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나무섬유/PLA 바이오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충격강도 및 열변형온도에 미치는 대나무섬유 수처리의 영향
Water Treatment Effect of Bamboo Fib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Impact Strength, and Heat Deflection Temperature of Bamboo Fiber/PLA Biocomposite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7 no.3, 2016년, pp.96 - 103  

조용범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조동환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스계 천연섬유인 대나무와 poly(lactic acid) (PLA)로 구성된 펠렛압출공정으로 제조하고, 여러 가지 함량의 대나무섬유/PLA 바이오복합재료를 사출공정을 통해 성형하였다.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 인장, 충격 특성 및 열변형온도에 미치는 대나무섬유의 수처리 영향을 조사하였다. 천연섬유의 열안정성, 바이오복합재료의 굴곡특성, 인장탄성률 및 충격특성은 섬유 함량은 물론 수처리 유 무에 의존한 반면, 열변형온도는 주로 수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바이오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과 충격특성의 증가는 이를 구성하고 있는 대나무섬유와 PLA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결합력이 대나무섬유의 수처리에 의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는 친환경적이고 작업친화적인 물을 이용한 천연섬유의 전처리가 바이오복합재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여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pellets consisting of cellulose-based natural fiber bamboo and poly(lactic acid) (PLA) was prepared by extrusion process and then bamboo fiber/PLA biocomposites with various fiber contents were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water treatment effect of bamboo fibers on the 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복합재료 제조를 위한 성형기술을 습득하고 천연섬유의 표면을 처리하는 수단으로 친환경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바이오복합재료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생분해성 열가소성 수지 중 하나인 PLA를 매트릭스수지로 사용하고, 대나무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여 압출공정과 사출공정 기술에 의해 여러 가지 대나무섬유 함량을 갖는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조하였으며, 압출공정 전에 물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대나무섬유가 바이오복합재료의 열적, 기계적 특성과 충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복합재란 무엇인가? 최근 세계적으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식물성 또는 동물성 천연섬유(natural fiber)로 강화된 고분자매트릭스 복합재료, 즉 바이오복합재(biocomposit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3]. 바이오복합재료는 이들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자동차 내⋅외장재를 중심으로 스포츠/레저 부품소재, 건축 내⋅외장재 및 산업용 부품소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현재 응용되고 있거나 응용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4].
바이오복합재료의 단점은 무엇인가? 바이오복합재료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뿐 아니라, 유리섬유보다 가격이 훨씬 저렴하고 비중이 낮은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므로 제품을 경량화할 수 있으며, 비(specific) 인장특성이 유리섬유에 비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친수성인 셀룰로스계 천연섬유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소수성인 고분자매트릭스와 낮은 결합력을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5,6]. 따라서, 바이오복합재료는 종종 성형공정 전에 알칼리용액, 실란용액 등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방법이나 전자빔, 열 등을 이용한 물리적 처리방법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천연섬유의 표면을 개질하여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소재 물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7-10].
바이오복합재료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최근 세계적으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식물성 또는 동물성 천연섬유(natural fiber)로 강화된 고분자매트릭스 복합재료, 즉 바이오복합재(biocomposit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3]. 바이오복합재료는 이들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자동차 내⋅외장재를 중심으로 스포츠/레저 부품소재, 건축 내⋅외장재 및 산업용 부품소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현재 응용되고 있거나 응용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4]. 특히, 유럽, 미국 및 일본의 여러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헤드라이너(headliner), 도어트림(door trim), 콘솔박스(console box), 패널(panel) 같은 자동차부품소재에 기존의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을 대체하여 경량화를 꾀하는 동시에 원료소재의 가격도 절감하려는 목적으로 바이오복합재료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 K. Mohanty, L. T. Drzal, D. Hokens, and M. Misra, Polym. Mater. Sci. Eng., 85, 594 (2001). 

  2. E. Bodros, I. Pillin, N. Montrelay, and C. Baley, Compos. Sci. Technol., 67, 462 (2007). 

  3. P. Wambua, J. Ivens, and I. Verpoest, Compos. Sci. Technol., 63, 1259 (2003). 

  4. D. Cho, S. G. Lee, W. H. Park, and S. O. Han, Polym. Sci. Technol., 13, 460 (2002). 

  5. M. S. Huda, L. T. Drzal, A. K. Mohanty, and M. Misra, Compos. Sci. Technol., 68, 424 (2008). 

  6. D. Cho, H.-J. Kim, and L. T. Drzal, "Polymer Composites Volume 3: Biocomposites", S. Thomas, K. Joseph, S. K. Malhotra, K. Goda, M. S. Sreekala, Wiley-VCH Verlag GmbH & Co, KGaA, Weinhein (2013). 

  7. J. M. Seo, D. Cho, W. H. Park, S. O. Han, T. W. Hwang, C. H. Choi, and S. J. Jung, J. Biobased Mater. Bioener., 1, 331 (2007). 

  8. H. S. Lee, D. Cho, and S. O. Han, Macromol. Res., 16, 411 (2008). 

  9. S. G. Ji, W. H. Park, D. Cho, and B. C. Lee, Macromol. Res., 18, 919 (2010). 

  10. S. G. Ji, J. H. Hwang, D. Cho, and H.-J. Kim, J. Adhes. Sci. Technol., 27, 1359 (2013). 

  11. R. Tokoro, F. G. Shin, and M. W. Yipp, J. Mater. Sci., 24, 3483 (1989). 

  12. S. Jain and R. Kumar, J. Mater. Sci., 27, 4598 (1992). 

  13. F. T. Wallenberger and N. E. Weston, "Natural Fibers, Plastics and Composit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4). 

  14. S. Lee and S. Wang, Composite: Part A, 37, 80 (2006). 

  15. J. Gassan and A. Bledzki, Polym. Compos., 20, 62 (1999). 

  16. S. Lee, B. Lee, H. Kim, S. Kim, and Y. G. Eom, Mokchae Konghak, 37, 310 (2009). 

  17. M. M. Thwe and K. Liao, Composites: Part A, 33, 43 (2002). 

  18. D. Wu, Y. Zhang, M. Zhang, and W. Zhou, Euro. Polym. J., 44, 2171 (2008). 

  19. N. Nagasawa, A. Kaneda, S. Kanazawa, T. Yagi, H. Mitome, F. Yoshii, and M. Tamada, Nuclear Instru. Meth. Phys. Res. B, 236, 611 (2005). 

  20. T. Yu, J. Ren, S. Li, and Y. Li, Composites: Part A, 41, 499 (2010). 

  21. A. K. Bledzki, A. Jaszkiewicz, and D. Scherzer, Composites: Part A, 40, 404 (2009). 

  22. K. Oksman, M. Skrifvars, and J.-F. Selin, Compos. Sci. Technol., 63, 1317 (2003). 

  23. B. Bax and J. Mussig, Compos. Sci. Technol., 68, 1601 (2008). 

  24. Y. Woo and D. Cho, Adv. Compos. Mater., 22, 451 (2013). 

  25. H.-J. Kwon, J. Sunthornvarabhas, J.-W. Park, J.-H. Lee, H.-J. Kim, K. Piyachomkwan, K. Sriroth, and D. Cho, Composites: Part B, 56, 232 (2014). 

  26. M. S. Islam, K. L. Pickering, and N. J. Foreman, Polym. Degrad. Stab., 95, 59 (2010). 

  27. D. Cho, J. M. Seo, H. S. Lee, C. W. Cho, S. O. Han, and W. H. Park, Adv. Compos. Mater., 16, 29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