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nduced Loss of Consciousness(G-LOC) 예측을 위한 신체 부위별 Electromyogram(EMG) 신호 분석
Analysis on Electromyogram(EMG) Signals by Body Parts for G-induced Loss of Consciousness(G-LOC) Prediction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20 no.1, 2017년, pp.119 - 128  

김성호 (공군사관학교 시스템공학과) ,  김동수 (공군사관학교 기초과학과) ,  조태환 (공군사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  이용균 (공군사관학교 기초과학과) ,  최부용 (공군사관학교 기초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duced Loss of Consciousness(G-LOC) can be predicted by measuring Electromyogram(EMG) signals.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specific body parts and lacked of consideration with quantitative EMG ind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ices of EMG signals by human body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효과적인 G-LOC 예측을 위하여 신체 부위와 G-LOC 상태에 따른 정량적 EMG 신호의 발생경향을 분석하고, 최적 신체 부위 및 EMG 지표를 선정하고자 한다. 신체 부위(목, 복부, 종아리)와 G-LOC발생 전/후에 따른 7가지 EMG 지표 데이터는 실험참여자가 EMG 센서를 부착 후 실제 비행환경과 유사한 중력가속도 장비를 활용하여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LOC의 정의는 무엇인가?  G-induced Loss of Consciousness(G-LOC)은 중대한 항공기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G-LOC의 정의는 비행 중 조종사의 +Gz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급가속에 의한 뇌혈류량 감소로 발생하는 의식상실 상태이다[1]. G-LOC의 발생은 대개 +5 Gz 부근부터 발생하여 시력 변화부터 나타나게 되는데, 주변시력이 흐려지거나 좁혀지는 현상인 Tunnel Vision 또는 일시적 시력 감소 현상인 Greyout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되면 안구운동 능력 상실에 따른 완전한 시력 감소 현상인 Blackout이 발생함과 동시에 G-LOC 상태에 빠지게 된다[2].
목부위가 G-LOC 전/후 상태에 따른 근수축력 저하를 감지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생각된 까닭은 무엇인가?  G-LOC 전/후 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종아리 부위에 EMG 센서를 부착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먼저, 목 부위에서는 RMS, IAV, MAV, 그리고 WL이 경고 구간이 정상 구간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종사들이 의식 상실에 따른 목 부위 경직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목 부위는 G-LOC 전/후 상태에 따른 근수축력 저하를 감지하는 것이 부적절하여 제외되었다.
G-LOC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조종사들의 G-LOC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Anti-G suit착용, 조종좌석 각도 조절, Anti-G Straining Maneuver(AGSM) 활용 등의 +Gz 내성 증진 방법과 조종사 힘 패턴 분석, 생체신호 분석 등의 G-LOC 상태 모니터링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Gz 내성 증진 방법으로 AntiG suit는 +Gz 증가에 따라 하체에 혈류량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심장으로 순환되는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장비로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 Choi, D. Kim and M. Kim, "Effectiveness of EMG in Development of G-induced Loss of Consciousness(G-LOC) Warning System,"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Systems, No. 129, pp. 1-4, 2014. 

  2. Jeffrey R. Davis, Robert Johnson, Jan Stepanek and Jannifer A. Fogarty, "Fundamentals of Aerospace Medicin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3. A. Lance, O. Robert, B. Ulf, I. Wayne and W. Paul, "Evaluation of the Joint Service Mustang Anti-G Suit," AFRL-HE-BR-TR-2005-0081, 2005. 

  4. C. Lee and S. Park, "The Effects of High Sustained +Gz under Different Seat Back Angles," J.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15, No. 1, pp. 69-78, 1996. 

  5. Y. Kim, "G-induced Loss of Consciousness," Korean J. of Aero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2, No. 1, pp. 82-91, 1992. 

  6. C. Kim, B. Hwang, I. Kang, S. Jang, K. Kim and M. Park, "Development of Gravity-Induced Loss of Consciousness(GLOC) Monitoring System and Automatic Recovery System," J.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17, No. 7, pp. 704-713, 2011. 

  7. Y. Wu, H. Sun, J. Cammarota and L. Hrebien, "Wavelet Decomposition Method on EEG Analysis of G-LOC Phenomena," In Proceedings of the 19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1997. 

  8. S. Park, D. Shin, H. Park, Y. Lee, D. Shin and K. Park, "Diagnostic Approach with Quantitative Analysis of Polysomnography in REM Sleep Behavior Disorder," J.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Vol. 9, pp. 46-51, 2012. 

  9. Y. Shin, S. Kim, S. Ok and S. Kim, "The Influence of a Muschle Relaxant on Bispectral Index During the Propofol Induction of Anesthesia," Korean J. of Anesthesiol, Vol. 54, No. 4, pp. 373-377, 2008. 

  10. B. Bigland and O. Lippold, "The Relation between Force, Velocity and Integrated Electrical Activity in Human Muscles," J. of Physiol, Vol. 123, No. 1, pp. 214-224, 1954. 

  11. HH. Chen, YC. Wu and MD. Kuo, "An Electromyographic Assessment of the Anti-G Straining Maneuver,"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75, No. 2, pp. 162-167, 2004. 

  12. K. Netto and A. Burnett, "Neck Muscle Activation and Head Postures in Common High Performance Aerial Combat Maneuvers,"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77, No. 10, pp. 1049 -1055, 2006. 

  13. J. Lim, J. Seo and K. Chung, "The changes on EMG Before & After G-Loc," J. of Korean Military Medical Association, Vol. 40, No. 1, pp. 66-76, 2009. 

  14. Rangarj M. Rangayyan, "Biomedical Signal Analysis, A Case-Study Approach," WILEY INTER-SCIENCE, 2002. 

  15. R. Merletti, L. Lo Conte, E. Avignone and P. Guglielminotti, "Modeling of Surface Myoelectric Signals-Part I : Modeling Implementation," IEEE Trans. Biomed. Eng., Vol. 46, No. 7, pp. 810-820, 1999a. 

  16. R. Merletti, S. H. Roy, E. Kupa, S. Roatta and A. Granata, "Modeling of Surface Myoelectric Signals-Part II: Modeling-based Signal Interpretation," IEEE Trans. Biomed. Eng., Vol. 46, No. 7, pp. 821-820, 1999b. 

  17. S. Oliverira and M. Concalves, "EMG Amplitude and Frequency Parameters of Muscular Activity :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based on Electromyographic Fatigue Threshold," J. Electromyogr Kinesiol, Vol. 19, No. 2, pp. 295-303, 2009. 

  18. M. Cornawall and L. Krock, "Electromygraphic Acitivity While Performing the Anti-G Straining Maneuver During High Sustained Acceleration,"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63, No. 11, pp. 971-975, 1992. 

  19. B. Bain, I. Jacobs and F. Buick, "Electromyographic Indices of Muscle Fatigue During Simulated Air Combat Maneuvering,"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65, No. 3, pp. 193-198,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