts of Digital-Textbooks o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13 - 25  

차현진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혁신센터) ,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정광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이외 요인으로 학습자 역량 중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로 지정된 29개 학교에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 사후 검사 설계법(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활용하여 2014년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Cohen's d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약 0.2 정도의 효과크기로 적지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학교급, 학년, 성별)에 따른 학생들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년별, 학교급별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기조절학습에서는 4학년과 중 1 학생 모두 똑같이 3학년보다 좀 더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고, 문제해결능력에서는 4학년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SRL) and problem-solving (PS) competencies rather than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3^{rd}$ and $4^{th}$ grade element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에게 미칠 건강 문제 또는 교사들의 수업 운영 문제에 대한 논의[40]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학생들의 역량 뿐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 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장기적 측면에서의 추적 연구와 양적 연구에 대한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질적 연구를 통한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 및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규모의 연구학교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과 기존 양적 연구에서 대부분 영향 요소를 학업 성취도나 만족도를 중심으로 연구[ ]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정책 목적에 따라 21세기 학습자 역량의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가 연구 개발의 목적에 따라 미래 교육 환경에서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대규모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대규모의 학교에서 진행된 사전·사후 역량 변화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고 대조군이 없는 연구 설계로 인하여 해당 효과의 크기가 디지털교과서로 인한 어떤 부분인지가 명확하게 논의될 수 없다는 점에서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험 설계를 통해 구체적인 디지털교과서의 효과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 약 800명을 대상으로 21세기 학습자 역량 중 자기주도적학습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인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대규모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도 깊은 검증을 시행한 시도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이외 요인으로 학습자 역량 중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력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기존에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 분석을 통해 교과별 적합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고, 2014년부터 본 연구로부터 개발된 수업 모형이 전국 초·중등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교과서의 목적은 무엇인가? 디지털교과서는 교수자 중심의 지식을 전달하는 교과서의 개념을 넘어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구성해 나가고 풍부한 교육 자료와 자원을 접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다양화하며 학습자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시도로 시작되었다[18]. 디지털교과서는 최신 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통합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교수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본격적인 연구와 적용 노력을 수행해 왔다.
자기조절학습은 무엇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을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책임을 가지고 사고, 감정, 행동 등 학습 전략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12에서 재인용]. 이러한 능력은 학습자의 메타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적절한 학습 과정을 최적화하며 통제·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학습 전략을 고안해내며 이를 통해 의미 있는 학습 결과를 산출해 내는 능력이 될 수 있다[13].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이처럼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변인으로 인식 되어 학습의 결과로 학습의 효과성을 측정하려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을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책임을 가지고 사고, 감정, 행동 등 학습 전략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12에서 재인용]. 이러한 능력은 학습자의 메타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적절한 학습 과정을 최적화하며 통제·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학습 전략을 고안해내며 이를 통해 의미 있는 학습 결과를 산출해 내는 능력이 될 수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변호승, 류지헌, 송연옥,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3권, 제3호, pp.634-663, 2011. 

  2. 송연옥, 변호승,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1호, pp.27-53, 2013. 

  3. 장성준, 이문학, "국내 디지털교과서 연구 경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출판학연구, 제69권, pp.23-43, 2015. 

  4. 유제일, 김정랑,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197-206, 2015. 

  5. 김정랑, 김용신, 한선관, 김수환, 계보경, "스마트 교육.디지털교과서 효과성 검증 도구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357-370, 2014. 

  6. R. B. Barr and J. Tagg, "From Teaching to Learning-A New Paradigm For Undergraduate Education," 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제27권, 제6호, pp.12-25, 1995. 

  7.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http://www.p21.org/, 2015 

  8. 이명진, "자기조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 연구," 제39권, pp.161-193, 2011. 

  9. M. Pressely and C. B., McCormick, Advanced educational psychology for educators, researchers, and policymaker, NY: Harper Collins, 1995. 

  10. B. J. Zimmerman,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13-39, San Diego, CA: Academic, 2000. 

  11. 강민석, 임걸,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1014-1023, 2013. 

  12. 차현진, 박태정, "공개교육자원(OER)을 활용한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웹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 전략,"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16권, 제5호, pp.69-83, 2013. 

  13. 박성익, 김미경,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별 및 문제해결학습단계별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행태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6권, 제3호, pp.129-159, 2005. 

  14. 허희옥, 임규연, 서정희,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21세기 교수-학습 활동개발 시리즈1: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1-2, 2011. 

  15. R. Gagne, Studies of learning fifty years of research, Tallahassee, FL: Learning Systems Institute, 1989. 

  16. M. T. H. Chi and R. Glaser, Problem solving ability. In R. Sternberg (Ed.), Human abilities: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pp.227-257, San Francisco: W. H. Freeman & Co, 1985. 

  17. B. J. Zimmerman,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 J. Zimmerman, D.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Y: Springer-Verlag, 1989. 

  18. 김혜정, 임희석, "교사와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2호, pp.33-42, 2013. 

  1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연구(초등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2013-6_2, 2013. 

  2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연구(중등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 2013-6, 2013. 

  21. 계보경, 안성훈, 곽범덕, 유정재,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검사도구 안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RM 2014-13, 2014. 

  22. 권석원, 권용주, 양일호, 변정호, 이일선, 권승혁, 김순미, 박상희, 김윤영, 계보경, 정광훈,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학습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EG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121-138, 2015. 

  23.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8. 

  24.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5년 교육정보화 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5. 

  25. 교육부, 국정 디지털교과서 개발 추진 계획(안), 교육부, 2014. 

  26. P. R. Pintrich, A. F. Smith, T. Garcia, and W. J. McKeachie,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ional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Ann Arber, MI, 1991. 

  27. 양명희, 정윤선,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 및 구조 검증: 동기조절과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2호, pp.239-266, 2013. 

  28. P. P. Heppner, The problem-solving inventory manual,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8. 

  29. P. P. Heppner and C. H. Petersen,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제29권, 제1호, pp.66-75, 1982. doi: 10.1037/0022-0167.29.1.66 

  30. 김형수, 김동일,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에서 자기 평가 체계의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99-226, 2009. 

  31.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60829.22008193612, 2016-08-28, 

  32. 진경아, 디지털교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흥미요소 분석: 학습동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3. 윤수경, 김명지, 최준호, "디지털교과서 상호작용성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태블릿 PC 기반의 사회와 과학 디지털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205-222, 2014. 

  34. 이정윤,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분석: 자기 조절학습 전략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연구, 제46권, 제2호, pp.229-262, 2014. 

  35. 손미, 김소영,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사회과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지, 제24권, 제4호, pp.111-125, 2013. 

  36. 한선관, 김상홍,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습자 역량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207-214, 2015. 

  37. P. P. Heppner and C. E. Baker, "Applications of the Problem-solving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29, pp.229-241, 1997. 

  38. 서순식, 서정희, 황소희,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3권, 제3호, pp.263-271, 2009. 

  39. 허남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364-37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