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하절기 낙동강 창녕함안보 구간에서의 수질특성 및 영향인자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and correlation of impact factors during summer season in changnyeong-haman weir section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1 no.1, 2017년, pp.83 - 91  

정선영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일규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hl-a and water quality factors using characteristics of climate data, water quality factors, and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during the summer season in the Nakdong River during the 2-year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창녕함안보 구간의 본류 3지점과 지류 2지점의 하절기일 때 기상, 수리, 수질인자에 대한 2년 동안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수질 특성 및 수질인 자와 Chl-a와의 상관성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2015). 본연구에서는 창녕함안보 구간의 수질을 대상으로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수질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창녕함안보 구간의 수질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영양화의 주요 요인은? , 2015). 뿐만 아니라 최근 부영양화는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영양물질과 호수의 증발로 인한 자연적인 발생보다 생활하수, 공장폐수, 인분, 가축분뇨 등의 오폐수 및 비료가 살포된 농경지의 유출수 등에 포함된 영양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이중 특히 인의 유입이 부영양화에 영향을 많이 끼친다고 하였다(Oh et al., 1999; Kim, 2016).
4대강은 무엇인가? 낙동강은 총길이가 525 km에 달하는 국내 최대의 하천 중의 하나이며, 4대강(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 중에서 연중 부영양화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다 (Hwang et al. 2007; Lim et al.
하천의 수질평가에 대해 통계분석중 조류 발생 영향 인자에 주로 사용하는 기법은? 최근 하천의 수질평가에 대해 통계분석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통계분석법을 이용해 수질 관리를 보다 쉽게 수행해야 할 것이다. 조류 발생 영향 인자에 대한 연구를 위한 많은 분석 방법 중 다변량 통계분석은 복합적인 조류발생과 수계의 특성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고 해석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Jeong et al., 2010;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eong, C.J., (2010). Seasonal Variation of Pic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J. of Kor. Soc. Environ. Eng., 32(3), 271-277. 

  2. Cho, K.J., Shin, J.K. (1998). Dynamics of Inorganic N.P nutrient and planktonic algae during summer and winter i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Limnology, 31(1), 67-75. 

  3. Jeong, E.J., Na, J.E., Kim, G.M., Shim, S.S., Lee, H.Y. (2010). Water Temperature and Community of Phyoplankton in Youngsan River, Korea, Korean J. Envrion. Biol., 28(2), 56-63. 

  4. Jung, K.Y., Ahn, J.M., Kim, K.S., Lee, I.J., Yang, D.S. (2016).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Grade Classification of Geumho River Tributari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6), 767-787. 

  5. Jung, S.J., Lee, D.J., Hwang, K.S., Lee, K.H., Choi, K.C., Im, S.S., Lee, Y.H., Lee, J.Y., Lim, B.J. (2012). Evaluation of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Yeongsan Rive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Korean Limnology, 45(4), 368-377. 

  6. Kim, G.H., Jung, K.Y., Yoon, J.S., Cheon, S.U. (2013).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6), 429-437. 

  7. Kim, M.S., Chung., Y.R., Suh, E.H., Song, W.S. (2002). Eutrophication of Nakdong River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lgae, 17(2), 105-115. 

  8. Kim, Y.W. (2016). Correlation analysis of main stream and tributaries in the Nakdong River for water qualities and algae occurrences,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9-11. 

  9. K-water (2013). Development of Methods for Optimal Algae Control Reflecting the Algae Growth Characteristics of Weirs in Four Major Rivers, KIWE-WRRC-13-0, 69-94. 

  10. K-water (2015). Estimation of the Social Benefits from the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Artificial Flood by Dam, Repert. 

  11. Lee S.H. (2015). A Study on mass balance analysis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weir segments,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12. Lee, J.H., Kim, I.H. (2015). Water Quality Monitoring of Changnyeong-Hamahn Weir: With Chlorophyll a and Nutr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5(2), 93-100. 

  13. Lim, J.S., Kim, Y.W., Lee, J.H., Park, T.J., Byun, I.G. (2015).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a and Multiple Parameter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J. of Kor. Soc. Environ. Eng., 37(5), 253-261. 

  14. Lim, J.S., Lee, J.H., Kim, Y.W., Lee, B.H.. Byun, I.G. (2014). Characteristics Interpretation of Algae Occurrence Through the Complex Evaluation of Effect Parameters at Mulgeum in Nakdong River, KSWST Jour. Wat. Treat., 22(6), 155-165. 

  15. Na, E.H., Park, S.Y., Kim, J.H., Im, S.S., Kim, K.H. (2015). A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Water Quality in the Middle Area of the Nakdong River, Korea, J. Korean Soc. Water Environ., 31(6), 723-731. 

  16. Noh, S.Y., Shin, Y.N., Choi, H.L., Lee, J.Y., Lee, J.A., Rhew, D.H. (2015).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on Environmental Change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3), 278-286. 

  17. Park, H.K., Byeon, M.S., Choi, M.J., Kim, Y.J. (2008). The Effect Factors on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nd the Sources of Organic Matters in Downstream of South-Han River, J. Korean Soc. Water Environ., 24(5), 556-562. 

  18. Park, S.B., Lee, S.K., Chang, K.H., Jeong, K.S., Joo, G.J. (2002). The impact of monsoon rainfall (Changma) on the chahges of water quality in the lower Nakdong river (Mulgeum), Korean J. Limnol., 35(3), 160-171. 

  19. Yeon, I.S., Hong, J.Y., Hong, E.Y., Lim, B.J. (2010).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of Chlorophyll-a Data Monitored Continuously in DaeCheong Reservoir, J. Korean Soc. Water Environ., 26(6), 994-999. 

  20. Yu, J.J., Lee, H.J., Lee, K.L., Lee, I.J., Jung, G.Y., Cheon, S.U. (2014).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Algal Communities in the Nakdong River, J. Korean Soc. Water Environ., 30(5), 539-548. 

  21. Yu, J.J., Lee, H.J., Lee, K.L., Lyu, H.S., Whang, J.W., Shin, L.Y., Chen, S.U. (2014).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7(4), 247-257. 

  22. Yu, J.J., Nakdong River Water Environment Laboratory, (2005).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water quality variation in the Nakdong river, 11-1480433-000008-01, 20-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