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의 놀이 중 또래상호작용: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During Play: The Mediating Roles of Social Immaturity and Withdrawal of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1, 2021년, pp.105 - 124  

변수빈 (푸르니 LG청주어린이집)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hway from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to their child's peer play interactions mediated by internalizing problems, that is, social immaturity and withdrawal.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on mothers and teachers of 341 children aged t...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75)

  1. 강주희 (2013). 주 양육자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또래관계 관련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연희 (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2(2), 29-48. doi:10.18023/kjece.2012.32.2.002 

  3. 권형원 (2020).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 및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분노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미경, 김연화, 한세영 (2008). 어머니와 유아의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7), 71-84. 

  5. 김성희, 정옥분 (2011).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3), 69-92. 

  6. 김세리, 이강이 (2016).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환경자극 및 유아의 행동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6), 41-58. doi:10.14698/jkcce.2016.12.06.041 

  7. 김순자, 조용태 (1998).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적 기술 발달 경향. 대진논총, 6, 97-114. 

  8. 김영아, 이진, 문수종, 김유진, 오경자 (2009). 한국판 CBCL 1.5-5의 표준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1), 117-136. doi:10.15842/kjcp.2009.28.1.007 

  9. 김재희 (2020). 어머니의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 양육이 유아의 외현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99-117. doi:10.14698/jkcce.2020.16.03.099 

  10. 김정림, 허미경 (2013).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 놀이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2), 101-119. doi:10.18023/kjece.2013.33.2.005 

  11. 김지현, 정지나 (2011). 유아의 위축 행동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 대한가정학회지, 49(9), 15-24. 

  12. 김춘경 (2000). 부모의 과잉보호가 아동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인 심리학적 분석. 놀이치료연구, 4(1), 35-49. 

  13. 김향지 (1996). 사회성기술검사(SSRS)의 타당화 연구: 초등학교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회지, 17(1), 121-135. 

  14. 류정민, 신나나 (2018). 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1-20. doi:10.14698/jkcce.2018.14.01.001 

  15. 류호정, 채규만 (2017). 소아정신건강의학과 내원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장애 수준과 사회기술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2), 457-472. doi:10.14257/AJMAHS.2017.02.13 

  16. 문혜련, 엄정애 (2009). 만 5세 남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159-181. 

  17. 민미희 (2019).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간 다집단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3), 1-22. doi:10.22155/JFECE.26.3.1.22 

  18. 박주희, 이은해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 (4), 1-15. 

  19. 박지현 (2010). 위축아동의 위축행동 감소와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배현주 (2003).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위축아동의 모-자녀간의 행동변화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소언주 (2001).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손석한, 노경선, 허묘연, 정현옥, 이소희, 김세주 (2001).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4), 605-615. 

  23. 손은애 (2006). 만 4세 여아의 또래놀이 참여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오경자, 하은혜, 이혜련, 홍강의 (2007).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휴노컨설팅. 

  25. 이경주, 신효식 (1998). 청소년기 자녀가 경험하는 부모의 학대유형과 부적응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6(8), 39-50. 

  26. 이선남, 이경옥 (2015) 유아의 초기 발달수준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5(4), 381-396. doi: 10.18023/kjece.2015.35.4.017 

  27. 이선미, 강윤희 (2018).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리더십 및 어머니의 과보호 행동이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3(6), 261-278. doi:10.20437/koaece23-6-11 

  28. 이숙, 최정미 (2006).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과 아동의 공격성, 위축 및 자기유능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17(2), 69-79. 

  29. 이정희, 한세영 (2019). 어머니의 자기분화, 어머니의 분리불안 및 과보호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0(6), 31-47. doi:10.5723/kjcs.2019.40.6.31 

  30. 정선교, 안선희 (2006). 보육시설에 다니는 저소득층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과 학습행동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217-236. 

  31. 정윤희, 이인수 (2012). 부모 양육태도와 자녀의 분리-개별화와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11), 225-248. 

  32. 정은영, 장정숙 (2008).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개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93-312. 

  33. 정진나 (2018). 유아기 어머니 우울과 학령초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으로서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성차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8(6), 117-136. doi:10.18023/kjece.2018.38.6.005 

  34. 정현빈 (2010).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운주, 김은영 (2014). 유아의 기질 및 부모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8(2), 155-174. 

  36. 최소영, 신혜영 (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11-329. doi:10.14698/JKCCE.2015.11.2.311 

  37. 최은정, 김은향 (2019). 가족상호작용, 부모-자녀상호작용,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1-21. doi:10.20437/koaece24-2-01 

  38. 최혜란, 유지아, 김선미 (2017).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15-30. doi:10.5392/JKCA2017.03.015 

  39.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40. 최혜영, 이은해 (2005).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5), 319-342. 

  41.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42. 홍세희 (2020). Program 2. 매개, 조절,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서울: 박영사. 

  43. 홍정민 (2008). 어머니의 양육 및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45. Benedek, T. (1970). Motherhood and nurturing. In E. J. Anthony & T. Benedek (Eds.), Parenthood: Its psychology & psychopathology (pp. 153-166). Boston, MA: Little, Brown. 

  46. Bogels, S. M., & van Melick M.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port, parent self-report, and partner report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anxiety in children and par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8), 1583-1596. doi:10.1016/j.paid.2004.02.014 

  47. Brenning, K. M., Soenens, B., Van Petegem, S., & Kins, E. (2017). Searching for the root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in emerging adulthood: Investigating the link with parental attachment representations using an actor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8), 2299-2310. doi:10.1007/s10826-017-0744-2 

  48. Burgess, E., & Ernst, J. (2020). Beyond traditional school readiness: How nature preschools help prepare children for academic success. Eric, EJ1255000, 17-33. 

  49. Burgess, K., Rubin, K. H., Cheah, C., & Nelson, L. (2001). Behavioral inhibition, social withdrawal, and parenting. In W. R. Crozier & L. Alden (Eds.), The essential handbook of social anxiety for clinicians (pp.99-120). New York: Wiley. 

  50. Bukowski, W. M. (1990). Age differences in children's memory of information about aggressive, socially withdrawn, and prosociable boys and girls. Child Development, 61(5), 1326-1334. doi:10.1111/j.1467-8624.1990.tb02864.x 

  51. Chawla, L., Keena, K., Pevec, I., & Stanley, E. (2014). Green schoolyards as havens from stress and resources for resilie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ealth & Place, 28, 1-13. doi:10.1016/j.healthplace.2014.03.001 

  52. Chow, C., Pincus, D. B., & Comer, J. S. (2015). Pediatric food allergies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Examining the potential moderating oles of maternal distress and overprotection.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40(10), 1065-1074. doi:10.1093/jpepsy/jsv058 

  53. Clarke, K., Cooper,P., & Creswell, C. (2013). The 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Associations with child and parental anxie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1(2), 618-624. doi:10.1016/j.jad.2013.07.007 

  54. Denham, S. A. (2006).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support for school readiness: What is it and how do we assess i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1), 57-89. doi:10.1207/s15566935eed1701_4 

  55. Doh, H., & Falbo, T. (1999). Social competence, maternal attentiveness, and overprotectiveness: Only childre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3(1), 149-162. doi:10.1080/016502599384044 

  56. Eggum-Wilkens, N. D., Fabes, R. A., Castle, S., Zhang, L., Hanish, L. D., & Martin, C. L. (2014). Playing with others: Head start children's peer play and relations with kindergarten school competen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9(3), 345-356. doi:10.1016/j.ecresq.2014.04.008 

  57.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doi:10.1016/S0885-2006(99)80048-9 

  58.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doi:10.1016/0885-2006(95)90028-4 

  59. Ginsburg, K. R. (2007).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ent-child bonds. Pediatrics, 119(1), 182-191. doi:10.1542/peds.2006-2697 

  60. Gonzalez, O. H. (2019). Play bebaviors in Latino dual language learner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classroom peer pl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Florida, Tampa, USA. Retrieved from https://scholarcommons.usf.edu/etd/7808 

  61.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Rupiper, M. L., & Gregory, K. M. (2017).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 learning (8th ed.),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경기: 교문사(원판 2015). 

  62. Hastings, P. D., & Rubin, K. H. (1999). Predicting mothers beliefs about preschool-aged children social behavior: evidence for maternal attitudes moderating child effects. Child Development, 70(3), 722-741. doi:10.1111/1467-8624.00052 

  63. LaFreniere, P. J., & Capuano, F. (1997). Preventive intervention as means of clarifying direction of effects in socialization: Anxious-withdrawn preschoolers cas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9(3), 551-564. doi:10.1017/S0954579497001302 

  64. Lowinger, R., & Kwok, H. (2001). Parental overprotection in Asian American children: A psychodynamic clinical perspectiv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38(3), 319-330. doi:10.1037/0033-3204.38.3.319 

  65. Mullins, L. L., Wolfe-Christensen, C., Hoff, A. L., Carpentier, M. Y., Gillaspy, S., Cheek, J et al. (2007).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overprotection, perceived child vulnerability, and parenting stress to uncertainty in youth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2(8), 973-982. doi:10.1093/jpepsy/jsm044 

  66. Nelson, L. J., Rubin, K. H., & Fox, N. A. (2005).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2), 185-200. doi:10.1016/j.ecresq.2005.04.007 

  67. Parker, G., & Lipscombe, P. (1981). Influences on maternal overprotectio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8(4), 303-311. doi:10.1192/bjp.138.4.303 

  68. Rubin, K. H., Hymel, S., Mills, R. L., & Rose-Krasnor, L. (1991). Conceptualizing different developmental pathways to and from social isolation in childhood. In D. Cicchetti & S. Toth (Eds.), Rochester Symposium 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 (pp. 91-122). Hillsdale, NJ: Erlbaum. 

  69. Shearer, R. J. B., McWayne, C. M., Mendez, J. L., & Manz, P. H. (2016). Preschool peer play interactions, a developmental context for learning for ALL children: Rethinking issues of equity and opportunity. In K. E. Sanders & A. W. Guerra (Eds.), The culture of child care: Attachment, peers, and quality in diverse communities (pp. 179-20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0. Hullmann, S. E., Wolfe-Christensen, C., Ryan, J. L., Fedele, D. A., Rambo, P. L., Chaney J. M et al. (2010). Parental overprotection, perceived child vulnerability, and parenting stress: A cross-illness comparis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17(4), 357-365. doi:10.1007/s10880-010-9213-4 

  71. Thomasgard, M., & Metz, W. P. (1993). Parental overprotection revisited.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24(2), 67-80. doi:10.1007/BF02367260 

  72. Ungar, M. (2009). Overprotective parenting: Helping parents provide children the right amount of risk and responsibility.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7(3), 258-271. doi:10.1080/01926180802534247 

  73. Van der Bruggen, C. O., Stams, G. J. J. M., & Bogels, S. M. (2008). Research review: The relation between child and parent anxiety and parental control: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9(12), 1257-1269. doi:10.1111/j.1469-7610.2008.01898.x 

  74. Wood, J. J., Kiff, C., Jacobs, J., Ifekwunigwe, M., & Piacentini, J. C. (2007). Dependency on elementary school caregivers: The role of parental intrusiveness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Psychology in the Schools, 44(8), 828-837. doi:10.1002/pits.20268 

  75. Younger, A. J., & Boyko, K. A.(1987). Aggression and withdrawal as social schemas underlying children's peer perceptions. Child Development, 58(4), 1094-1100. doi:10.1111/j.1467-8624.1987.tb01443.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