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흥도선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imbers from the Yeongheungdo Shipwreck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1, 2017년, pp.35 - 42  

차미영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흥도선은 인천 옹진군 섬업벌 해역에서 인양된 통인신라시대의 고선박이다. 이 고선박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최대함수율과 온수추출, 알카리추출, 유기용매추출, 리그닌, 홀로셀룰로오스, 회분 분석을 통한 화학조성 분석과 FT-IR 및 solid state $^{13}C$ NMR, XRD을 통해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영흥도선 선체편 외층의 최대함수율은 평균 623%로 수침고목재의 전형적인 특징인 셀룰로오스 감소에 따른 리그닌의 상대적인 증가 및 회분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즉 영흥도선 선체편 외층의 셀룰로오스 흡수피크는 소멸되거나 현저하게 감소되어 나타났다. 또한 리그닌을 나타내는 흡수피크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영흥도선 선체편 내층의 경우 헤미셀룰로오스와 일부 결정 및 비결정 영역의 셀룰로오스 흡수피크가 감소하여 나타났다. 따라서 영흥도선 선체편의 외층과 내층의 분해 정도의 차이가 큼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Yeongheungdo shipwreck was excavated in the sea of Seomeopbeol, Ongjin-gun, Incheon, Korea.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imbers from the shipwreck occurred via maximum moisture content, chemical composition, FT-IR, solid state $^{13}C$ NMR, and XRD analyses. As maximum moisture co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난파선과 같이 크기가 큰 대형의 수침고목재는 하나의 선체편 내에서도 분해정도의 차이가 크다(Kim, 1990b). 따라서 고선박과 같은 대형의 수침고목재는 보존처리에 앞서 상태 파악 및 보존처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화학적 특성 분석을 진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선박과 같은 대형의 수침고목재를 보존처리 하기 전에 하는 일은? 또한 난파선과 같이 크기가 큰 대형의 수침고목재는 하나의 선체편 내에서도 분해정도의 차이가 크다(Kim, 1990b). 따라서 고선박과 같은 대형의 수침고목재는 보존처리에 앞서 상태 파악 및 보존처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화학적 특성 분석을 진행한다.
영흥도선은 무엇인가요? 영흥도선은 2013년 인천 옹진군 섬업벌 해역에서 인양된 고선박으로 잔존 크기는 길이 6 m, 폭 1.4 m이다. 이 고선박은 선체 구조 및 결구 방식이 경주 안압지선과 유사하다는 것, 8∼9C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파도무늬 도기병이 선체 내부에서 발굴되었다는 것, 중앙 저판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 후 위글매치(wiggle matching)법으로 분석한 결과 95.4%의 신뢰구간에서 A.D. 710∼730년과 A.D. 750∼774년으로 확인된 것을 종합하여 통일신라시대로 편년 되었다(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2014). 
영흥도선 선체편 외층과 내층의 화학적 특성은 어떻게 나타났나요? 영흥도선 선체편 외층과 내층의 화학적 특성은 매우 상이하였다. 외층은 분해가 많이 진행된데 반하여 내층의 분해정도는 미비하여 건전재와 유사한 상태였다. 또한 회분이 함량이 매우 높았던 바 영흥도선의 보존처리에는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보존처리 방침을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det, M., Gerbaud, G., Giffard, M., Doan, C., Hediger, S. and Pape, L.L., 2009, $^{13}C$ high-resolution solid-state NMR for structural elucidation of archaeological woods. Progress i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55, 199-214. 

  2. Bjordal, C.G., 2012, Microbial degradation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3, 118-122. 

  3. Cha, M.Y., Lee, K.H., and Kim, Y.S., 2006, Alter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after cleani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9, 19-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e Jong, J., 1977, Conservation techniques for old waterlogged wood from shipwrecks found in the Netherlands. in Walters A.H.(ed.), Biodeterioration investigation techniques. Applied Science Publishers, London, 295-338. 

  5. Fors, Y., Nilsson, T., Risberg, E.D., Sandstrom, M. and Torssander, P., 2008, Sulfur accumulation in pinewood (Pinus sylvestris) induced by bacteria in a simulated seabed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marine archaeological wood and fossil fuel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62, 336-347. 

  6. Giachi, G., Bettazzi, F., Chimichi, S. and Staccioli, G., 2003,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egraded wood in ships discovered in a recent excavation of the Etruscan and Roman harbour of Pisa.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4, 75-83. 

  7. Grattan, D.W., 1987, 3 Waterlogged wood. Conservation of Marine Archaeological Objects, Butterworth & Co., Oxford. 55-67. 

  8. Hedges, J.I., 1990, The chemistry of archaeological wood, Archaeological wood properties chemistry and preserva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11-140. 

  9. Hoffmann, P., 1981, Chemical wood analysis as a means of characterizing archaeological wood. Proceedings of the ICOM Waterlogged Wood Working Group Conference, Ottawa, September 5-18, 73-83. 

  10. Hoffmann, P. and Jones, M.A., 1990, Structure and degradation process for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Archaeological Wood Properties Chemistry and Preserva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35-65. 

  11. Jensen, P. and Gregory, D.J., 2006, Selected physical parameters to characterize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a practical guide for their determination.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 551-559. 

  12. Kim, E.H. and Cha, M.Y., 2014, Identification of timber of Yeongheungdo Shipwreck. Incheon Ongjingun Yeongheungdo Shipwreck Underwater Excavation. 368-372. (in Korean) 

  13. Kim, I.J., 1990a, Chemical and micromorphological changes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 degraded in marine situations. Conservation Studies, 11, 157-169. (in Korean) 

  14. Kim, I.J., 1993, Conserv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imber form the Jindo logboat. Report on the Excavation of Jindo Logboat Mokpo Conservation Institute for Maritime Archaeological Finds, 121-129. (in Korean) 

  15. Kim, Y.S., 1990b,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logged wood. Holzforschung. 44, 169-172. 

  16. Kim, Y.S. and Newman, R.H., 1995, Solid state $^{13}C$ NMR study of wood degraded by the brown rot fungus Gloeophyllum trabeum. Holzforschung, 49, 109-114. 

  17. Kim, Y.S., Kim, G.H. and Kim, Y.S., 2004, Wood Protectio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in Korean) 

  18. Kim, Y.S. and Singh, A.P., 2000,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od biodegradation in wet environments: a review. IAWA Journal, 21, 135-155. 

  19. Kuo, M.L., McClelland, J.F., Luo, S., Chien, P.L., Walker, R.D. and Hse, C.Y., 1988, Applications of infrared photo-acoustic spectroscopy for wood samples. Wood Fiber Science, 20, 132-145. 

  20. Lee, W.Y. and Kim, N.H., 1992, Fine structure of some major softwoods and Hardwoods by x-ray diffraction methods. Mokchae Konghak, 20(1), 28-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ionetto, F., Quarta, G., Cataldi, A., Cossa, A., Auriemma, R., Calcagnile, L. and Frigione, M., 2014, Characterization and dating of waterlogged woods from an ancient harbor in Italy.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5, 213-217. 

  2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2014, Incheon Ongjingun Yeongheungdo Shipwreck underwater excavatio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Oron, A., Liphschitz, N., Held, B.W., Galili, E., Klein, M., Linker, R. and Blanchette, R., 2016, Characterization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en objects exposed on the hyper-saline Dead Sea shor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9, 73-86. 

  24. Pizzo, B., Pecoraro, E., Alves, A., Macchioni, N. and Rodrigues, J.C., 2015, Quantitative evaluation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infrared (ATR-FTIR) spectroscop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ecayed wood preserved in waterlogged conditions. Talanta, 131, 14-20. 

  25. Salanti, A., Zoia, A., Tolppa, E.L., Giachi, G. and Orlandi, M., 2010, Characterization of waterlogged wood by NMR and GPC techniques. Microchemical Journal, 95, 345-352. 

  26. Sawada, M., 2000, Introduction of conservation science(trans. Kim, S.B. and Chung, K.Y.). Seokyung Publishing Co., 89-93.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27. Segal, L., Creely, J.J., Martin, A.E. and Conrad, C.M., 1959, An empirical method for estimating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native cellulose using the X-ray diffractometer. Textile Research Journal, 29, 786-794. 

  28. Singh, A.P., 2012, A review of microbial decay types found in wooden objects of cultural heritage recovered from buried and waterlogged environment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3, 16-20. 

  29. Technical Association of Pulp and Paper Industry, 1996-1997, TAPPI standard. 

  30.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2011, Conservation Science Terminology. (in Korean) 

  31. Wise, I.E., Murphy M. and D'Addieco A.A., 1946, Chlorite Holocellulose, it's fraction bearing on summative wood analysis and on the hemicelluloses. Paper Trade Journal, 122, 35-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