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가 위암검진 수검률의 지역 간 변이
Regional Variation in Nation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in Korea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7 no.4, 2017년, pp.296 - 303  

박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최소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이광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regional factors related to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provided by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Methods: The unit of analysis was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 gun gu level. Dependent variable was region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 암검진 중 위암검진률의 지역별 차이를 파악하고 지역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의 흡연율이 낮을수록, 재정자립도가 낮을수록, 1인당 연간 건강보험료가 낮을수록, 위암검진기관이 많을수록, 지역에 남성이 많을수록 위암검진 수검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 연구는 건강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위암검진서비스의 수검률이 지역 간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이와 관련이 있는 지역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5년의 각 시∙ 군∙구의 지역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의료이용 양상은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영향을 받으며 암검진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또한 의료이용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위암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들을 분석하여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국가 위암검진 향상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분석결과 지역의 흡연율이 낮을수록, 재정자립도가 낮을수록, 1인당 연간 건강보험료가 낮을수록, 위암검진기관이 많을수록, 지역에 남성이 많을수록 위암검진 수검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국가 위암검진 수검률을 높이기 위한 지역별 정책의 방향을 제시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연사업과 연계하여 국가 암검진사업의 홍보와 교육을 실시한다면 관련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암검진사업이란 무엇인가? 공적 영역의 국가 암검진사업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암검진(이하 공단 암검진)과 국가 암검진사업으로 구분된다. 국가 암검진사업은 건강보험가입자 중 보험료가 하위 50%에 속하는 인구 및 의료급여수급권자를 대상으로 하며, 우리나라 5대 암인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에 대해서 암검진을 무료로 제공하는 사업이다. 공단 암검진사업은 국가 암검진사업과 사업내용과 법적 근거는 동일하나 건강보험가입자 중 상위 50%에 속하는 인구에 대해 10%의 본인부담금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3].
국가 암검진서비스의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국가 암검진서비스는 우리나라 암검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가 암검진서비스는 민간 암검진서비스에 비해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완화시켜 예방서비스 이용에 형평성을 가져올 수 있다[4]. 또한 민간 암검진의 경우 암의 조기발견과 검진의 효과에 대해 평가하기 어려우며, 고가 장비를 이용하는 검진프로그램을 위주로 시행하여 개인 의료비의 불필요한 증가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5] 공적 영역의 암검진 수검률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2015년을 기준 암으로 사망한 인구는 어느 정도인가? 통계청에서 보도한 2015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암은 지속적으로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5년을 기준으로 암에 의한 사망 인구 10만 명당 폐암 34.1명, 간암 22.2명, 위암 16.7명, 대장암 16.4명 등으로 보고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cer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cited 2017 Jul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97/en/. 

  2.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Jul 1].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6345. 

  3.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7 [cited 2017 Jul 1].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main.ncc?urimanage01_4. 

  4. Cho HJ. Equity in health care: current situation in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2013;56(3):184-194. DOI: https://doi.org/10.5124/jkma.2013.56.3.184. 

  5. Park YS, Yoon JL, Kim JS. Evaluation of evidence-based screening programs for cancers.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9;9(2):86-96. 

  6. Lee SD. Jinanhae gugga amgeomjinlyul 48% bulgwa [Last year, national cancer screening rate was only 48%]. HealthChosun. 2016 Nov 27. 

  7. Kim NS, Park S.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health care: rational use of health care. Health Welf Policy Forum 2016;231:7-14. 

  8. Kwak MS, Park EC, Bang JY, Sung NY, Lee JY, Choi KS.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38(4):473-481. 

  9. Park HH, Chun IA, Ryu SY, Park J, Han MA, Chio SW, et al. Social disparities in utilization of preventive health services among Korean women aged 40-64. J Health Inf Stat 2016;41(4):369-378. DOI: https://doi.org/10.21032/jhis.2016.41.4.369. 

  10. Fukuda Y, Nakamura K, Takano T, Nakao H, Imai H. Socioeconomic status and cancer screening in Japanese males: large inequlaity in middleaged and urban residents. Environ Health Prev Med 2007;12(2):90-96. DOI: https://doi.org/10.1007/bf02898155. 

  11. Lee K, Lim HT, Hwang SS, Chae DW, Park SM.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behavioural risk factors for cancer and use of cancer screening services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lder: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KNHANES III). Public Health 2010;124(12):698-704. DOI: https://doi.org/10.1016/j.puhe.2010.07.004. 

  12. Woo HY. A study on correlated and contextual factors of gastric an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13. Kim DJ. Inequalitie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health status in Korea. Sejono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14. Kang HJ, Kwon S. Regional disparity of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its determinants. Health Policy Manag 2016;26(1):12-23.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6.26.1.12. 

  15.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in statistics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2 [cited 2017 Jul 1].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1000000. 

  16. National Cancer Center. Press release: 65.8% cancer screening rate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for cancer screening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7 [cited 2017 Jul 1].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prBoardView1.ncc?nwsId2185.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cited 2017 Jul 1].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159/22186. 

  18. Kim YH, Kim K, Han KD, Kim JS. Gender differences in elders'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evidenc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12. Iran J Public Health 2015;44(9):1176-1186. 

  19. Kwon YM, Lim HT, Lee K, Cho BL, Park MS, Son K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use of gastric cancer screening services in Korea. World J Gastroenterol 2009;15(29):3653-3659. DOI: https://doi.org/10.3748/wjg.15.3653. 

  20. Sung NY, Park EC, Shin HR, Choi KS. Participation rate and rel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38(1):93-100. 

  21. Welch C, Miller CW, James NT.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determinants of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2005.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008;37(1):51-57. DOI: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7.00190.x. 

  22. Kang SH. Regional differences in self-perceived health. Korean Assoc Health Med Sociol 2014;39:5-24. 

  23. Halliday T, Taira DA, Davis J, Chan H.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breast cancer screening in Hawaii. Prev Chronic Dis 2007;4(4):A91. 

  24. Jo EK, Seo EW, Lee KS.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ealth Policy Manag 2016;26(1):30-38.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6.26.1.30. 

  25. Rosenthal TC, Fox C. Access to health care for the rural elderly. JAMA 2000;284(16):2034-2036. DOI: https://doi.org/10.1001/jama.284.16.2034. 

  26. Kwak JM, Kim DY, Seo EW, Lee KS. The effects of hospital resources on the service uses: hospital service area approach. Health Policy Manag 2015;25(3):221-228.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5.25.3.221. 

  27. Framework Act on Health Examination, Law No. 5 (Feb 16, 2017). 

  28. Lee YM, Yoo JK.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n efficiency of railway transport using DEA and tobit model. J Korean Soc Railw 2009;12(6):1030-1036. 

  29. Moon KJ, Lee KS, Kwon HJ. Benchmarking the regional patients using DEA: focused on a oriental medicine hospital. J Soc e-Bus Stud 2014;19(3):91-105. DOI: https://doi.org/10.7838/jsebs.2014.19.3.091. 

  30. Kang EJ, Kim DJ. Health examination for smoker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Welf Policy Forum 2007;131:84-96. 

  31. Heo JH, Hwang JN.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cancer screening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014;34(3):59-81.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4.34.3.59. 

  32.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Community non-smoking project management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cited 2017 Jul 1]. Available from: http://www.khealth.or.kr/c/162. 

  33. Shin YS, Park CY, Jung SH, Jung HY, Kang HY. Comparison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health examination programs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private healthcare organizations in Korea. Qual Improv Health Care 2006;12(1):40-51. 

  34. Jeong WK, Lee EH, Jung SE. Quality management of medical imaging for public health screening. J Korean Med Assoc 2015;58(12):1125-1131. DOI: https://doi.org/10.5124/jkma.2015.58.12.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