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음주폐해 예방 중재가 음주 빈도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 of Alcohol-related Harm Preventing Intervention on Drinking Frequency and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687 - 695  

송아영 (건양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송예원 (건양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이재신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음주폐해 예방을 위한 학교기반, 피드백, 행동수정의 3가지 중재 중 음주 빈도와 문제행동의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소년기 그룹에게 알코올 중재를 적용한 무작위대조군연구 16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학교기반, 피드백, 행동수정의 각 중재방법에 따른 음주빈도와 음주 문제행동을 추적기간별로 나누어 통계적 이질성, 효과크기, 민감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음주빈도의 감소를 위한 결과 피드백 중재가 3개월 미만에서, 음주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한 결과 피드백 중재가 4~12개월의 추적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음주 빈도의 결과 3개월 미만에서 학교기반이 "큰", 피드백은 "작은", 4~12개월에서는 피드백이 "큰" 효과크기로 해석되었다. 음주 문제행동의 결과 3개월 미만에서 학교기반이 "중간", 피드백은 "큰", 4~12개월에서는 학교기반이 "중간", 피드백은 "큰" 효과크기로 해석되었다. 피드백 중재가 3개월 미만의 추적기간 동안 음주 빈도의 감소를 위해 효과적이며, 4~12개월의 추적기간 동안에는 음주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음주폐해 감소 및 예방을 위한 학교기반 중재와 피드백 중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drinking frequency and problem behaviors among the three interventions; school based, feedback, and behavior change. Meta-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at 16 studi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which alcohol intervention has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주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한 결과 3개월 미만에서 학교기반 중재가 “중간 효과크기”, 피드백 중재가 “큰 효과 크기”로 해석되었으며, 4∼12개월에서는 학교기반 중재가 “중간 효과크기”, 피드백 중재가 “큰 효과크기”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음주폐해 감소 및 예방을 위한 학교기반 중재와 피드백 중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객관적 근거를 기반으로 향후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음주폐해 예방을 위해 학교기반 중재, 피드백 중재, 행동수정 중재 중 하나의 중재법만을 분석했던 기존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음주 빈도와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피드백 중재가 3개월 미만의 추적기간 동안 음주 빈도의 감소를 위해 효과적이며, 4∼12개월의 추적기간 동안에는 음주 문제행동의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음주 빈도와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법을 확인하였다. 음주빈도의 감소를 위한 결과, 피드백 중재가 3개월 미만의 추적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음주폐해 예방을 위한 학교기반 중재, 피드백 중재, 행동수정 중재의 3가지 중재와 관련된 연구결과들을 비교분석하여, 청소년의 음주 빈도와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 중재를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표준화된 평균차에 대한 효과크기를 사용하였다. 사례수가 많은 논문의 효과크기가 보다 정확할 것이라고 가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해 전체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효과크기가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음주의 위험성은 무엇인가? 청소년 및 대학생의 음주문화는 각종 사고와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술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상태로 음주하고 있는 실정이다[5]. 청소년 음주는 성인에 비해 적은 양의 알코올 섭취로 단기적인 신체적, 정신적 폐해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고위험 음주로까지 이어져 건강에 영향을 끼치므로 장기적인 사회경제적 소실이 매우 크다고 보고되었다[6][7].
음주폐해란 무엇인가? 음주폐해란 음주로 인해 건강, 행동상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음주를 지칭하며, 음주양이나 빈도, 음주패턴으로 정의된다[1]. 음주로 인한 폐해는 음주자뿐만 아니라 외부효과를 가지는 문제로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2].
청소년의 음주 빈도와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음주폐해 예방을 위해 학교기반 중재, 피드백 중재, 행동수정 중재 중 하나의 중재법만을 분석했던 기존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음주 빈도와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피드백 중재가 3개월 미만의 추적기간 동안 음주 빈도의 감소를 위해 효과적이며, 4∼12개월의 추적기간 동안에는 음주 문제행동의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 L. Williams, C. L. Perry, K. Farbakhsh, and S. Veblen-Mortenson, "Project Northland: Comprehensive alcohol use prevention for young adolescent, their parents, schools, peers and communiti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Supplement, Vol.13, pp.112-124, 1999. 

  2. A. E. Reid and K. B. Carey, "Interventions to reduce college student drinking: State of the evidence for mechanism of behavior change,"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40, No.2015, pp.213-224, 2015. 

  3. 김광기, "우리나라 음주폐해 감소를 위한 알코올 정책 도입 방안," 정책보고서 06-12 (06-206A-01), 12, pp.1-287, 2006. 

  4. T. F. Babor, Alcohol: No ordinary commodity, 2nd edition, Oxford New York. 2010. 

  5. 공혜림, 김하주, 전승희, 임민경, "대학생 절주동아리 캠페인 활동사례,"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제2011권, 제2011호, p.22, 2011. 

  6. 정우진, "청소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정신건강정책포럼, 제3권, pp.143-153, 2009. 

  7. 김선아, "중.고등학교 시기의 심리사회적요인과 고 3학년 음주흡연행동의 관계: 친구관계, 스트레스, 우월감, 자존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3호, 2010. 

  8. J. G. Murphy, A. A. Dennhardt, J. R. Skidmore, B. Borsari, N. P. Barnett, S. M. Colby, and M. P. Marte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behavioral enonomic supplement to brief motivational interventions for college drinking," J Consult Clin Psychol, Vol.80, No.5, pp.876-886, 2012. 

  9. D. M. Doumas, S. Esp, R. Turrisi, R. Hausheer, and C. Cuffee, "A test of the efficacy of a brief, web-based personalized feedback intervention to reduce drinking among 9th grade students," Addictive Behavior, Vol.39, pp.231-238, 2014. 

  10. N. C. Newton, G. Andrews, M. Teesson, and L. E. Vogl, "Delivering prevention for alcohol and cannabis using the internet: A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rev Med, Vol.48, pp.579-584, 2009. 

  11. J. W. LaBrie, M. A. Lewis, D. C. Atkins, C. Neighbors, C. Zheng, S. R. Kenney, and M. E. Larimer, "RCT of web-based personalized normative feedback for college drinking prevention: Are typical student norms good enough?," J Consult Clin Psychol, Vol.81, No.6, pp.1074-1086, 2013. 

  12. J. F. Schaus, M. L. Sole, T. McCoy, N. Mullett, and M. C. O'Brien, "Alcohol screening and brief intervention in a college student health cent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Vol.16, pp.131-141, 2009. 

  13. H. K. Strom, F. Adolfsen, S. Fossum, S. Kaiser, and M. Martinussen,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preventive interventions on adolescent alcohol u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ty, Vol.9, No.48, pp.2-11, 2014. 

  14. S. T. Walters and C. Neighbors, "Feedback interventions for college alcohol misuse: What, why and for whom?," Addictive Behaviors, Vol.30, No.2005, pp.1168-1182, 2005. 

  15. K. B. Carey, L. A. J. Scott-Sheldon, M. P. Carey, and K. S. Demartini, "Individual-level interventions to reduce college student drinking: A meta-analytic review," Addic Behav, Vol.32, pp.2469-2494, 2007. 

  16. M. T. Moreira, L. A. Smith, and D. Foxcroft, "Social norms intervention to reduce alcohol misuse in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review)," Cochrane Database SystRev, 2009. 

  17. L. I. Solberg, M. V. Maciosek, and N. M. Edwards, "Primary care intervention to reduce alcohol misuse: Ranking its health impact and cost effectiveness," Am J Prev Med, Vol.34, pp.143-152, 2008. 

  18. 정슬기, 김지선, "청소년 음주문제와 관련한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1호, pp.71-83, 2014. 

  19. A. R. Jadad, R. A. Moore, D. Carroll, C. Jenkinson, D. J. M. Reynolds, D. J. Gavaghan, and H. J. Mcquay,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Vol.17, No.1, pp.1-12, 1996. 

  20. W. G. Cochran, "The combination of estimates from different experiments," Biometrics, Vol.10, No.1, pp.101-129, 1954. 

  21. C. D. Furberg and T. M. Morgan, "Lessons from overviews of cardiovascular trials," Statistics in Medicine, Vol.6, No.3, pp.295-303, 1987. 

  22. R. Rosenthal and D. B. Rubin, "Comparing effect sizes of independent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92, No.2, pp.500-504, 1982. 

  23.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ewYork,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4. J. Lau, J. Ioannidis, and C. H. Schmid, "Quantitative synthesis in systematic review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27, No.9, pp.820-826, 1997. 

  25. E. J. D'Amico and K. Fromme, "Brief prevention for adolescent risk-taking behavior," Addiction, Vol.97, pp.563-574, 2002. 

  26. L. Vogl, M. Teesson, G. Andrews, K. Bird, B. Steadman, and P. Dillon, "A computerized harm minimization prevention program for alcohol misuse and related harm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ddiction, Vol.104, pp.564-575, 2009. 

  27. C. Werch, M. J. Moore, C. C. DiClemente, R. Bledsoe, and E. Jobli, "A multihealth behavior intervention integrating physical activity and substance use prevention for adolescents," Prev Sci, Vol.6, pp.213-226, 2005. 

  28. B. Bosari and K. B Carey, "Effects of brief motivational intervention with college student drink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8, No.4, pp.728-733, 2000. 

  29. S. E. Collins, K. B. Carey, and M. J. Sliwinski, "Mailed personalized normative feedback as a brief intervention for at-risk college drinkers," Journal of Studies Alcohol, Vol.63, pp.559-567, 2002, 

  30. J. G. Murphy, J. J. Duchnick, R. E. Vuchinich, J. W. Davison, R. S. Karg, A. M. Olson, A. F. Smith, and T. T. Coffey, "Relative efficacy of a brief motivational intervention for college student drinker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Vol.15, No.4, pp.373-379, 2001. 

  31. C. Neighbors, M. E. Larimer, and M. A. Lewis, "Targeting misperceptions of descriptive drinking norms: Efficacy of a computer-delivered personalized normative feedback interven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2, No.3, pp.434-447, 2004. 

  32. S. Walters, M. E. Bennett, and J. H. Miller, "Reducing alcohol use in college students: A controlled trial of two brief interventions," J DRUB EDUCATION, Vol.30, No.3, pp.361-372, 2000. 

  33. N. P. Barnett, J. G. Murphy, S. M. Colby, and P. M. Monti, "Efficacy of counselor vs. computer-delivered intervention with madated college students," Addictive behaviors, Vol.32, No.11, pp.2529-2548, 2007. 

  34. J. J. Black, G. Q. Tran, A. A. Goldsmith, R. D. Thompson, J. P. Smith, and J. A. Welqe, "Alcohol expectancies and social self efficacy as mediators of differential intervention outcomes for college hazardous drinkers with social anxiety," Addictive Behaviors, Vol.37, No.3, pp.248-255, 2012. 

  35. M. Testa, J. H. Hoffman, J. A. Livingston, and R. Turrisi, "Preventing college women's sexual victimization through parent based interven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evention Science, Vol.11, No.3, pp.308-318, 2010. 

  36. 손민성, 김미선, 윤기찬, 최만규, "청소년의 심리건강 영향요인: 음주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59-369, 2013. 

  37. 양승희, 윤지원, "대학생의 우울, 불안, 금주 자기효능감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보건복지계열 햑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304-313, 2015. 

  38. L. D. Johnston, P. M. O'Malley, and J. G. Bachman, Monitoring the future national survey results on drug use, 1975-2000, Volume II: College students and adults age 19-4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ublication No. 01-4925),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