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만 동부해역에 분포하는 멸치(Engraulis japonicus)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Eastern Jinhae Bay,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1, 2017년, pp.92 - 97  

김현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정재묵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박종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Engraulis japonicas (3.2-11.0 mm SL) were examined based on 414 individuals, collected in October 2010, and from June to September 2011,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ern Jinhae Bay, Korea. E. japonicus, fed mainly on copepods 62.6% IRI and tintinnid were the second-lar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멸치 자치어를 대상으로 주 먹이생물을 파악하고,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 일주기 섭식율, 월별 먹이생물 조성을 바탕으로 진해만 동부해역에 우점하여 분포하는 멸치 자치어의 식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이후 본 해역에 출현하는 멸치 자치어 생태 변화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진해만 동부해역의 멸치 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자료로 제공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멸치란 무엇인가? 멸치(Engraulis japonicus)는 청어목(Clupeiformes), 멸치과(Engraulidae)에 속하는 어류로 표층에서 군집 생활을 하고 (Kim et al., 2005), 주 산란기는 3월에서 6월이며 분리부성란을 산란하는 특성을 가진다(Chyung, 1977).
멸치의 산란 특성은? 멸치(Engraulis japonicus)는 청어목(Clupeiformes), 멸치과(Engraulidae)에 속하는 어류로 표층에서 군집 생활을 하고 (Kim et al., 2005), 주 산란기는 3월에서 6월이며 분리부성란을 산란하는 특성을 가진다(Chyung, 1977). 멸치는 전 세계적 으로 식품으로 이용되는 어류 중 하나로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상업성 어종이기 때문에 이들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멸치 자치어의 섭식된 생물 중 출현량이 적었던 것은 무엇인가? 5%를 나타 내었다. 이 외에 윤충류(Rotifera), 난(Eggs), 규조류(Diatom)를 섭식되었지만 출현량은 매우 적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ng CY. 2010. Invertebrate Fauna of Korea-Continental Harpacticoida, NIBR, Korea 21, 246. 

  2. Choi HC, Han IS, Suh YS and Huh SH. 2015a. Feeding Habits of Larval Konosirus punctatus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8, 752-759. http://dx.doi.org/10.5657/kfas.2015.0752. 

  3. Choi HC, Huh SH, Park JM, Baeck GW and Suh YS. 2015b. Feeding Habits of Larval Liparis tanakae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8, 368-376. http://dx.doi.org/10.5657/kfas.2015.0368. 

  4.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 Publishing, Seoul, Korea. 

  5. Govoni JJ and Chester AJ. 1990. Diet composition of larval Leiostomus xanthurus in and about the Mississippi River plume. J Plankton Res 12, 819-830. http://dx.doi.org/10.1093/plankt/12.4.819. 

  6. Han KH, Lee SH, Hwang JH, Yeon IH, Kim HJ and Oh SJ. 2011. Early developmental morphology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Bull Fish Sci Inst Chonnam Nat Univ 19, 17-22. 

  7. Huh SH and Kwak SN. 1997. Feeding habits of Pholis nebulosa. Korean J Ichthyol 9, 22-29. 

  8. Islam MS and Tanaka M. 2009. Diet and prey selection in larval and juvenil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Ariake Bay, Japan. Aquat Ecol 43, 549-558. http://dx.doi.org/10.1007/s10452-008-9207-6. 

  9. Jenkins GP. 1987. Comparative diets, prey selection, and predatory impact of co-occuring larvae of two flounder species. J Exp Mar Biol Ecol 110, 147-170. http://dx.doi.org/10.1016/0022-0981(87)90025-6. 

  10. Kim IS, Choi Y, Lee CH,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 Seoul, Korea, 615. 

  11. Kim MJ. 2012. Feeding ecology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s Thesis Pukyong Natl Univ, Busan, Korea. 

  12. Kim MJ, Youn SH, Kim JY and Oh CW. 2013. Feeding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1, 275-287. http://dx.doi.org/10.11626/kjeb.2013.31.4.275. 

  13. Kim SH and Pang IC. 2015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 of Transport Mechanism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July and November, 2001. J Korean Fish Soc 38, 331-341. http://dx.doi.org/10.5657/kfas.2005.38.5.331. 

  14. Kim YO and Jang MC. 2008. Temporal Distribution of Planktonic Ciliates in Jangmok Bay, South Coast of Korea. Ocean Polar Res 30, 419-426. http://dx.doi.org/10.4217/opr.2008.30.4.419. 

  15. Lee SJ and Go YB. 2003. Development of Trunk Musculature and Fins in the Early Growth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Korean J Ichthyol 15, 45-52. 

  16. Park KJ and Cha SS. 1995. Food Organisms of Postlarvae of Japanese Anchovy(Engraulis japonicus)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28, 247-252. 

  17. Pinkas L, Oliphant MS and Iverson I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18. Soh HY. 2010 Invertebrate fauna of Korea-Marine Planktonic Copepods. NIBR, 21, 199. 

  19. Soh HY and Choi SD.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occurrence patterns of zooplankton in Jinhae Bay. Korean J Environ Biol 22, 43-56. 

  20. Takatsu T, Suzuki Y, Shimizu A, Imura K, Hiraoka Y and Shiga N. 2007. Feeding habits of stone flounder Platichthys bicoloratus larvae in Mutsu Bay, Japan. Fish Sci 73, 142-155. http://dx.doi.org/10.1111/j.1444-2906.2007.01312.x. 

  21. Urtizberea A, Fiksen O, Folkvord A and Irigoien X. 2008. Modelling growth of larval anchovies including diel feeding patterns, temperature and body size. J Plankton Res 30, 1369-1383. http://dx.doi.org/10.1093/plankt/fbn090. 

  22. Yamaji I. 1984. Illustration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538. 

  23. Yasue N, Doiuchi R, Yoshimoto Y and Takeuchi T. 2010. Diet of late larval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Kii Channel, Japan. Fish Sci 76, 63-73. http://dx.doi.org/10.1007/s12562-009-0181-2. 

  24. Yoo GI, Hue HK and Lee WC. 1991. Taxonomical revision on the genus Acartia (copepoda : calanoida) in the Korean Waters. Bull Korean Fish Soc 24, 255-265. 

  25. Yoo KI, Kim YO and Kim DY. 1988. Taxonomical Studies on Tintinnids (Protozoa: Ciliata) in Korean Coastal Waters - 1. Chinhae Bay. Korean J Syst Zool 4, 67-90. 

  26. Youn SH, Oh GS and Chung MH. 2010.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pepod Produc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Korean Soc Mar Environ Saf 16, 369-379 

  27. Zhang W, Xu K, Wan R, Zhang G, Meng T, Xiao T, Wang R, Sun S and Choi JK. 2002. Spatial distribution of ciliates, copepod nauplii and eggs, Engraulis japonicus post-larvae and microzooplankton herbivorous activity in the Yellow Sea, China. Aquat Microb Ecol 27, 249-259. http://dx.doi.org/10.3354/ame027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