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중소규모 흙댐의 지진 시 파괴확률 산정 도표 제안
A Proposal of Seismic Failure Probability Estimation Chart of the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Earthfill Dam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8 no.3, 2017년, pp.31 - 38  

하익수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yungnam University) ,  이수권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yungnam University) ,  김남룡 (K-water Institute) ,  임정열 (K-water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반공학적 물성정보가 거의 없는 국내 중소규모 댐의 지진 시 파괴확률을 간편하게 산정할 수 있는 도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의 댐의 지진 시 파괴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절차를 검토하여, 댐의 지반공학적 물성정보와는 상관없이 지진 시 파괴확률이 '0'이 되는 지진파괴확률 영곡선을 댐높이-여유고율 평면에서 쌍곡선의 형태로 결정하였다. 국내 중소규모 댐들의 댐높이-여유고율 분포형태가 지진파괴확률 영곡선과 같이 쌍곡선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여, 다수의 등파괴확률 곡선(seismic failure probability contour)이 댐높이-여유고율 평면에서 일정한 간격의 다수의 쌍곡선들로 표시되는 지진파괴확률 산정 도표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도표는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지반공학적인 정보를 충분히 가진 2개의 중소규모 댐들의 지진 시 파괴 확률 산정에 적용하여, 기존 절차와 방법으로 산정된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제안된 도표는 중소규모댐의 지진대비 보수보강의 투자 우선순위 등을 고려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art that can easily estimate the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small and medium sized earthfill dams with little geotechnical information. By considering the existing method and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a dam, the zero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댐 정보로부터 중소규모 댐의 지진 시 파괴확률을 산정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기존의 댐 지진 시 파괴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절차, 산정 결과들을 검토하고, 국내 96개 중소규모 댐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반공학적 물성정보가 거의 없는 국내 중소규모 댐의 지진 시 파괴확률을 간편하게 산정할 수 있는 도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의 지진 시 댐 파괴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절차를 검토하여, 댐의 지반공학적 물성정보에 상관없이 지진 시 파괴확률이 ‘0’이 되는 지진파괴확률 영곡선(zero seismic failure probability curve)을 댐높이-여유고율 평면에서 쌍곡선의 형태로 결정하였다.
  • 즉, 중소규모 댐의 지진 시 파괴확률을 댐높이와 여유고율정보만으로 추정할 수 있는 도표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도표는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지반공학적인 정보를 충분히 가진 2개의 중소규모 댐들의 지진 시 파괴확률 산정에 적용하여, 기존 절차와 방법으로 산정된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도표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모 5.8의 지진은 언제 어디서 생겼는가? 2016년 9월 12일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6km 지점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 지진은 기상청 관측 이래 국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으로서, 9월 19일 규모 4.
국민안전처의 보도 자료에 의하면,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어떠한가? 5의 여진을 비롯하여 500회 이상의 여진이 3개월여 지속되었다. 국민안전처의 보도 자료에 의하면 이번 지진으로 인하여, 총 23명의 부상자와 전통한옥의 기와 파손, 불국사다보탑 난간 탈락, 첨성대 기욺 등 총 9,368건의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피해액도 11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규모 5.8의 지진의 특징은? 8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 지진은 기상청 관측 이래 국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으로서, 9월 19일 규모 4.5의 여진을 비롯하여 500회 이상의 여진이 3개월여 지속되었다. 국민안전처의 보도 자료에 의하면 이번 지진으로 인하여, 총 23명의 부상자와 전통한옥의 기와 파손, 불국사다보탑 난간 탈락, 첨성대 기욺 등 총 9,368건의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피해액도 11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ngemoen, W., Fiedler, W. and Osmun, D. (2015), The role of empiricism in quantitative risk analysis, Proc. of 35th Annul USSD Conference, USSD, Louisville, pp. 73-83. 

  2. Ha, I. S., Lee, S. G., Lim, J. Y. and Jung, Y. H. (2016),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estimated by considering freeboard on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6, No. 3, June, pp. 451-461 (in Korean). 

  3. Hepler, T., Fiedler, B. and LaBoon, J. (2009), Risk analysis for Shasta dam raise, Proc. 29th Annul USSD Conference, USSD, Nashville, pp. 1167-1179. 

  4. Kore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Dam design criterion, MLTM, pp. 223-224 (in Korean). 

  5. Kore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NEMA) (2013), Nation Earthquake Harzard Map, NEMA announcement No. 2013-179, pp. 1-10 (in Korean). 

  6. Noh, K. L., Lim, J. Y., Mok, Y. J. and Jung, Y. H. (2014), Estimating geotechnical system response probability of internal erosion risk in fill dam using event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4, No. 6, December, pp. 1815-1829 (in Korean). 

  7. Pace, T. G., Schaefer, J. A., O'Leary, T. M. and Rauch, A. F. (2008), Simplified estimation of seismic deformation for risk analysis, Proc. 28th Annul USSD Conference, USSD, Portland, pp. 521-532. 

  8. Pell, S. and Fell, R. (2003), Damage and cracking of embankment dams by earthquake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nal erosion and piping, Proc. 21st Internal Congress on Large Dams, Montreal. ICOLD, Paris Q83-R17, International Commission on Large Dams, Paris. 

  9. Swaisgood, J. R. (2003), Embankment dam deformations caused by earthquakes, Proc. 2003 Pacific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Seattle, Washington, pp. 1-8. 

  10.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2009), Internal erosion toolbox. 

  11. US Bureau of Reclamation (USBR) and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2015), Best practices in dam and levee safety risk analysis-methods to evaluate seismic risks for embankments, Ver.4.0, July. 

  12. Yegian, M. K., Marciano, E. A. and Ghaharman, V. G. (1991), Seismic risk analysis for earth dams, J. Geotech. Engrg., Vol. 117, No. 1, January, pp. 18-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