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쟁점 분석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 탐색 연구
Analysis of the Focal Issues on the Digital Textbook Policy and Explo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8, 2017년, pp.15 - 23  

장덕호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4차원적 모형을 활용하여 2018년 본격 시행을 앞둔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로 그동안 축적된 정책문서와 학술논문, 신문기사 등을 활용하여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별로 주요 이슈를 도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규범적 차원에서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입각한 교과서관 극복이,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육과정기반형 교과서체계로의 전환과 교육부 내 정책추진 조직의 안정화가, 구성적 차원에서는 핵심정책 실행자들 간의 협력과 충분한 역량 발휘를 위한 관심과 지원이, 마지막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디지털교과서을 활용한 수업모형의 개발 및 확산과 교사들의 ICT 역량의 강화가 요청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목표의 명확화, 중장기적 관점에서 학교급별 과목별 우선순위의 설정, 핵심참여자인 교사와 학생의 의견수렴을 위한 장의 마련 등을 향후 연구 및 실천과제로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교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성과가 지속적으로 도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체계의 혁신과 현장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of digital textbook policy in Korea, using the four dimensional model of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 Building upon systematic review of the policy documents, journals, and articles, I found some issues and implications for the betterment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지털교과서의 본격적인 적용 및 시행을 앞두고 본 연구에서는 교육정책분석에서 활용되고 있는 Cooper et al.[13]의 4차원 모형(Four Dimensional Model)을 활용하여 이 정책이 얼마나 교육현장의 규범과 가치와 부합하는지, 구조적 측면에서 체계성은 제대로 갖추었는지, 구성적 측면에서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있는지,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 핵심기술의 적용을 위한 모형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역량은 충분한 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성공적 시행 및 정착을 위한 개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추진과정에서 적지 않은 연구학교의 지정과 관련 교사에 대한 연수 노력이 있어 왔지만 대부분은 일부 학교 교사의 자발적·개별적 헌신에 의존했다고 할 수 있고, 연수 역시 관련 정책에 대한 이해 내지 수범 사례의 소개에 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교과서 정책이야말로 학습 컨텐츠의 제공 형식과 그 컨텐츠의 제공 내지 습득 방법에 관한 교육의 본질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일에 관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신중을 해야 하고, 어느 정책보다도 추진과정에서 양 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 디지털교과서는 교실수업을 개선하고 교육혁신을 이루어낼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정부가 추진해온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쟁점들을 다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동 정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주로 신다원주의적 옹호연합 및 이익집단 이론, 비판이론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와 맺고 있는 이해당사자들 간의 협력과 입장, 그리고 상호간 역학(dynamics)을 분석하고자 한다.
  • 주로 신제도주의 이론체계(neo-institutionalism)1)가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디지털교과서 정책이 학교라는 특수한 조직적 특성 하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 정책은 그 표방하는 만큼 사회가 추구하는 발전 목표에 대한 의지의 표현이고, 따라서 가치 함축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정책은 어떤 가치와 목표를 설정하고 있는지, 또 그러한 가치와 목표는 어떤 신념과 이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지, 우리 교육현장에서 널리 확산된 공통의 가치와 신념과 어느 정도 부합하고 있는 지, 만약 부정합성이 나타나고 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규범적 차원(normative dimension)은 교육기관의 개선이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이용되는 가치, 신념, 가정 등을 분석한다. 정책은 그 표방하는 만큼 사회가 추구하는 발전 목표에 대한 의지의 표현이고, 따라서 가치 함축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어떤 기대를 받아왔는가? 지난 MB정부의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한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된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우리나라 초·중등교육의 모습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킬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왔다[1]. 지난 박근혜정부에서도 ‘학교교육 정상화 추진’ 관련 국정과제인 ‘교과서 완결학습체제’ 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된 바 있다.
디지털교과서 개념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디지털교과서 개념은 정책 도입 초기부터 현재까지 조금씩 그 의미가 변화되어 왔다. 초기에는 학교와 가정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기존의 교과서, 참고서, 문제집, 용어사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이를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과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생용의 주된 교재[14]로 이해된 반면에, 본격 도입을 발표한 2013년에는 서책형 교과서에 다양한 학습자료(용어사전, 멀티미디어, 평가문항, 심화 보충학습자료 등)와 학습지원 기능 등을 부가하여 제공하는 학생용 교재로 보고 있다[15]. 한편, 지난 MB 정부 시기에는 스마트러닝의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는데, 스마트 러닝은 보다 광의에서 스마트형 정보통신기술을 학습활동에 접목하여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학습자 주도형 학습 전략으로 이해된다[16].
디지털교과서 사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디지털 기기 역시 보조수단일 뿐이다”라는 주장이 충돌하고 있다[2]. 또,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사교육 시장 창출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기 위한 태블릿 PC 구입 부담으로 민간부담 공교육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교과별 태도, 학업성취도 향상은 디지털교과서가 아닌 방법으로도 얼마든지 가능함을 근거로 비판하고 있다[3]. 그러나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인지·정서·신체발달 측면에서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점을 지적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 Technology, "Pilot Program for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2011. 

  2. J. D. Choi, "ICT instead of Paper-based textbook vs. creative power through touching with body," http://news.joins.com/article/12000156(July 6, 2013) 

  3. Good Teacher, "5th Conference for Smart Education Innovation Strategy," http://www.goodteacher.org(March 21, 2013) 

  4. Y. N. Lim, & H. J. Hong, "Developmental Phases from Paper Textbooks to Digital Textbook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1, No. 2, pp.1-36. 

  5. S. Y. Lee, "Because: Smart education with concern of side-effects,"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525277.html (March 26, 2012). 

  6. Y. Kim, "A Study of Prim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Digital Textbooks and Their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2, pp. 9-18. 2013. 

  7. J. H. Seo, "Pre-After test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 in pilot schools,"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7. 

  8. S. M. Kim, "The Moderating Effects of Field - dependence and Field-independence Cognitive Style of Learning Satisfaction of Digital Textboo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8, No. 3, pp. 79-93. 2008. 

  9. J. S. Hwang, "Comprehensive evaluation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digital textbook,"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10. R. Azevedo, "Using hypermedia as a metacognitive tool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The role of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40, No. 4, pp. 199-209. 2005. 

  11. K. Scheiter, & P, Gerjets, "Learner control in hypermedia environmen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 19, No. 3, pp. 285-307. 2007. 

  12.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for Digital Textbook for Primary & Middle School in accordance to 2015 Revised Curriculum" (August 29, 2016). 

  13. B. S. Cooper, L. D, Fusarelli, & E. V. Randall,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 Pearson College Division, 2004. 

  14. Ministry of Education, "Plan for Wide Utilization of Digital Textbook," (March 7, 2007). 

  15. Ministry of Edu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 in 2013," (August 14, 2013). 

  16. K. S. Noh, S. W. Ju, & J. T. Chung, "An Explorative Study on the Concept and Realizing Conditions for Smart-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2, pp. 79-88. 2011. 

  17. Ministry of Education, "Major Plan for Year 2017," (January 16, 2017). 

  18. K. H. Jeong,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digital textbook poli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4. 

  19. M. K. Yang,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textbook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31, No. 4, pp. 51-75. 2013. 

  20. K. E. Weick,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loosely coupled syste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21, No. 1, pp. 1-19. 1976. 

  21. J. W. Meyer, & B. Rowan, B."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83, No. 2, pp. 340-363. 1977. 

  22. M. W. McLaughlin. "Learning from experience: Lessons from policy implementation,"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Vol. 9, No. 2, pp. 171-178, 1987. 

  23. K. S. Noh, "A Study on Policies of the Ordering and Receiving System for Public e-Learning Project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1, pp. 29-36. 2015. 

  24. Y. H. Chun, "Goal ambiguity in public organizations: Concept, Measurement, and Validation," Korea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8, No. 5, pp. 49-65, 2004. 

  25. H. J. Kim, & H. S. Lim, "Exploring on Digital Textbooks for Teachers and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2, pp. 33-42. 2012. 

  26. H. G. Baek, P. S, Kim, & T. H. Ha, "Study on the Effective Factors of Lea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Digital Textbook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6, No. 1, pp. 123-135. 2008. 

  27. J. Y. Lee, H. J. Kang, & S. Y. Park,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nvironment of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9, pp. 313-323.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