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사의 한약조제 적정조제건수 산출을 위한 탕전실의 조제시간 측정연구
Study on Dispensing Time of Herbal Prescriptions for Calculation of the Proper Number of Dispensing for Herbal Pharmacist in Herbal Dispensarie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5 no.1, 2017년, pp.89 - 101  

정세현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허홍무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김지훈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김윤경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suggest appropriate number and time of dispensing herbal medicine for each Korean pharmacist. Methods : For this study, we visited one herbal dispensary institution which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biggest herbal dispensary preparing the largest number of pres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적정조제건수 산출을 위하여 한약사의 하루 평균 처방조제업무 수행가능시간을 계산해 보고자 하였다. 작업의 표준시간(Standard Time)은 정미시간(Normal Time)과 여유시간으로 구성된다.
  • 본 연구는 한약사 적정조제건수 산출을 위한 조제시간을 측정하는 연구이다. 그러기 위해서 조제가 이루어지는 모든 한방병원, 한의원, 원외탕전실, 한약국 등의 전수조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상 모든 기관을 조사할 수는 없었다.
  • 본 연구는 한약의 조제서비스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으로 효율적인 조제시간 측정을 위해 다수의 한약사를 두고 대량의 조제가 이루어지는 대형 원외탕전실1곳을 택하여 한약사의 조제시간을 측정하고 한약의 적정조제건수를 산출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사법 제 23조 6항에 따르지 않고 한약을 조제할 수 있는 경우는? 조제는 한약사가 배타적인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 약사법 제 23조 6항에 한약사가 한약을 조제할 때에는 한의사의 처방전에 따라야 한다. 다만,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한약 처방의 종류 및 조제 방법”4)에 따라 조제하는 경우에는 한의사의 처방전 없이도 조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가장 핵심적 업무이며 부작용과 약화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의 엄격한 검토를 거쳐야 한다.
한약사란? 한약사란 약사법1) 제 2조 2항에 의거하여 한약과 한약제제에 관한 약사(藥事) 업무를 담당하는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자를 말한다. 1993년부터 시작된 한약분쟁으로 인해 1996년에 한약학과가 설립되었고, 경희, 원광, 우석대에서 매년 120명이 배출되어 2014년까지 2073명의 한약사가 배출되었다2).
조제란? 이같은 한약사의 업무중에서 조제의 정의는 약사법제 2조 11항에 "조제"란 일정한 처방에 따라서 두 가지 이상의 의약품을 배합하거나 한 가지 의약품을 그대로 일정한 분량으로 나누어서 특정한 용법에 따라 특정인의 특정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약제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조제는 한약사가 배타적인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 약사법 제 23조 6항에 한약사가 한약을 조제할 때에는 한의사의 처방전에 따라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harmaceutical Affairs Act. Act No. 14328, 2. Dec., 2016, Partial Amendment. 

  2.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B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4 Year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vailable from: URL:https://www.kiom.re.kr/brdartcl/boardarti cleView.do?menu_nixWUNNW2Aq&brd_idBDIDX_o9YEVvNb40b134N1Rt17aq&cont_idx9. 

  3. Eom SG, Shin MS, Kwon SJ. A Study on the Legislations and Amendments of the Medical and Pharmaceutical Laws and Regulations - Focusing on the Dutie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Doctors and Korean (Oriental) Pharmacists as well as the Public Health System Korean Society of Medical History. 2013;26(2):175 - 8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gulation on Type and Dispensing Method of Korean Medicine Prescription. Notification No. 2014-26, 17, Feb., 2014, Partial Amendment. 

  5. Lee EK, Park JY. Estimation of the Number of Optimal Dispensing Cases for the Community Pharmacist.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01;11(4):88-108. 

  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gulation on Safety and Quality Control of Medicinal Herbs. Notification No. 2016-21, 30. Mar, 2016., Partial Amendment. 

  7. Kwon DY. Study on Control and Management of Medicinal Herbs for Poisonous Concern. Osong: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19-23. Available from: URL: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retrieveResearchDetailPopup.do?research_id1470000-200700026.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ndard and Criteria of Functional Health Foods. Notification No. 2016-63, 30. Jun., 2016. Partial Amendment. 

  9. State of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eople's Republic of China. Administration of Toxic Drugs for Medical Use. Ordinance No. 23, 27. Dec., 1988. Available from: URL:http://www.sda.gov.cn/WS01/CL0056/10770.html. 

  10. Chinese Medicine Council of Hong Kong. Chinese Medicine Ordinance. Law No. 549, 14. Jul., 1999. Available from: URL:http://www.cmchk.org.hk/pcm/eng/#../../eng/main_ord.htm.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Korean Pharmacopoeia Eleventh Edition. Notification No. 2016-57, 30. Jun., 2016, Partial Amendment.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Notification No. 2015-96, 22. Dec., 2015, Partial Amendment. 

  13. Song WH. Ruling of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with Indemnification of 200 million won on Renal Failure due to Wrong Dispensed Herbal Medication. The Chosunilbo, 9. Feb., 2016. Available from: 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09/2016020900489.html. 

  14. Lazarus I. Inaccurate Allowances Are Crippling Work Measurements. Factory;1968. 04, 77-79, quoted in Niebel B. and Freivalds A., Methods, Standards & Work Design, 10th ed. Boston: McGraw-Hill, 1999: 384. 

  15. Hwang H. Work Management Theory. Seoul: Youngji Publishers; 2000. 391-403. 

  16. Kim JH. Study on Management of Herbal Dispensaries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17. 

  17. Hwang GH, Ham MI. Study on Differential Medical Fees of Consultation Charge according to Number of Outpatients.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2003;8. Available from: URL: http://www.rihp.re.kr/research/report/?pageid9&moddocument&uid641 

  18. Shin JY. Newly Added Exposition on Compilation of Formulas and Medicinals. Enlarged edition ed. Seongnam: Seongbo Publishing Company; 1988. 

  19. Geum HG, Lee SI. A Study on the Effect Changes of Dae Hwang Mo Nan Pi Tang due to the Time Elapse.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1991;5(1):83-98. 

  20. Yoon SJ, Lee SI. Change of Effects of Jakyakkamchotang in the Process of Time.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1992;6(1):29-34. 

  21. Han KS, Choi Y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Sosihotang over a Period. Korea Journal of Herbology 1998;13(2):7-12. 

  22. Kil GJ, Lim D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Yeonkyopaedogsan over a Period. Korea Journal of Herbology. 1998;13(1):173-86. 

  23. Choi YB, Lim D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Youngsunjetongeum over a Period.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1998;19(1):410-8. 

  24. Kim WG, Choi YB, Lee YJ. A Study on the Degraded Effect of Decocted Injinhotang over a Period. Korea Journal of Herbology. 1998;13(2):14-8. 

  25. Ha HK, Shin IS, Lim HS, Jeon WY, Kim JH, Seo CS, et al. Changes in Anti-inflammatory Effect of Pyungwi-san Decoction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 FORMULA SCIENCE. 2012;20(2):29-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