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자부심과 수치심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ride and Shame on Interactive Peer Play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Daily Stres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1, 2017년, pp.107 - 124  

최송이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 청사어린이집)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pride and shame on their interactive peer play, mediated by their daily stres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2 five-year-old children (80 boys and 92 girls)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자의식 정서의 측정을 위한 과제를 선정하고 절차를 검토하기 위한 1차 예비조사는 2015년 6월 26일과 2015년 7월 3일 충북 소재 유치원의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1차 예비조사에서는 연구자가 선정한 과제 중 적절한 흥미도와 반응이 유발되는 과제를 최종적으로 선별하고자 실시하였다. 2차 예비조사에서는 1차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과제의 난이도 및 전반적인 과제 수행 절차를 점검해 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2차 예비조사 실시 후 자부심과 수치심 수준 평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두 차례에 걸쳐 본 연구자와 아동학 전공의 대학원생 1인이 관찰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1차 훈련은 과제 제시 도구와 방법, 실험절차, 자부심과 수치심 표현의 일관된 측정을 위한 얼굴표정, 목소리의 높낮이, 행동 출현 유무의 판단 방식에 대해 논의 하였다. 2차 훈련에서는 본 연구자의 과제 제시 절차를 보조 연구자가 관찰하고, 절차와 유의사항에 대해 점검한 뒤 본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가 함께 1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자부심과 수치심 수준의 총합을 분석하였다.
  • 1차 예비조사에서는 연구자가 선정한 과제 중 적절한 흥미도와 반응이 유발되는 과제를 최종적으로 선별하고자 실시하였다. 2차 예비조사에서는 1차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과제의 난이도 및 전반적인 과제 수행 절차를 점검해 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차 예비조사 결과 유아들의 평균 과제 수행시간은 평균 6분 51초였으며, 실험 절차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어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의식 정서인 자부심과 수치심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자와 유아가 일대일로 만나 과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 수행 상황에서 유아가 표현한 정서는 외적 타당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아가 실제 경험하는 정서와 표현한 정서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자부심과 수치심의 영향이 일상적 스트레스를 통해 또래놀이행동의 하위차원인 놀이상호작용, 놀이단절, 놀이방해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자부심은 이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나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상을 종합해볼 때, 유아기에 급속하게 발달하기 시작하는 자부심과 수치심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이 달라지고 그로 인한 결과가 또래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경로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의식 정서인 자부심과 수치심이 일상적 스트레스를 통해 또래놀이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검증함으로써, 유아의 자부심과 수치심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단, 복합적인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자의식 정서의 표현능력은 만 3세에서 만 4세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지만(Stipek, Recchia, & McClintic, 1992), 만 3세에서 만 4세 사이 유아들이 자부심과 수치심에 대한 표현 능력이 충분할 지라도 유아의 개인적인 기질이나 발달 차이에 따라 그 표현력은 느리거나 빠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의 자의식 정서의 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만 5세 유아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단, 또래놀이행동인 놀이방해, 놀이단절 및 놀이상호작용은 긍정적인 행동특성과 부정적인 행동특성을 포함하므로, 잠재변인으로 모형에 포함하는 경우 해석상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각 하위차원을 관찰변수로 간주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연구대상이 동일한 척도로 함께 응답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세 또래놀이행동의 하위차원 간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산출되어, 세 관측변인 간의 측정오차 간 공분산을 가정하여 모형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또래놀이상호작용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주목받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또래놀이상호작용은 개별 유아의 기질적인 특성 또는 심리적인 적응 수준 등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데, 최근 들어 유아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수준이 놀이 중 또래 간 상호작용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주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아의 스트레스와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면, 유아의 스트레스 수준이 사회적 관계 내에서의 부정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관되게 밝혀지고 있다(김지현, 박경자, 2006; 송정아, 이양희, 2004).
교사용 또래놀이행동 평가척도를 개발한 후 놀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아 간 상호작용의 특성과 이를 통한 사회화 경험을 연구한 결과는 어떠했는가? 특히 Fantuzzo 등(1995)이 놀이 맥락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교사용 또래놀이행동 평가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를 개발한 이후, 다수의 연구자들은 놀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아 간 상호작용의 특성과 이를 통한 사회화 경험에 주목하여 왔다. 그 결과 놀이 시 또래 간 상호작용을 지속하는 긍정적 행동을 빈번하게 하는 유아는 일과 중 다른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타인과의 관계에 협력적이며, 교사의 지시에 대해 긍정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수영, 2000; 이원영, 손은애, 2006; Coolahan, Fantuzzo, Mendez, & McDermott, 2000). 반면 또래와의 상호작용 시 위축 정도가 심하여 놀이를 시작하지 못하거나 또래와의 놀이 지속을 어려워하고 갈등을 야기시키는 부정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는 놀이 이외의 맥락에서도 공격적이고 불안한 행동, 과잉행동이나 산만한 행동 특성을 보였으며(Bohnert, Crnic, & Lim, 2003; Fantuzzo & Mcwayne, 2002), 학급 내 문제행동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황윤세, 2011).
놀이 맥락이 중요한 맥락인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놀이 맥락은 유아가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행동 전략 및 기술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Fromberg, 2002), 긍정적, 부정적 상호작용 모두를 빈번하게 경험하는 환경이므로(최혜영, 이은해, 2005),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하면서도 중요한 맥락이다(최혜영, 신혜영, 2011). 이에 또래와 놀이하는 장면에서의 행동 평가를 통해 개별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특성과 수준을 가늠하는 것은 타당하면서도 의미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고희정 (1997). 유아의 기질과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선희 (2004). 한국 유아의 스트레스와 행동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완화요인의 효과. 유아교육연구, 24(2), 135-159. 

  3. 김수영 (2000). 유아의 또래수용도,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형태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3), 47-66. 

  4. 김윤희 (2003). 유치원 종일제 유아들의 환경변인별 일상적 스트레스 행동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6. 김정민, 유안진 (2003). 과제 난이도에 따른 4세와 7세 아동의 자부심과 수치심 표현. 아동학회지, 24(6), 33-46. 

  7. 김지현, 박경자 (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아동학회지, 27(3), 149-167. 

  8. 김평화, 윤혜미 (2014). 아동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18(4), 601-620. 

  9. 남기숙 (2008). 수치심, 죄책감 경험과 대처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윤조, 송하나 (2008). 부모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11, 139-149. 

  11. 박지현 (2014).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11(1), 121-142. 

  12. 송수민 (2007).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심리적 특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25-144. 

  13. 송정아, 이양희 (2004).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반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연구. 생활과학, 7, 189-206. 

  14. 유경, 민경환 (2002). 아동의 도덕적 정서의 발달: 수치심과 죄책감. 심리과학, 11(1), 53-69. 

  15. 이원영, 손은애 (2006). 만 4세 여아의 또래놀이 참여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26(2), 237-249. 

  16. 임혜은, 한세영 (2016).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7(4), 129-143. 

  17. 정선영 (1999). 우울감, 자의식 및 사회적 문제해결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희숙, 권미주 (2002). 유아의 정서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 영유아보육연구, 8, 69-78. 

  19. 최혜영, 신혜영 (2011).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또래 놀이행동 척도의 타당화. 아동학회지, 32(2), 35-52. 

  20. 최혜영, 이은해 (2005).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아동교육연구, 25(5), 319-342. 

  21. 하유미 (1998). 아동의 성, 초기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아동의 정서 표현: 자부심과 수치심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한세영 (2015). 성과 연령에 따라 청소년의 문화성향과 자의식적 정서가 공감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5), 581-594. 

  23. 황윤세 (2011). 유아의 놀이특성과 자기조절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4), 99-116. 

  24. Ashton-James, C. E., & Tracy, J. L. (2012). Pride and prejudice: How feelings about the self influence judgments of othe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8(4), 466-476. 

  25. Belsky, J., Domitrovich, C., & Crinic, K. (1997). Temperament and parenting anteceden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ree-year old boys' pride and shame reactions. Child Development, 68(3), 456-466. 

  26. Bohnert, A. M., Crinic, K. A., & Lim, K. G. (2003). Emotional competence and aggressive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1(1), 79-97. 

  27. Burts, D. C., Hart, C. H., Charlesworth, R., & Kirk, L. (1990). A comparison of frequencies of stress behaviors observed in kindergarten children in classroom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versus inappropriate instructional practi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3), 407-423. 

  28. Cheng, J. T., Tracy, J. L., & Henrich, J. (2010). Pride, personality, and the evolutionary foundations of human social status.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31(5), 334-347. 

  29. Coolahan, K., Fantuzzo, J., Mendez, J., & McDermott, P. (2000).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3), 458-465. 

  30. Cri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31.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Manz, P. H., Canning, S., & Deh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32. Fantuzzo, J., Coolahan, K. C., Mendez, J., McDermon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1), 105-120. 

  33. Fantuzzo, J., & Mcwayne, C.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interactions in the family context and dimensions of school readiness for low-income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1), 79-87. 

  34. Fromberg, D. P. (2002). Play and mea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oston, MA: Ally and Bacon. 

  35. Geoffroy, M., Cote, S. M., Parent, S., & Seguin, J. R. (2006). Daycare attendance, stress, and mental health.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1(9), 607-615. 

  36. Geppert, U., Schmidt, D., & Galinowski, I. (1997). Self-evaluative emotions coding system (SEECS): Technical manual. Munich: Max-Planck-Institute for Psychological Research. 

  37. Guralnick, M. H., & Groom, J. M. (1987). The peer relations of mildly delayed and non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in mainstreamed playgroups. Child Development, 58(6), 1556-1572. 

  38. Kirschbaum, C., Steyer, R., Eid, M., Patalla, U., Schwenkmezger, P., & Hellhammer, D. H. (1990). Cortisol and behavior. Psychoneuroendocrinology, 15(4), 297-307. 

  39. Kostelnik, M., Whiren, A. P., Soderman, A. K., & Gregory, K. M. (2009).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김지현 옮김). 서울: 교문사(원판 2009). 

  40. Krohne, H. W. (2002). Stress and coping theories. Retrieved November 2, 2016 from http://userpage.fu-berlin.de/schuez/folien/Krohne_Stress.pdf 

  41.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42. Lewis, M., Alessandri, S. M., & Sullivan, M. W. (1992). Differences in shame and pride as a function of children's gender and task difficulty. Child Development, 63(3), 630-638. 

  43.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pp.3-31). NY: Basic Books. 

  44. Mason, J. W. (1971). A re-evaluation of the concept of 'non-specificity' in stress theory.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8, 323-333. 

  45. Mason, J. W. (1975). A historical view of the stress field: Part II. Journal of Human Stress, 1(1), 22-36. 

  46. Raver, C. C., & Zigler, E. F. (1997). Social competence: An Untapped dimension in evaluating Head Start's succes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4), 363-385. 

  47. Salovey, P., Stroud, L. R., Woolery, A., & Epel, E. A. (2002)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reactivity, and symptom reports: Further explorations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Psychology and Health, 17(5), 611-627. 

  48. Stipek, D., Recchia, S., & McClintic, S. (1992). Self-evaluation in young childr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7(1), 1-95. 

  49.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NY: Guilford. 

  50. Thomaes, S., Stegge, H., & Olthof, T. (2007). Externalizing shame responses in children: The role of fragile-positive self-esteem. Developmental Psychology, 25(4), 559-577. 

  51. Tracy, J. L., & Robins, R. W. (2004). Putting the self into self-conscious emotions: A theoretical model. Psychological Inquiry, 15(2), 103-125. 

  52. Tracy, J. L., & Robins, R. W. (2007).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pride: A tale of two face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3), 506-525. 

  53. Tracy, J. L., Robins, R. W., & Lagattuta, K. H. (2005). Can children recognize pride? Emotion, 5(3), 251-257. 

  54. Trumbull, D. (2003). Shame: An acute stress response to interpersonal traumatization. Psychiatry, 66(1), 53-64. 

  55. Verkuyten, M. (2002). Ethnic attitudes among minority and majority children: The role of ethnic identification, peer group victimization and parents. Social Development, 11(4), 558-570. 

  56. Vermeer, H. J., & van Ijzendoorn, M. A. (2006). Children's elevated cortisol levels at daycare: A review and meta-analysi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3), 390-4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