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자아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resili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137 - 148  

이수기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3, 4, 5세 유아 28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주의집중', '정서조절', '자기효능감', '공감', '또래관계'의 5개 요인의 26문항이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델 적합도 지수는 RMSEA=.059, NNFI=.901와 CFI=.913로 나타났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KPRC의 자아탄력성 척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두 척도 간에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일관성 지수인 Chronbach ${\alpha}$를 분석한 결과 신뢰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ildren's ego-resilience measurement scale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Subjects consisted of 289 children of age 3 to 5 attending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Facto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유아 자아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발달 변화 폭이 넓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변별력 있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려면 광범위한 생활 전반에 관한 객관적 관찰과 해석이 용이한 교사에 의한 측정 방법이 최선[41]이라는 견지에서 교사가 평정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타당하고 신뢰도 높은 유아 자아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 척도의 문항을 구성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여 교사 평정용 유아자아탄력성 척도를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와 관련하여 추후연구를 제안하면, 첫째, 본 도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교사에 의해 측정하도록 개발되어 교실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행동에서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자아탄력성과 관련하여 교실이 아닌 가정에서의 관찰내용에 대한 부모의 보고 또한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유아 자아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발달 변화 폭이 넓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변별력 있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려면 광범위한 생활 전반에 관한 객관적 관찰과 해석이 용이한 교사에 의한 측정 방법이 최선[41]이라는 견지에서 교사가 평정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타당하고 신뢰도 높은 유아 자아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연실[23]의 척도가 가지는 특징은? 최근 개발되어 아직까지 다른 연구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이연실[23]의 척도가 있다. 이 척도는 64문항의 교사용 5평정 척도이다. 척도의 개발자는 최초 문항 추출자의 대다수가 심리치료사였다고 밝히며 심리치료사는 심리내적인 변수를 깊이 있고 세밀하게 볼 수는 있지만 유아의 결함과 같은 부정적인 특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23]을 연구의 제한점에서 밝히며 일반적인 유아의 특성이 충실히 반영된 검사도구의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유아가 가지는 장점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유아는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이 높고, 긍정적인 자아상과 명백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10], 친구에게 관대하고, 놀랐을 때 평정을 바로 찾고, 새롭고 특이한 상황을 다루기를 좋아하며,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주고 활기차며, 행동하기 전에 신중히 생각하며, 분노에 이성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다[4].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은 유아는 스트레스 상황을 잘 조절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구성이 높으며[14], 스트레스 또는 문제 상황에서 보다 융통성 있고 통합된 수행 능력을 보인다[2].
국외의 경우 자아탄력성에 대한 연구의 추이는 어떠한가? 자아탄력성에 대한 연구는 국외의 경우는 1970년대 후반 개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에서 시작되어 자아탄력성에 대한 가족, 사회, 문화, 역사와 같은 생태학적 체제의 상호작용을 밝히려는 과정 중심적 연구로 이어졌고, 최근에는 개입 효과를 알아보는 자아탄력성 증진 방법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15]. 국내의 경우는 1990년대 이후부터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초·중·고등학교의 아동이나 청소년 혹은 고위험군의 아동을 대상으로 변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와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Hillsdale, NJ : Erlbaum, Vol.13, pp.39-101, 1980. 

  2.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3. D. Hart, V. Hofmann, W. Edelstein, and M. Keller, "The relation of childhood personality types to adolescent behavior and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of Icelandic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3, pp.195-205, 1997. 

  4. J. Block,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Vol.53, pp.281-291, 1982. 

  5. 이현주, 권수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 애착이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47-355, 2013. 

  6. J. Taub and M. Pearrow, "Resilience through school wide violence prevention," In S. Goldstein & R. Brooks(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New York: Springer, 2005. 

  7. S. S. Luther, D. Cicchetti, and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71, pp.543-562, 2000. 

  8. A. S. Masten and J. D. Coatsworth,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favorable environments," American Psychologist, Vol.53, pp.205-220, 1998. 

  9. N. Garmezy,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Interpersonal and Biological Processes, Vol.56, No.1, pp.127-136, 1993. 

  10. M. Rutter,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7, pp.316-331, 1987. 

  11. K. Deater-Deckard, L. Ivy, and J. Smith, "Resilience in gene-environment transaction," In S. Goldstein & R. Brooks (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New York: Springer, 2004. 

  12. C. A. Olsson, L. Bond, J. M. Burns, D. A. Vella-Brodrick, and S. M. Sawyer,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Vol.26, pp.1-11, 2003. 

  13. 이수기,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 연령, 다문화변인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4. 박현진,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5. M. O. D. Wright and A. S. Masten,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In S. Goldstein & R. B. Brooks (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New York: Springer, 2005. 

  16. 김선희, "유아의 탄력성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pp.191-210, 2005. 

  17. 이완정, "발달과정에서 위험요소에 노출된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보호요인분석," 아동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16, 2002. 

  18. 전은희,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9. 구희정,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0. 장태숙, 그림책을 활용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우울성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1. A. S. Masten and A. H. Gewiritz,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n early child development," In McCartney k., Phillips D. A., (Eds.) Handbook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New York:Blackwell, 2006. 

  22. 이다경, 영성지향 감사프로그램이 유아의 우울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3. 이연실, 유아의 탄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4. 이지현, 만5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의 경향과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5. 김승태, 김지혜, 송동호, 이효경, 주영희, 홍창의, 황순택, 한국 아동인성 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1997. 

  26. 박은희, 자아탄력성,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7. 박미현,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8. 권상옥, 영성지향 사랑교육활동이력성과 우울성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 유아의 자아탄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9. 박은성, 부모 양육태도와 유아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0. J. A. Naglieri and P. A. LeBuffe, "Measuring resilience in children," In S. Goldstein & R. B. Brooks(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New York: Springer, 2005. 

  31. A. S. Carter, M. J. Briggs-Gowan, and N. O. Davis,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recent advance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45, No.1, pp.109-134, 2004. 

  32. 용명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변혁적 리더십이 유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3. 최난영, 부모의 낙관성 및 유아의 낙관적 믿음과 유아의 탄력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고영희,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고윤희, 어머니 정서표현성 및 영유아 탄력성이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6. 박영심, 유아의 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7. 이윤주,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부모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급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5권, 제2호, pp.435-449, 2004. 

  38. 신혜경,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탄력성, 가족탄력성, 지역사회탄력성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9. 이금옥, 유아탄력성 가족탄력성 지역사회탄력성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인식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0. 박은영,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의 요인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221-230, 2011. 

  41. 이은주, 이경민, "교사용 유아생활만족도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4호, pp.27-49, 2010. 

  42. 조선미, 박혜연, 김지혜, 홍창희, 황순택, "한국아동 인성 평정 척도(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KPRC)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5권, 제3호, pp.825-848, 2006. 

  43. B. Daniel and S. Wassell, Assessing and Promoting Resilience in Vulnerable Children, volumes 1, 2 and 3, London and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Ltd., 2002 

  44.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 방법, 경기: 21세기사, 2009. 

  45.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1호, pp.167-177, 2000 

  46. 김경희, 박주영, 권재환, "한국형 수용태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132-146, 2016. 

  47.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2010. 

  48.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한나래출판사,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