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1, 2018년, pp.141 - 149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임현정 (단국대학교 교직교육과) ,  김정랑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에 초등학교 3~4학년을 패널로 선정하여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2016년에 초등학교 5~6학년이 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심체적 영역, 학습 역량 등을 평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3년간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5학년 학생들이 2년간 사용한 6학년 학생들보다 교육적 효과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3년 동안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면서 학생들의 심체적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교육적 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는 학생들의 성적이 높을수록, 디지털교과서를 더 많이 활용할수록, 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the 3~4 graded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and designated as panels in 2014 to conduct the longitudinal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tudents who were in grade 5 or 6 in elementary scho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러한 디지털교과서 효과에 대한 다양한 문제 제기를 해소하기 위해 2014년부터 김정랑 등은 디지털교과서 종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1차년도에 전국 36개 초등학교 연구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종단연구 패널을 구성한 뒤, 2016년까지 3년 동안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성을 측정하였다[4][5][6]. 본 연구에서는 3년간 추적한 설문 결과에 대한 횡단분석을 통해 디지털교과서가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심체적 영역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어떠했는지를 분석하였다.
  • 분산 분석은 사후 검정을 통해 독립 변인 간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독립 변인 중에서 해당 응답자의 수가 매우 적거나, 집단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Levene 등분산 검정 통계량(F값)을 확인한 후, 등분산일 경우에는 Scheffe 방법을 활용하여 사후분석을 하였으며, 등분산이 아닐 경우 Dunnett T3 방법을 활용하여 사후분석을 하였다.
  • 둘째, 교사의 변인은 연령대, 근무 경력, 1인당 디지털교과서의 연수 시간, 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을 조사하였다. 스마트교육 역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10].
  •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후 인지적 영역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능력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인 효과는 3.
  •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문 대상과 설문 내용,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해 응답자의 배경 변인을 다음과 같이 학생 요인, 교사 요인, 학교 요인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 1차년도에 전국 36개 초등학교 연구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종단연구 패널을 구성한 뒤, 2016년까지 3년 동안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성을 측정하였다[4][5][6]. 본 연구에서는 3년간 추적한 설문 결과에 대한 횡단분석을 통해 디지털교과서가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심체적 영역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어떠했는지를 분석하였다.
  • 학습역량은 사회과 학습 역량과 과학과 학습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기간과 비용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검사지를 별도로 개발하지 않고, 사회과와 과학과 학습 역량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설문을 통해 파악하였다.
  • 사회적 영역은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사회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Fig.
  • 우선, 인지적 영역은 문제 해결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능력으로 구분하였고, 정의적 영역은 자기효능감, 동기, 태도로 구분하였다. 사회적 영역은 의사소통, 협업능력, 사회성으로 구분하였고, 심체적 영역은 부정적 심리 증상과 긍정적 심리 증상을 포함하였다. 학습역량은 사회과 학습 역량과 과학과 학습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 셋째, 학교 변인은 패널 학생들의 소속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학교 연차, 학교 규모, IT 활용도, 정보화 지수를 활용하였다. 정보화지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매년 하반기에 전국의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학교 정보화 수준 진단 검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 스마트교육 역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10].
  • 심체적 영역에 대한 효과는 (Fig. 4)와 같이 부정적 심리 증상과 긍정적 심리 증상을 조사하였다. 부정적 심리 증상은 3.
  • 우선, 인지적 영역은 문제 해결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능력으로 구분하였고, 정의적 영역은 자기효능감, 동기, 태도로 구분하였다. 사회적 영역은 의사소통, 협업능력, 사회성으로 구분하였고, 심체적 영역은 부정적 심리 증상과 긍정적 심리 증상을 포함하였다.
  • 첫째, 학생 변인은 종단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의 성별, 학년, 지역 규모, 과목 선호도, 사회와 과학 성적을 활용하였다. 또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간과 활용 시간, 활용 과목, 활용 방법, 수업 환경에 대한 설문은 학생들의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 데 그 이유는 같은 반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응답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 학습 역량에 대한 효과는 디지털교과서가 만들어져 적용하고 있는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Fig.
  • 사회적 영역은 의사소통, 협업능력, 사회성으로 구분하였고, 심체적 영역은 부정적 심리 증상과 긍정적 심리 증상을 포함하였다. 학습역량은 사회과 학습 역량과 과학과 학습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기간과 비용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검사지를 별도로 개발하지 않고, 사회과와 과학과 학습 역량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설문을 통해 파악하였다.
  • 또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간과 활용 시간, 활용 과목, 활용 방법, 수업 환경에 대한 설문은 학생들의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 데 그 이유는 같은 반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응답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방법은 디지털교과서만을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교과서 중심으로 병행하는 경우, 서책 교과서를 중심으로 병행하는 경우, 서책 교과서만 활용하는 경우 등 4가지로 구분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14년에 구성한 학생 패널 중에서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은 [Table 1]과 같이 1,673명이 참여하였다. 2015년에는 1,525명으로 감소하였고, 2016년에는 1,510명으로 감소하였다.
  • 정보화지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매년 하반기에 전국의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학교 정보화 수준 진단 검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 학생 패널이 소속된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

데이터처리

  • 독립 변인 중에서 해당 응답자의 수가 매우 적거나, 집단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Levene 등분산 검정 통계량(F값)을 확인한 후, 등분산일 경우에는 Scheffe 방법을 활용하여 사후분석을 하였으며, 등분산이 아닐 경우 Dunnett T3 방법을 활용하여 사후분석을 하였다. 유의수준(p)은 95% 신뢰구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 분산 분석은 사후 검정을 통해 독립 변인 간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독립 변인 중에서 해당 응답자의 수가 매우 적거나, 집단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 집단간 평균 비교는 리커드 척도의 값을 ‘전혀 아니다’는 1, ‘아니다’는 2, ‘보통’은 3, ‘그렇다’는 4, ‘매우 그렇다’는 5와 같이 긍정적인 응답일수록 점수를 높게 주어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 학생 패널이 소속된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t 검정,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집단간 평균 비교는 리커드 척도의 값을 ‘전혀 아니다’는 1, ‘아니다’는 2, ‘보통’은 3, ‘그렇다’는 4, ‘매우 그렇다’는 5와 같이 긍정적인 응답일수록 점수를 높게 주어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교과서는 언제 처음 개발되었나? 디지털교과서는 2007년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계획’에 따라 초등학교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가 처음으로 개발되었다[8]. 2008년에는 초등학교 5학년의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음악 등 6개 과목이 개발되고, 6학년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 4개 과목이 개발되어 연구학교에 시범 적용되었다.
저자는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언제 어느 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나?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에 초등학교 3~4학년을 패널로 선정하여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2016년에 초등학교 5~6학년이 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심체적 영역, 학습 역량 등을 평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 분석의 배경 요인 3가지에 대해 설명하라. 첫째, 학생 변인은 종단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의 성별, 학년, 지역 규모, 과목 선호도, 사회와 과학 성적을 활용하였다. 또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간과 활용 시간, 활용 과목, 활용 방법, 수업 환경에 대한 설문은 학생들의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 데 그 이유는 같은 반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응답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방법은 디지털교과서만을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교과서 중심으로 병행하는 경우, 서책 교과서를 중심으로 병행하는 경우, 서책 교과서만 활용하는 경우 등 4가지로 구분하였다. 둘째, 교사의 변인은 연령대, 근무 경력, 1인당 디지털교과서의 연수 시간, 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을 조사하였다. 스마트교육 역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10]. 셋째, 학교 변인은 패널 학생들의 소속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학교 연차, 학교 규모, IT 활용도, 정보화 지수를 활용하였다. 정보화지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매년 하반기에 전국의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학교 정보화 수준 진단 검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yungro Lim (2012).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on Digital Textbook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Policy Mak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2), 317-346. 

  2. Heasook Yi, Sungryong Kwon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Digital Textbook - Focused on Stacking Cubes Activities in 6th Grade.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3(1), 97-114. 

  3. Heejun Lim, Philseok Oh (2014). Research Article : A Critical Approach to an Elementary Science Lesson Using a Digital Science Textbook.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2), 270-285. 

  4. Jeongrang Kim, Youngsik Jeong, Hyunjung Im, Junghoon Leem (2015). A Longitudinal Study on the Use and Effect of Digital Textbooks(the 2nd year).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 Jeongrang Kim, Youngsik Jeong, Hyunjung Im, Junghoon Leem (2016). A Longitudinal Study on the Use and Effect of Digital Textbooks(the 3rd year).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 Jeongrang Kim, Youngsik Jeong, Hyunjung Im, Seona Kwon (2014). A Longitudinal Study on the Use and Effect of Digital Textbooks(the 1st year).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7. Jihyeon Kim, Changil Roh, Chungman Ha, Kyungjin Seo, Seokchan Yoon, Sangbum Ham, Bongjin Jang, Seunghwan Ji, Beomsoon Choi, Gwangsoon Jeong (2011). Smart Education Platform Implement Strategy :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Issue Report RM 2011-36. 

  8. Junghoon Leem (2010). Digital Textbook-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 Main Issues and Future Task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9(1), 87-114. 

  9.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4). A Guide to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material, GM 2014-2. 

  10. Kwanghoon Jeong, Bokyoung Kye (2014). Study on Digital Textbook Model Schools Performance Analysis : Focused on the 2008-2012 Operational Research Schools.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CR 2014-3. 

  11. MEST (2011). The Road t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Smart Education Strategy Pl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2. Seonga Jeong (2013). The Effect of Using Web-based Digital Science Textbook in STS Class o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jor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Seungyeon Han, Jihun Ryu, Minjung Kim (2014). Research on classroom interaction of using digital textbook: Focused on math and science teach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6(3), 533-560. 

  14. Seyeoung Chun, Meae Jeon, Inja Bang (2014). Analysis of the Effects on Using Digital Textbook in the Classroom for Smart Educatio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7(3), 137-161. 

  15. Sunyoung Choi, Jeonghee Seo (2009). The Effect of Using Digital Science Textbook o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2), 132-141. 

  16. Youngju Joo, Eugene Lim (2015).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satisfaction of using digital textbooks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9(2), 239-2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