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real number e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0 no.4, 2017년, pp.495 - 519  

최은아 (우석대학교) ,  이홍렬 (우석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실수 e의 다양한 의미와 맥락을 살펴보고,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실수 e의 역사적 발생과 수학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여 예비교사 28명에게 적용하고, 그 중 8명에게 반성 및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실수 e의 형식적 정의와 그 표현과의 관계를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실수 e의 표현을 극한 표현에 편중되어 이해하고 있었다. 실수 e의 무리수 속성과 작도 불가능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적절한 판단을 내렸으나, 그 근거에서는 다소 미흡한 면모를 드러내었다. 또한 실수 e의 연속 복리 맥락과 지수함수 맥락에는 높은 이해도를 나타낸 반면에, 기하적 맥락과 자연로그 맥락을 미흡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예비교사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으로, 예비교사들에게 실수 e의 다양한 표현과 속성, 맥락에 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실수 e의 다양한 측면이 잘 조직된 관계망 속에서 통합 지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real number e an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real number e. 28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take a test based on the various ideas of the real number e and 8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view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수 e는 대수적으로 어떤 속성을 가지는가? 한편 실수 e는 대수적으로 무리수이자 초월수라는 속성을 가진다. Euler는 논문 <연분수에 관한 에세이>에서  이 분모에 등차수열이 나오는 무한 연분수로 표현된다는 사실로부터   가 무리수임을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e가 무리수임을 증명하였다.
π가 초월수임을 증명하는 것은 어떤 수의 증명이 이끌었나? 오랜 역사를 가진 π가 수학적 의미와 유용성 측면에서 가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해석학을 비롯한 고등수학 분야에서는 지수함수를 구성하는 e의 수학적 가치에 보다 더 주목한다. 무리수와 초월수의 증명의 역사에서도 e 에 대한 증명이 π의 증명을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Euler가 e 가 무리수임을 증명한 후 30여년이 지나서야 π가 무리수임을 Lambert가 증명할 수 있었으며(Cajori, 1905; Fey, 1969; Boyer & Merzbach, 2000), e 가 정수 계수 다항방정식의 해가 될 수 없는 초월수라는 사실을 증명한 Hermite의 방법은 이후 Lindemann이 π가 초월수임을 증명한 방법에 그대로 활용되었다(Maor, 2000).
학교수학에서 다루는 수 중에는 수의 발생과 확장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에 부합되지 않는 수가 있는데 이 수는 무엇인가? 그런데 학교수학에서 다루는 수 중에는 수의 발생과 확장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에 부합되지 않는 다소 인공적인 수가 존재한다. 자연상수 e 가 바로 그 대표적인 사례로, 세기 상황 또는 측정 상황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찾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정수 계수 방정식의 해가 될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미적분에서 가장 중요한 함수라고 할 수 있는 지수함수 ex 와 그 역함수 자연로그 lnx의 밑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실수 e 는 정의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고희정, 고상숙 (2013).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57-185.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3. 곽성훈 (2014). 고등학교 미분적분학과 무리수 e의 지도방안.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홍종 (2014). 미적분학 1+.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5. 민세영, 박선용 (2002). 쌍곡선의 구적법에 의한 자연로그의 도입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2(1), 81-93. 

  6. 정상권, 이재학, 박혜숙, 홍진곤, 박부성, 최홍원, 민진원, 김호경. (2014). 미적분 II. 서울: 금성출판사. 

  7.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나귀수, 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8. 이동근, 양성현, 신재홍 (2017). 자연상수 e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지수함수 $y2^x$ 의 x0에서의 순간변화율 구성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9(1), 95-116. 

  9. 이성숙 (2013). 무리수 e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이해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하영화, 고호경 (2013). 중학교 기하에 관한 교사의 인지적 지식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87-200. 

  11. 한혜원 (2012). 고등학교 수학에서 무리수 e의 지도 방안.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허남구, 강향임, 최은아 (2017). 지수함수 그래프의 구성 맥락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27(3), 411-430. 

  13. 허훈 (2013). 무리수 e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5. Boyer, C. B. & Merzbach, U. C.(2000), 수학의 역사 (양영오.조윤동 역). 서울:경문사. (원저 1968년 출판). 

  16. Cajori, F. (1905). History of mathematics, London: the Macmillan Company. 

  17. Cajori, F. (1917). History of elementary mathematics with hints on methods of teaching. London: the Macmillan Company. 

  18. Coolidge, J. L. (1950). The number e.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57(9), 591-602. 

  19. Denzin, N. K. & Lincoln, Y. S. (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 Fey, J. T. (1969). The number e, In J. K. Baumgart (Eds), Historical topics for the mathematics classroom, Reston, VA: NCTM. 

  21. Freudenthal, H. (2008). 프로이덴탈의 수학교육론. (우정호, 정은실, 박교식, 유현주, 정영옥, 이경화 공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91년 출판) 

  22. Glaz, S. (2010). The enigmatic number e: A history in verse and its us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MAA Loci: Convergence, April 2010. MAA: Washington DC. 

  23. Havil, J. (2014). 무리수: 헤아릴 수 없는 수에 관한 이야기. (권혜승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94년 출판) 

  24. Maor, E. (2000).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허민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94년 출판) 

  25. O'Connor, J. J. & Robertson, E. F. (2001). The number e. St Andrews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www-history.mcs.st-and.ac.uk/HistTopics/e.html. 

  26. Zazkis, R., & Gadowsky, K. (2001). Attending to transparent features of opaque representations of natural numbers. NCTM, 44-52. 

  27. Zazkis, R., & Sirotic, N. (2010). Representing and Defining Irrational Numbers: Exposing the Missing Link.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16.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