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마오리자놀 함유 칼슘-펙틴 미세 및 나노캡슐의 제조와 입자 크기에 따른 캡슐특성
Preparation of γ-oryzanol-loaded pectin micro and nanocapsu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rticle siz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1, 2017년, pp.110 - 116  

이슬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지수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마오리자놀의 산화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천연 다당류인 펙틴칼슘이온이온결합을 이용한 펙틴 겔 미세캡슐과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의 입자특성은 펙틴, 염화칼슘, 감마오리자놀 농도와 경화시간 변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포집 효율과 방출 조절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펙틴 2%, 염화칼슘 4%, 경화시간 60분에서 제조한 미세캡슐과 펙틴 0.05%, 염화칼슘 4%, 감마오리자놀 5%에서 제조한 나노캡슐을 선정하였다. 입자 크기에 따른 두 캡슐 제형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감마오리자놀 포집 효율은 입자 크기 증가로 인한 내부 포집공간 증가로 미세캡슐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효량 섭취의 효율측면에서 경구투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오리자놀 함유 펙틴 캡슐 모두가 산성에서 방출이 억제되고 중성으로 갈수록 방출이 촉진되어 체내 소화환경에서 효과적인 전달체의 특성을 보였으며, 미세캡슐에 비해 나노캡슐의 방출 조절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 감마오리자놀의 장기 저장과 활성유지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TC법을 통한 지질산화 저해능 평가에서는 저장 5일 이후 유리 감마오리자놀의 산화방지 활성이 감소한 데 반해 감마오리자놀 함유 미세와 나노캡슐은 지속적인 지방산화 억제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와 나노캡슐화는 감마오리자놀의 안정성 및 지질산화 활성 증대에 효과적이며, 제형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mma}-Oryzanol-loaded$ calcium-pectin micro- and nanocapsules were prepared by ionic gelation to improve oxidation stability and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capsule properties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influenced by preparation conditions such as concentr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마오리자놀의 체내 및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펙틴의 이온결합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자 크기의 펙틴 겔 캡슐을 제조하고 입자 크기에 따른 제형 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감마오리자놀 함유 펙틴 미세캡슐과 나노캡슐을 펙틴, 염화칼슘(CaCl2) 농도, 경화시간 및 감마오리자놀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뒤, 제조 조건에 따른 입자 특성과 포집 효율을 관측하고, 두 캡슐 제형의 방출 특성, 온도와 pH에 따른 저장 안정성, 산화방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분야 캡슐화의 대표적 물질 캡슐의 특징은 무엇인가? 식품분야에서는 안전한 천연 다당류들의 이온결합(ionic gelation) 특성을 이용한 캡슐화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대표적 물질로 키토산(chitosan), 알긴산(alginic acid), 펙틴(pectin)이 있다(12). 이중 키토산 캡슐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체내 흡수율에 뛰어나지만, 산성환경에서 방출이 촉진되어 경구투여 시 위장환경에서 내부 유용물질의 산화적 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13). 또한, 알긴산 캡슐의 경우 체내 소화과정에서 효과적인 방출패턴을 보이지만, 이온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겔 구조의 밀도가 높아 지용성 물질의 내부포집 효율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4). 펙틴은 식물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D-갈락쿠룰산(galacturonic acid) 단위의 α-(1,4) 글리코시드(glycosidic) 결합체인 메틸 에스터(methyl ester)로 구성된 복합 다당류로 대장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는 생체에 적합한 무독성의 피복소재이다(15). 또한, 펙틴의 카복실(carboxyl) 기와 2가의 칼슘이온과의 이온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펙틴 겔의 경우 지용성 물질 포집에 상대적으로 적합한 구조와 산성조건 및 소화효소에 대한 강한 저항성으로 인해 지용성 물질의 효과적인 경구투여 전달체로 여겨지고 있다(16). 그러나 펙틴 겔은 지금까지 주로 미세캡슐로만 연구되어 왔고 경구투여 목적의 나노캡슐로는 매우 제한적으로 연구되어왔다(17).
감마오리자놀이란 무엇인가? 감마오리자놀(γ-oryzanol)은 쌀겨에서 추출한 미강유(rice bran oil)에 함유되어 있는 에스터화 된 페룰산 혼합물(ferulic acid mixture)로서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1). 기존 연구들에서 감마오리자놀은 리놀레산과 콜레스테롤의 산화 및 흡수 억제(2,3), 혈중 과산화지질 수준 감소(4), 종양 유도 쥐의 염증 억제(5), 내분비 조절을 통한 항당뇨(6)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캡슐화은 어디에 이용되는 기술인가? 캡슐화(encapsulation)는 특정 물질을 피복물질 내부에 포집하는 기술로 생리활성성분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내부물질의 방출 조절을 통해서 유용성분의 체내 체류 시간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선택적 작용을 유도시킴으로써 효능을 극대화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11). 식품분야에서는 안전한 천연 다당류들의 이온결합(ionic gelation) 특성을 이용한 캡슐화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대표적 물질로 키토산(chitosan), 알긴산(alginic acid), 펙틴(pectin)이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Friedman M. Rice brans, rice bran oils, and rice hulls: Composition, food and industrial uses, and bioactivities in humans, animals, and cells. J. Agr. Food Chem. 61: 10626-10641 (2013) 

  2. Bergman C, Xu Z. Genotype and environment effects on tocopherol, tocotrienol, and ${\gamma}$ -oryzanol contents of Southern US rice. Cereal Chem. 80: 446-449 (2003) 

  3. Makynen K, Chitchumroonchokchai C, Adisakwattana S, Failla M, Ariyapitipun T. Effect of gamma-oryzanol on the bioaccessibility and synthesis of cholesterol. Eur. Rev. Med. Pharmacol. Sci. 16: 49-56 (2012) 

  4. Son MJ, Rico CW, Nam SH, Kang MY. Influence of oryzanol and ferulic acid on the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status in high fat-fed mice. J. Clin. Biochem. Nutr. 46: 150-156 (2010) 

  5. Akihisa T, Yasukawa K, Yamaura M, Ukiya M, Kimura Y, Shimizu N, Arai K. Triterpene alcohol and sterol ferulates from rice bran and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J. Agr. Food Chem. 48: 2313-2319 (2000) 

  6. Ohara K, Kiyotani Y, Uchida A, Nagasaka R, Maehara H, Kanemoto S, Hori M, Ushio H. Oral administr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and ${\gamma}$ -oryzanol prevents stress-induced hypoadiponectinemia. Phytomedicine 18: 655-660 (2011) 

  7. Marimuthu S, Adluri RS, Rajagopalan R, Menon VP. Protective role of ferulic acid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yperlipidemia and histological alterations in experimental rats.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24: 59-66 (2013) 

  8. Deepam LA, Sundaresan A, Arumughan C. Stability of rice bran oil in terms of oryzanol, tocopherols, tocotrienols and sterols. J. Am. Oil Chem. Soc. 88: 1001-1009 (2011) 

  9. Julianto T, Yuen KH, Noor AM. Improved bioavailability of vitamin E with a self emulsifying formulation. Int. J. Pharm. 200: 53-57 (2000) 

  10. Umehara K, Shimokawa Y, Miyamoto G. Effect of gamma-oryzanol on cytochrome P450 activities in human liver microsomes. Biol. Pharm. Bull. 27: 1151-1153 (2004) 

  11. Fang Z, Bhandari B. Encapsulation of polyphenols-a review. Trends Food Sci. Technol. 21: 510-523 (2010) 

  12. Racovi?? S, Vasiliu S, Popa M, Luca C. Polysaccharides based on micro-and nanoparticles obtained by ionic gelation and their applications as drug delivery systems. Rev. Roum. Chim. 54: 709-718 (2009) 

  13. Keawchaoon L, Yoksan R.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release study of carvacrol-loaded chitosan nanoparticles. Colloid Surf. B Biointerfaces 84: 163-171 (2011) 

  14. Elmowafy EM, Awad GA, Mansour S, El-Shamy AE-HA. Ionotropically emulsion gelled polysaccharides beads: Preparation,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Carbohydr. Polym. 75: 135-142 (2009) 

  15. Lemarchand C, Gref R, Couvreur P. Polysaccharide-decorated nanoparticles. Eur. J. Pharm. Biopharm. 58: 327-341 (2004) 

  16. Lee JS, Chung D, Lee HG. Optimization of calcium pectinate gel beads for sustained-release of catechi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t. J. Biol. Macromol. 42: 340-347 (2008) 

  17. Mishra R, Banthia A, Majeed A. Pectin based formulation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 review. Asian J. Pharm. Clin. Res. 5: 1-7 (2012) 

  18. Ezhilarasi P, Karthik P, Chhanwal N, Anandharamakrishnan C. Nanoencapsulation techniques for food bioactive components: A review. Food Bioprocess Tech. 6: 628-647 (2013) 

  19. Joye IJ, McClements DJ. Biopolymer-based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Fabric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19: 417-427 (2014) 

  20. Jang KI, Lee HG. Stability of chitosan nanoparticles for L-ascorbic acid during heat treatment in aqueous solution. J. Agr. Food Chem. 56: 1936-1941 (2008) 

  21. Bucci R, Magri AD, Magri AL, Marini F. Comparison of three spectrophotometri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gamma}$ -oryzanol in rice bran oil. Anal. Bioanal. Chem. 375: 1254-1259 (2003) 

  22. Yoo S-H, Song YB, Chang PS, Lee HG. Microencapsulation of a-tocopherol using sodium alginate and its controlled release properties. Int. J. Biol. Macromol. 38: 25-30 (2006) 

  23. Cacace J, Reilly EE, Amann A. Comparison of the dissolution of metaxalone tablets (Skelaxin) using USP apparatus 2 and 3. AAPS Pharm. Sci. Tech. 5: 29-31 (2004) 

  24. Lilitchan S, Tangprawat C, Aryusuk K, Krisnangkura S, Chokmoh S, Krisnangkura K. Partial extraction method for the rapid analysis of total lipids and ${\gamma}$ -oryzanol contents in rice bran. Food Chem. 106: 752-759 (2008) 

  25. Lee JS, Park SA, Chung D, Lee HG. Encapsulation of astaxanthin- rich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for antioxidant delivery. Int. J. Biol. Macromol. 49: 268-273 (2011) 

  26. Sarmento B, Ribeiro A, Veiga F, Ferreira D.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new insulin containing polysaccharide nanoparticles.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53: 193-202 (2006) 

  27. Opanasopit P, Apirakaramwong A, Ngawhirunpat T, Rojanarata T, Ruktanonchai U.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ectinate micro/nanoparticles for gene delivery. AAPS Pharm. Sci. Tech. 9: 67-74 (2008) 

  28. Zigoneanu IG, Astete CE, Sabliov CM. Nanoparticles with entrapped ${\alpha}$ -tocophero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controlled release. Nanotechnology 19: 105606 (2008) 

  29. Puguan JMC, Yu X, Kim H.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iffusion behavior of Ca-alginate gel beads prepared by different gelation methods. J. Colloid Interface Sci. 432: 109-116 (2014) 

  30. Sriamornsak P, Kennedy RA. A novel gel formation method,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lcium polysaccharide gel films. Int. J. Pharm. 323: 72-80 (2006) 

  31. Fu X, Ping Q, Gao Y. Effects of formulation factors on encapsulation efficiency and release behaviour in vitro of huperzine APLGA microspheres. J. Microencapsul. 22: 705-714 (2005) 

  32. Liu L, Fishman ML, Kost J, Hicks KB. Pectin-based systems for colon-specific drug delivery via oral route. Biomaterials 24: 3333-3343 (2003) 

  33. Kim WT, Chung H, Shin IS, Yam KL, Chung D. Characterization of calcium alginate and chitosan-treated calcium alginate gel beads entrapping allyl isothiocyanate. Carbohydr. Polym. 71: 566-573 (2008) 

  34. Panyam J, Dali MM, Sahoo SK, Ma W, Chakravarthi SS, Amidon GL, Levy RJ, Labhasetwar V. Polymer degradation and in vitro release of a model protein from poly (D, L-lactide-co-glycolide) nano-and microparticles. J. Controlled Release 92: 173-187 (2003) 

  35. Killen BU, Corrigan OI. Factors influencing drug release from stearic acid based compacts. Int. J. Pharm. 228: 189-198 (2001) 

  36. Ouimet MA, Griffin J, Carbone-Howell AL, Wu W-H, Stebbins ND, Di R, Uhrich KE. Biodegradable ferulic acid-containing poly (anhydride-ester): Degradation products with controlled release and sustained antioxidant activity. Biomacromolecules 14: 854-86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