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시간의 매개역할
Effects of Mothers' Play Belief on Self-determination of Young Children: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Play Tim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3, 2020년, pp.59 - 77  

이효임 (삼성SDI청주어린이집)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play belief and their children's playtime on self-determination of young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39 mothers of 6-year-old children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n online self-report survey meth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자녀의 주도적 놀이 활동(조인수, 기윤아, 2003) 및 놀이 중심 프로그램(강동선, 2016; 김수진, 2017; 방명애, 전수정, 2007)이 자기결정력의 영향력을 검증한 실험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볼 때, 부모의 놀이신념에 기초한 자녀와의 놀이시간이 자기결정력을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들 세 변인 간의 경로에 대한 가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가 일과 중 가장 중요한 활동인 학령 전 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의 놀이신념이 자녀의 놀이시간을 통해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양육자의 관심과 참여를 증가시키고, 더불어 유아기 발달에 있어서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시간을 통해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가 놀이를 지지하는 신념을 가질수록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아의 놀이시간을 통해 자기결정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놀이시간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가 일과 중 가장 중요한 활동인 학령 전 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의 놀이신념이 자녀의 놀이시간을 통해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양육자의 관심과 참여를 증가시키고, 더불어 유아기 발달에 있어서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과 놀이비지지 신념이 유아기 자녀의 놀이시간을 매개로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이르는 영향의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의 그림 1과 같은 이론적 모형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동선 (2016). 자기결정기술을 적용한 방과 후 놀이프로그램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사교육연구, 55(1), 1-13. doi:10.15812/ter.55.1.201603.1 

  2. 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a).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서울: 교육부, 보건복지부.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b).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부, 보건복지부. 

  4. 권주원 (2003).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신념과 아동의 창의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6. 김미정 (2001). 어머니의 양육가치, 양육목표, 양육신념 및 조정행동과 유아의 순응행동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수진 (2017. 11). 로봇활용 놀이중심 자기결정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자기결정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 경북. 

  8. 김영옥, 홍지명, 김세루, 김권일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05-228. 

  9.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doi:10.16978/ecec.2012.7.2.002 

  10. 김은영, 성소연, 최명구 (2014). 자기결정동기 유형에 따른 부모의 자율성지지 환경,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동기,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1(5), 1-27. 

  11. 김지근, 이기학 (2011).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결정에의 몰입의 모형 검증: 자기성장주도성과 환경에 대한 진로탐색행동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2(1), 81-97. doi:10.15703/kjc.12.1.201103.81 

  12. 김은화 (2012). 영유아의 생활시간 및 부모-자녀 공유시간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은, 신나리 (2014). 유아기 어머니의 놀이성, 놀이지지신념 및 양육스트레스가 친밀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4), 571-585. doi:10.5934/kjhe.2014.23.4.571 

  14. 김진영 (2012).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및 리더십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남윤희, 김금주 (2013).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1), 61-80. 

  16. 도남희, 김정숙, 하민경 (2013). 영유아의 생활시간조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7. 류숙렬 (2003).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38(1), 161-181. 

  18. 박근주 (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놀이성,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근주, 서소정 (2013). 유아의 자기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아의 놀이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489-511. doi:10.14698/jkcce.2013.9.5.489 

  20. 박선화, 최미숙 (2014). 직업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진로인식 및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333-355. 

  21. 박지영 (2012). 유아 의사결정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33(6), 71-84. doi:10.5723/KJCS.2012.33.6.71 

  22. 박지영 (2015). 유아의 성격이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력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7(2), 89-103. 

  23. 박지영, 최미숙 (2012). 교사용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32(5), 5-25. doi:10.18023/kjece.2012.32.5.001 

  24. 방명애, 박현자 (2009).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와 발달 지체유아 어머니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9(1), 181-195. 

  25. 방명애, 전수정 (2007). 초등 통합학급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기술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과 비장애아동의 정서능력 및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7(1), 157-173. 

  26. 배정민, 김소향 (2016).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23-49. 

  27. 심미영, 이문옥 (2018).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역할수행과 유아의 놀이성,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4), 509-536. doi:10.22590/ecee.2018.22.4.509 

  28. 우덕례 (2014). 만 5세 유아의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의사결정력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39-162. 

  29. 윤상인 (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승림 (2009).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경숙, 김수연, 신의진, 김태련 (1995). 반응성 애착장애아, 전반적 발달장애아, 언어장애아의 놀이수준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57-72. 

  32. 이기숙, 김희진, 박은혜 (2004). 상호작용맥락에 따른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전략: 자유놀이와 과제해결 맥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4), 33-48. 

  33. 이민희, 정태연 (2008).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77-99. 

  34. 이성희 (2009). 만5세반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시 의사결정상황과 반응.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2). 275-298. 

  35. 이은주, 민하영 (2006). 부모의 양육가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541-549. 

  36. 이진화 (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2), 327-344. 

  37. 이한별 (2008).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현지, 정혜욱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1(4), 77-95. doi:10.16978/ecec.2016.11.4.004 

  39. 임지현, 류지현 (2007).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19(2), 163-181. doi:10.17927/tkjems.2007.19.2.163 

  40. 장경문 (2007).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내외향적 성격특성에 따른 자기결정성 및 학업성적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20(1), 165-179. 

  41. 장유정(2015). 초등학생의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전혜경 (201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이 유아의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3), 89-116. 

  43. 전홍주, 박은혜, 이지현 (2012). 부모들의 관점에서 본 유아 문해 교육.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21-142. 

  44. 조인수, 기윤아 (2003). 자기주도적 놀이 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학회지, 7(1), 15-27. 

  45. 최은정, 김금주 (2015).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135-154. 

  46. 황윤세 (2013). 놀이 계획-실행-평가 활동에서의 유아의 의사결정력: 혼합연구방법론의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19-39. 

  47. Cook, C. C., Brotherson, M. J., Weigel-Garrey, C., & Mize, I. (1996). Homes to support the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In D. J. Sands, & M. L. Wehmeyer (Eds.), Self-determination across the lifespan: Independence and cho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p. 91-110). Baltimore, MD: Brookes. 

  48.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49. Erikson, E. H. (1988). Childhood and society, 아동기와 사회(윤진, 김인경 옮김). 서울: 중앙적성출판사(원판 1950). 

  50. Farver, J. M., & Howes, C. (1993). Cultural differences in American and Mexican mother-child pretend play. Merrill-Palmer Quarterly, 39(3), 344-358. 

  51. Fogle, L. M. & Mendez, J. L. (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507-518. doi:10.1016/j.ecresq.2006.08.002 

  52. Garon, N., & Moore, C. (2004). Complex decision-making in early childhood. Brain and Cognition, 55(1), 158-170. doi:10.1016/S0278-2626(03)00272-0 

  53. Haight, W. L., Parke, R. D., & Black, J. E. (1997). Mothers' and fathers' beliefs about and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their toddlers' pretend play. Merrill-Palmer Quarterly, 43(2), 271-290. 

  54. Hendrick, J. & Weissman, P. (2007). Total learning: Developmental curriculum for the young child. Upper Saddle River, NJ: Person Merrill/Prentice Hall. 

  55.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 Gregory, K. M. (2017).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파주: 교문사(원판 2014). 

  56. McGillicuddy-DeLisi, A. V. (1982). Parental beliefs about developmental processes. Human Development, 25(3), 192-200. doi:10.1159/000272796 

  57.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285. doi:10.2307/1130311 

  58.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doi:10.1037/0003-066x.55.1.68 

  59. Sigel, I. E. (1992). The belief-behavior connection: A resolvable dilemma. In I. E. Sigel, A. V. McGillicuddy-DeLisi, & J. J. Goodnow (Eds.), Parental belief system: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pp. 433-45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0. Wehmeyer, M. L. (1995).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Procedural guidelines. Silver Spring, MD: The Arc of the United States and Michael Wehmeyer. 

  61. Wolman, J., Campeau, P., Dubois, P. A., Mithaug, D. E., & Stolarski, V. S. (1994). AIR Self-determination Scale and User Guide. Palo Alto, CA: American Institute for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