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내 유통되고 있는 수산물(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및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오염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산물 101건과 어류가공품 44건을 수거하여 수은분석기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전자포획검출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산물은 모두에서 총수은이 검출되었고 메틸수은은 92건에서 검출되어 9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총수은과 메틸수은의 함량은 각각 새치류 $1.968{\pm}0.505$, $0.496{\pm}0.057mg/kg$, 심해성어류 $0.665{\pm}0.091$, $0.252{\pm}0.033mg/kg$, 다랑어류 $0.577{\pm}0.085$, $0.218{\pm}0.025mg/kg$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황새치의 평균값이 총수은은 1.968 mg/kg, 메틸수은은 0.496 mg/kg으로 가장 높았다. 총수은 대비 메틸수은 함량은 심해성 어류인 쏨뱅이류가 66.5%로 가장 높았다.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메틸수은함량은 원육함량 100%인 냉동식품이 가장 높았으며 원재료 함량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를 통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주간섭취량은 JECFA에서 설정한 PTWI의 4.72, 5.24%로 조사된 어류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노출량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tal mercury and methyl mercury level in fishes (Deep-sea Fish, Tuna, Billfish) and fishery products. A total of 101 fishes and 44 fishery products samples collected from commercial market in Gyeonggi-do. Total mercury were analysed by mercury analyzer and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해성 어류와 다랑어류 및 새치류와 이를 주원료로 사용한 다소비 어류가공품을 수거하여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오염도 및 잠정주간섭취량을 통계적으로 산출하여 국내 유통되는 수산식품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식성 어종에 많은 메틸수은이 축적되는 이유는? 전환된 메틸수은은 다시 광화학 반응에 의해 디메틸화를 통하여 다시 무기수은으로 변환되기도 하나, 태양광선이 닿지 않는 심해에서는 광화학반응의 가능성이 낮아, 수심이 깊어질수록 고농도 상태로 존재한다. 환경으로 배출된 유기 수은은 생태계의 먹이연쇄과정을 거치면서 고등생물체에 농축되기 때문에 수생 먹이사슬의 높은 위치에 있는 육식성 어종의 경우 많은 양의 메틸수은이 축적된다5-6). 인간이 수은에 노출되는 주요 경로는 식이를 통한 비중이 가장 크며, 그 중 어류 및 어류가공품을 통한 메틸수은 비중이 가장 크다7).
수은이란? 수은(Hg)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금속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원소수은, 무기수은, 유기수은으로 구분되며, 해양 환경 중에 존재하는 수은은 대체로 무기수은의 형태이다. 무기수은은 토양과 퇴적물 내 미생물의 활동으로 유기형태인 메틸수은으로 전환된다4).
다랑어류 및 새치류의 1일평균 섭취량이 증가세를 나타내는 이유는? 5 g에 비하여19)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어류가공식품의 주원료로 가다랑어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어류가공품 중 통조림의 경우 품목별 생산량으로 보면 참치가 70%이상으로 가장 높은 품목으로 나타났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 Index 2006-55. Korea, pp. 29 (2015). 

  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Yearbook of Fishery Products Export & Import Statistics. Korea, pp. 348 (2010).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 Korea, pp. 27 (2015). 

  4. Craig, P., George, E. and Jenkins, R.: Organometallic compounds in the environment. John Wiley & Sons Ltd, pp. 32-38 (2003). 

  5. Mason, RP., Reinfelder, JR. and Morel, FM.: Bioaccumulation of mer- cury and methylmercury. Water Air Soil Poll. 80, 915-921 (1995). 

  6. Jensen, S. and Jernelov, A.: Biological methylation of mercury in aquatic organisms. Nature 223, 753-754 (1969).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isk profile of methylmercury. Korea. pp. 15 (2010). 

  8. Ekno, S., Susa, M., Ninomiya, T., Imamura, K. and Kitamura, T.: Minamata disease revisited: An update on the acute and chronic manifestations of methylmercury poisoning. J. Neu-rol. Sci. 262, 131-144 (2007). 

  9. MercuryPoisoned.Com.: Symptoms of mercury chronic poisoning. Available from: http://www.mercurypoisoned.com/symptoms.html. (2015). 

  10. Clarkson, T.W., Magos, L. and Myers, G.J.: The toxicology of mercury current exposure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J. Med. 349, 1731-1737 (2003). 

  1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Guideline levels for methylmercury in fish CAC/GL 7-1991. Italy, pp. 1 (1991). 

  12.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ish, shellfish, crustaceans and other aquatic animals-fresh, frozen or processed methyl mercury (CPG 7108.07). Available from: http://www.fda.gov/ora/compliance_ref/cpg/cpgfod/cpg540-600.html. (2007). 

  13. Japanese Society of Food Sanitation.: Standard method of analysis in food safety regulation. Japan, pp. 2270-2271 (2003). 

  14.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881.: Setting maximum levels for certain contaminant in foodstuff.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Available from : http://www.fsai.ie/upload-edFiles/Regulation_EC_No_1881_2006.pdf. (2006).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Switzerland, pp. 16-44 (2008). 

  1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Seventy-second meeting Rome. SUMMARY AND CONCLUSIONS Issued 16th March. JECFA/72/SC, pp. 12-13 (2010). 

  17.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Seventy-second meeting Rome. SUMMARY AND CONCLUSIONS Issued 16th March. JECFA/72/SC, pp. 4 (2010).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Korea. (2013). 

  19. Kim J.A., Yuk D.H., Park Y.A., Choi H.J., Kim Y.C. and Kim M.S.: A Study on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Commercial Tuna, Billfish, and Deep-sea Fish in Seoul Metropolitan C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76-381 (2013). 

  20. Ministry of Oceans &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of Oceans & Fisheries. Korea, pp. 295-303 (2015). 

  21. 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ICH).: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 text and methodology Q2 (R1). pp. 1-13 (2005). 

  22. Kim H.Y., Chung S.Y., Sho Y.S., Oh G.S., Park S.S., Suh J.H., Lee E.J., Lee Y.D., Choi W.J., Eom J.Y., Song M.S., Lee J.O. and Woo G.J.: The Study on the Methylmercury Analysis and the Monitorin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Fish.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82-888 (2005). 

  23. Knowles, T., Farrington, D. and Kestin, S.: Mercury in UK imported fish and shellfish and UK-farmed fish and their products. Food Addit. Contam. 20, 813-818 (2003). 

  2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ercury Levels in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1990-2010).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FoodborneIllnessContaminants/Metals/ucm115644.htm. (2014). 

  25. Park J.S., Jung S.Y., Son Y.J., Choi S.J., Kim M.S., Kim J.G., Park S.H., Lee S.M., Chae Y.Z. and Kim M.Y.: Monitoring of Total Mercury, Methylmercury and Ethylmercury in Fish and Fishery Products Sold in Seoul, Korea. Food Addit. Contam. B4, 268-274 (2011). 

  26. Lee J.O., Oh K.S., Sho Y.S., Park S.S., Suh J.H., Lee E.J., Lee Y.D., Choo M.H., Song M.S. and Woo G.J.: The monitorin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fish. Annu. Rep. KFDA, 9, 147-150 (2005). 

  27. Dabeka, R., McKenzie, A., Forsyth, D. and Conacher, H.: Survey of total mercury in some edible fish and shellfish species collected in Canada in 2002. Food Addit. Contam. 21, 434-440 (2004). 

  28. Joo H.J., Noh M.J., Yoo J.H., Jang Y.M., Park J.S., Kang M.H. and Kim M.H.: Monitoring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Commonly Consumed Aquatic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269-27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