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양모/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및 충격강도에 미치는 폐양모섬유의 알칼리처리 또는 실란처리 영향
Influence of Alkali or Silane Treatment of Waste Wool Fib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Impact Strength of Waste Wool/Polypropylene Composite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8 no.3, 2017년, pp.118 - 126  

김기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조동환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섬유강화 복합재료에서 여러 가지 섬유표면 개질을 통해서 천연섬유와 고분자매트릭스 사이에 계면접착과 복합재료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많은 연구 노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폐양모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복합재료를 압축성형공정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그들의 기계적 특성 및 충격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폐양모/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인장 및 굴곡 특성 그리고 충격강도는 수산화나트륨(NaOH)을 이용한 알칼리처리와 3-glycidylpropylsilane(GPS)을 이용한 실란처리와 같은 처리매체에 크게 의존하였다. 실란처리를 한 폐양모섬유를 포함한 복합재료는 알칼리처리를 한 폐양모섬유를 포함한 것보다 더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충격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복합재료 파단면은 특성 증가가 폐양모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사이에 계면결합의 향상에 의한 것임을 정성적으로 뒷받침해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natural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any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improving th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natural fiber and polymer matrix and the composite properties through various fiber surface modifications. In the present study, waste wool-reinforced polypropylene matrix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압축성형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동물성 천연섬유이며 산업용 폐기물인 폐양모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그들의 기계적 특성과 충격강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폐양모 천연섬유의 표면을 각각알칼리용액 또는 실란용액으로 처리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복합재료의 인장, 굴곡 및 충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압축성형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동물성 천연섬유이며 산업용 폐기물인 폐양모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그들의 기계적 특성과 충격강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폐양모 천연섬유의 표면을 각각알칼리용액 또는 실란용액으로 처리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복합재료의 인장, 굴곡 및 충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체에서 견직물 직조 시 직물의 말단에서 스크랩으로 버려지는 폐양모섬유와 범용열가소성수지인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폐양모/PP복합재료를 압축성형 방법으로 제조한 후, 복합재료 제조 전에 행한 폐양모섬유의 표면처리가 복합재료의 기계적, 충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P의 기계적 특성과 충격저항성은PP에 폐양모를 보강섬유로 사용하였을 때 크게 증가하였으며, 폐양모섬유를 각각 1 중량%의 NaOH 또는 3-glycidylpropylsilane(GPS)로 처리하여 사용하였을 때 폐양모/PP 복합재료의 굴곡특성, 인장특성 및 충격특성은 더욱 크게 향상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섬유의 표면개질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천연섬유강화 고분자복합재료를 성형할 때 고분자수지의 성형온도에 따라 천연섬유는 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성형가공온도의 범위에 제한이 있다. 둘째, 복합재료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수지 사이의 계면접착력의 향상과 기계적 특성의 증대를 위해서 천연섬유의 표면개질이 필요하다.
천연섬유강화 고분자복합재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복합재료에 관한 연구는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장점 때문에 학계 및 산업계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3-5]. 첫째, 친환경 천연섬유의 사용으로 환경문제경감에 기여한다. 둘째, 고분자매트릭스수지의 선택에 따라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셋째, 천연섬유의 비중이 유리섬유의 약 1/2로 부품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넷째, 천연섬유는 자연에 매우 풍부하여 복합재료의 출발소재 비용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다섯째, 식물성 천연섬유는 재배과정에서 산소를 발생하고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므로 천연섬유 사용은 지구환경에 도움이 된다. 여섯째, 천연섬유는 인체와 작업환경에 안전하다. 그러나 천연섬유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복합재료의 물성 향상을 위하여 개선될 부분이 있다.
동물성 천연섬유의 단점은 무엇인가? 천연섬유강화 고분자복합재료에 사용되는 천연섬유로는 줄기로부터 얻어지는 flax(아마), jute(황마),hemp(대마), kenaf(양마) 또는 열매나 잎에서 얻어지는 coir(코이어), banana(바나나)와 같은 식물성 셀룰로스계 산업용 천연섬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6-9], silk(견섬유)나 wool(양모)과 같이 동물로부터 얻어지는 단백질계 천연섬유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10,11]. 그러나 식물성 천연섬유와 비교할 때, 동물성 천연섬유는 충분한 양의 공급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 복합재료의 보강섬유로의 활용에 제한이 따른다. 스크랩 양모(scrap wool)이라고도 일컫는 폐양모(waste wool)는 직물산업의 직조과정에서 부산물로 매우 저렴한 가격에 쉽게 얻어질 수 있으며, 바이오자원 재활용 측면에서도 활용가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 Cho, S. G. Lee, W. H. Park, and S. O. Han, Polym. Sci. Technol., 13, 460 (2002). 

  2. Y. Pang, S. B. Yoon, J. M. Seo, S. O. Han, and D. Cho, J. Adhes. Interf., 6, 12 (2005). 

  3. A. K. Monhanty, M. Misra, and L. T. Drzal, J. Polym. Environ., 1, 19 (2002). 

  4. A. N. Netravali and S. Chabba, Materialstoday, April, 22 (2003). 

  5. R. Fisher, Compos. Manufact., March, 20(2006). 

  6. A. K. Bledzki and J. Gassan, Prog. Polym. Sci., 24, 221 (1999). 

  7. M. Abdelmouleh, S. Boufi, M. N. Belgacem, and A. Dufresne, Compos. Sci. Technol., 67, 1627 (2007). 

  8. T. Nishio, K. Hirao, M. Kotera, K. Nakamae, and H. Inagaki, Compos. Sci. Technol., 63, 1281 (2003). 

  9. K. C. M. Nair, S. Thomas, and G. Groeninckx, Compos. Sci. Technol., 61, 2519 (2001). 

  10. S. M. Lee, D. Cho, W. H. Park, S. G. Lee, S. O. Han, and L. T. Drzal, Compos. Sci. Technol., 65, 647 (2005). 

  11. S. M. Lee, S. O. Han, D. Cho, W. H. Park, and S. G. Lee, Polym. Compos., 12, 479 (2005). 

  12. M. Zampaloni, F. Pourboghrat, S. A. Yankovich, B. N. Rodger, J. Moore, L. T. Drzal, A. K. Mohanty, and M. Misra, Composites.: Part A, 35, 363 (2004). 

  13. S. V. Joshi, L. T. Drzal, A. K. Mohanty, and S. Arora, Composites., Part A, 35, 371 (2004). 

  14. Y. H. Han, S. O. Han, D. Cho, and H. I. Kim, Compos. Interf., 14, 559 (2007). 

  15. M. Zampaloni, F. Pourboghrat, S. A. Yankovich, B. N. Rodger, J. Moore, A. K. Mohanty, M. Misra, and L. T. Drzal, Composites, Part A, 38, 1569 (2007). 

  16. S. J. Kim, J. B. Moon, G. H. Kim, and C. S. Ha, Polym. Testing, 27, 801 (2008). 

  17. A. K. Mohanty, M. Misra, and L. T. Drzal, Compos. Interf., 8, 313 (2001). 

  18. L. Conzatti, F. Giunco, P. Stagnaro, A. Patrucco, C. Tonin, C. Marano, M. Rink, and E. Marsano, Composites: Part A, 61, 51 (2014). 

  19. R. S. Carran, A. Ghosh, and J. M. Dyer, J. Appl. Polym. Sci.,132, 42392 (2015). 

  20. K. Kim, D. Cho, and J. H. Kim, J. Adhes. Interf., 9, 16 (2008). 

  21. J. Rout, M. Misra, S. S. Tripathy, S. K. Nayak and A. K. Mohanty, Compos. Sci. Technol., 61, 1303 (2001). 

  22. K. Goda. M. S. Sreekala, A. Gomes, T. Kaji, and J. Ohgi, Compos. Sci. Technol., 63, 1241 (2003). 

  23. D. Cho, S. G. Lee, W. H. Park, and S. O. Han, Fiber Technol. Indus., 8, 378 (2004). 

  24. S. Huda, T. Drzal, K. Mohanty, and Misra, Compos. Sci. Technol., 68, 424 (2008). 

  25. M. Fransesca, T. Manuel, O. Raquel, and F. Marco, Dental Mater., 22, 1024 (2006). 

  26. 장병호, 김영석, 하완식, 최영엽, 섬유재료학, 형설출판사 (1999) 5장. 

  27. C. Popescu and F.-J. Wortmann, in Industrial Applications of Natural Fibres: Structure, Properties and Technical Applications" Ed. J. Mussig, John Wiley and Sons, Ltd, Publication, West Sussex, Chapter, UK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