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 타당화 연구
A Study for Validation of th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for Korean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6, 2013년, pp.309 - 337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오정순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루브릭 형태로 개발된 유아 평가 중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받은 미국 하이스코프 재단의 유아용 Child Observation Record-II를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하여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로 명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대전, 경기 및 충북에 소재한 8개 어린이집의 만 3세부터 만 6세 유아 255명과 담임교사 32명을 대상으로 2개월 이상의 관찰 후 K-COR-II를 사용하여 평정을 실시하였고, 공인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K-CDI를 함께 실시하였다. 신뢰도와 문항양호도 검중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과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및 AVE와 개념신뢰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K-COR-II 각 항목의 내용타당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 하위영역 간의 차별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AVE 및 개념신뢰도 지수 산출 검토 결과 집중타당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K-CDI를 이용한 공인타당도 결과 각 영역 간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와 영역별 항목간 내적합치도 또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판단되어 신뢰도 또한 확보되었으며, 각 문항별로 상 하 집단 간의 유의한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문항변별도 또한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타당화된 K-COR-II가 유아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유아의 발달 수준을 가늠하는데 활용가능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II developed by High/Scop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5 children aged three to six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head teachers. They were observed for at least two months an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루브릭 형태로 개발된 미국 하이스코프 재단의 개정판 COR을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하는 것으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우리나라의 만 3세부터 만 6세까지의 유아 255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의 번안된 K-COR-II를 사용하여 관찰 및 평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판별타당도를 제외한 모든 타당도에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K-COR-II를 구성하는 항목의 신뢰도 및 문항변별도 결과 또한 적절한 것으로 밝혀져, 타당화된 K-COR-II가 보육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판단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High/Scope 교육연구재단으로부터 연구목적으로 사용 허가를 받은 개정판 COR 중 유아용 버전을 국내에 적합하도록 타당화하고, 이를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로 명명하고자 한다.
  • 이에 적절한 요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스크리 도표를 살펴보았다. 스크리 도표를 이용한 요인 수 확정은 급격한 차이를 두고 고유치가 변화하는 것을 체감하기 직전까지의 요인의 수를 기준으로 요인을 추출하거나 그래프가 안정되는 지점까지의 요인 수를 포함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김용석,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에서의 보육과정 운영에 있어 평가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이에 새로 고시된 누리 과정에서도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어린이집에서의 보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평가가 필수적임을 주지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고시문에 제시된 유아평가 지침은 ‘누리과정 목표와 내용에 근거한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 평가, 유아의 지식, 기능, 태도를 포함한 평가, 유아의 일상생활과 누리과정 활동 전반에 걸친 평가, 관찰, 활동 결과물 분석, 부모면담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 종합적 평가 및 결과 기록, 유아에 대한 이해와 누리과정 운영 개선 및 부모 면담 자료로 유아평가 결과 활용’이라는 다섯 가지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의 경우 한 가지 방식만을 활용해 측정하기보다는 다양한 정보원이 사용 가능한 비형식적이고 다차원적인 접근에 근거하여 영유아가 겪는 주관적인 경험과 맥락적인 성격을 포착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보육사업은 어떻게 체계화되기 시작했는가? 우리나라의 보육사업은 영유아보육법이 1991년에 제정된 이후 그 제도와 정책이 본격적으로 체계화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점차 증가하는 보육수요에 따라 1998년 영유아보육법을 일부 개정하여 어린이집의 설치를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하고 설치 기준을 완화함으로써 민간어린이집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표준보육과정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 이에 따른 큰 변화들 중 하나로 국가 수준의 보육과정에 해당하는 표준보육과정의 개발과 보급을 들 수 있다. 표준보육과정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어떤 태도, 지식 및 기술을 경험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국가 수준의 문서로,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이들을 위한 시대적 문화적 가치 및 태도에 대한 포괄적인 합의가 이루어 졌음을 의미한다(한국보육진흥원, 2010). 국가 수준의 보육과정이 고시되었다는 것은 보육현장에서 필수적으로 표준보육과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으로서, 표준보육과정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체계적인 보육과정 운영은 보육사업의 중요한 부분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선영, 신나리, 김향은(2009). 보육. 아동학회지, 30(6), 267-279. 

  2. 김용석(2009).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개발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3), 127-160. 

  3. 김정미, 신희선(2006). K-CDI 아동발달검사 표준화 연구. 아동학회지, 27(4), 39-53. 

  4. 범선화, 채정현(2008).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실험 실습법에 적용.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0(3), 85-105. 

  5. 변윤희, 현은자(2005). 유아 창의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5), 271-301. 

  6. 신은미, 손복영(2011).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유아교육연구, 28(4), 465-492. 

  7. 안은숙, 이지영(2006). 복지보육과 연계한 지역사회 서비스개발을 위한 욕구도 조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17-40. 

  8. 우종필(2012). 구조방정식모델의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9. 위영희, 조진형, 이정희, 왕영희, 신유림, 백은주, 이혜란, 이정림, 신나리, 한성희, 민현숙(2011). 유아교육개론. 서울: 오래. 

  10. 이미화, 이정림, 여종일, 김경미, 김명순, 이경옥, 이완정, 이정욱, 최일선, 최혜영(2012). 5세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 평가척도 개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1. 이은해(1995). 아동발달의 평가 및 측정. 경기: 교문사. 

  12. 제주도교육청, 교육과학기술부(2008).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 정서 발달 평가 도구. 제주: 제주도교육청. 

  13. 조성연, 이정희, 황혜정, 나종혜, 양성은(2008).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서울: 신정. 

  14. 한국보육진흥원(2010).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서울: 저자. 

  15. 한국어린이육영회(1997). 유아관찰척도. 서울: 저자. 

  16. 황해익(2009).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정민사. 

  17. Fabrigar, L. R. (1999).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4(3), 272-299. 

  18. Follari, L. M. (2007).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Defining best practices. In L. M. Follari (Ed.), Foundation and best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04-124).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 Goodrich, H. (1996).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20. Goodrich-Andrade, H. (2000). Using rubrics to promote thinking an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57(5), 13-18. 

  21. Goodrich-Andrade, H. (2001).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rubrics on learning to write. Current Issues in Education [On-line] , 4(4). Retrieved February 24, 2011, from http://cie.asu.edu/volume4/number4/index.html 

  22. Herman, J. L., Aschbacher, P. R., & Winters, L. (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3.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1992).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kit.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24.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3).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kit, second edition.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25.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5). Child Development Observation (COR)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26. Ireton, H. (1992). Child Development Inventory Manual. Minneapolis, MN: Behavior Science Systems. 

  27. Marzano, R. J., Pickering, D. J., & McTighe, J. (1993). Assessing student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the Dimensions of Learning model.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8. McAfee, O., & Leong, D. J. (2009).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평가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4th ed.].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역). 서울: 학지사(원전 2008년 출판). 

  29.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003).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Building an effective, accountable system in programs for children birth through age 8. Retrieved September 10, 2010, from http://www.naeyc.org/files/naeyc/file/positions/ CAPEexpand.pdf 

  30. Wortham, S. C. (2010). 유아교육과 평가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5th ed.].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역). 서울: 정민사(원전 2008년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