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죽여 추출물로 합성한 금 나노 입자의 특성과 항산화 활성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Bambusae Caulis in Taeniam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2, 2017년, pp.239 - 248  

박진오 (부산대학교 대학원 나노융합기술학과) ,  박근태 (부산대학교 대학원 나노융합기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GNPs) considered more ecofriendly and cost effective than other chemical methods use of dangerous reagents and solvents, improved material and energy efficiency and enhanced design of non-toxic produc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green synthesis method for 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천연물 중 대나무 속껍질로서 해열 작용, 항염증 작용, 항암 작용, 진해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죽여(Bambusae Caulis in Taeniam)를 사용하여 금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게다가 죽여 추출물로 합성된 금 나노 입자가 가지는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금 나노 입자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여 생체 사용에 적합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Muthukumar et al.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천연물 중 약리활성이 우수한 죽여를 사용하여 기존의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대체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금 나노 입자를 합성 하여 그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나노기술에서의 나노물질은 100 미만의 크기를 범주로 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 죽여로 합성한 금 나노 입자는 일반적인 크기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금이 가지는 기본적인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 나노 입자는 그들이 가지는 광학적, 기계적, 화학적인 특성들이 벌크 입자와는 전혀 다른 독특한 성질을 보유하며,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특성들을 활용하기 위하여 금 나노입자의 인체 적용과 생리활성을 바탕으로 한 유용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의도로 본 연구에서는 죽여로 합성한 금 나노 입자의 세포독성과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MTT assay와 DPPH 라 디컬 소거능, ABTS 소거능과 같은 항산화능 분석과 더불어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기술은 어떤 분야 산업에 적용 되는가? 21세기로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첨단기술 중의 하나가 10억분의 1 m 단위의 미세구조를 다루는 나노기술이다. 이러한 나노기술은 전자, 재료, 의료, 생명공학, 환경, 에너지 등 최근의 거의 모든 첨단 분야 산업에 적용되어 인류의 미래 산업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융합경제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나노기술과 접목된 바이오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금 나노 입자가 질병진단과 치료에 활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질병진단과 치료에 금 나노 입자가 활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금 나노 입자의 생체적합성을 들 수 있다. 보통 금속성분의 경우 일부 금속원자가 산화되고 생체 내 세포막이 손상 되어 체내에 독성을 야기 시키나 금은 환원전위가 높아 다른 금속에 비하여 이온형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낮아 체내에서 안전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금 나노 입자의 표면 개질의 특성은 무엇에 활용되는가? 또한 금 나노 입자는 다른 나노 입자에 비해 표면을 쉽게 개질(reform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금 나노 입자 표면에 단백질, 펩 티드, 또는 DNA와 같은 질병인식이 가능한 생체소재를 부착시킬 수도 있고, 인체에 무해하고 회복 성분을 가진 식물 유래 화학물질이나 천연물을 부착시켜 직접 질병 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다(Guo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med, A., Senapati, S., Khan, M. I., Kumar, R., Srinivas, V., Sastry, M., 2003, Intracellular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by a novel alkalotolerant actinomycete, Rhodococcus species, Nanotech-nology, 14, 824-828. 

  2. Ahmed, S., Annu, I. S., Yudha, S. S., 2016, Bio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 A Green approach, J.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161, 141-153. 

  3. Anuradha, J., Abbasi, T., Abbasi, S. A., 2015, An Eco-friendly method of synthesizing gold nanoparticles using an otherwise worthless weed pistia (Pistia stratiotes L.), J. of Adavanced Research, 6(5), 711-720. 

  4. Aueviriyavit, S., Phummiratch, D., Maniratanachote, R., 2014, Mechanistic study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silver and gold nanoparticles in caco-2 cells Induction of the Nrf2/HO-1 pathway by high concentrations of silver nanoparticles, Toxicol. Lett., 224(1), 73-83. 

  5. Chae, S. Y., Park, S. Y., Park, J. O., Lee, K. J., Park, G., 2016, Gardenia jasminoides extract-capped gold nanoparticles reverse hydrogen peroxide-induced premature senescence, J. of Photochemistry & Photobiology, B: Biology, 164, 204-211. 

  6. Guo, J., O'Driscoll, C. M., Holmes, J. D., Rahme, K., 2016, Bioconjugated gold nanoparticles enhance cellular uptake : A Proof of concept study for siRNA delivery in prostate cancer cells, Int. J. Pharm., 509(1-2), 16-27. 

  7. Khan, A. U., Yuan, Q., Wei, Y., Khan, G. M., 2016, Photocatalytic and antibacterial response of biosynthesized gold nanoparticles, J.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162, 273-277. 

  8. Lee, J. K., Kim, S. C., Kim, H. J., Lee, C. G., Ju, C. H., Lee, L. C., 2003, A Study on the zeta potential measurement and the stability analysis of nano fluids using a particle image processing system, J. of ILASS-Korea, 8(1), 16-22. 

  9. Manivasagan, P., Bharathiraja, S., Bui, N. Q., Jang, B., Oh, Y., Lim, I. G., Oh, J., 2016, Doxorubicin-loaded fucoidan capped old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and photoacoustic imaging, Int. J. Biol. Macromol., 91, 578-588. 

  10. Muthukumar, T., Sudhakumari, S. B., Aravinthan, A., Sastry, T. P., Kim, J. H., 2016, Green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and their enhanced synergistic antitumor activity using HepG2 and MCF7 cells and its antibacterial effects, Process Biochemistry, 51(3), 384-391. 

  11. Nakkala, J. R., Bhagat, E., Suchiang, K., Sadras, S. R., 2015,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nd catalytic activity of silver and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costus pictus leaf extract, J. of Materials Science & Technology, 31(10), 986-994. 

  12. Nune, S. K., Chanda, N., Shukla, R., Katti, K., Kulkami, R. R., Thilakavathi, M. S., Kannan, R., Katti, K. V., 2009, Green nanotechnology from tea : Phytochemicals in tea as building blocks for production of biocompatible gold nanoparticles, J. Mater. Chem., 19(19), 2912-2920. 

  13. Oh, J. H., Son, M. Y., Choi, M. S., Kim, S., Choi, A. Y., Lee, H. A., Kim, K. S., Kim, J., Song, C. W., 2016, Integrative analysis of genes and miRNA alterations in human embryonic stem cells-derived neural cells after exposure to silver nanoparticles,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99, 8-23. 

  14. Pallotta, A., Boudier, A., Leroy, P., Clarot, I., 2016, Characterization and stability of gold nanoparticles depending on their surface chemistry : Contribution of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to a quality control, J. of Chromatography A, 1461, 179-184. 

  15. Razzaq, H., Saira, F., Yaqub, A., Qureshi, R., Mumtaz, M., Saleemi, S., 2016, Interaction of gold nanoparticles with free radicals and their role in enhancing the scavenging activity of ascorbic acid, J.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161, 266-272. 

  16. Saquib, Q., Al-Khedhairy, A. A., Ahmad, J., Siddiqui, M. A., Dwivedi, S., Khan, S. T., 2013, Zinc ferrite nanoparticles activate IL-1b, NFKB1, CCL21 and NOS2 signaling to induce mitochondrial dependent intrinsic poptotic pathway in WISH cells, Toxicol. Appl. Pharmacol., 273(2), 289-297. 

  17. Sathiskumar, G., Pradeep, K., Jha, V. V., Rajkuberan, C., Jeyaraj, M., Selvakumar, M., Rakhi, J., Sivaramakrishnan, S., 2016, Cannonball fruit (Couroupita guianensis, Aubl.) extract mediated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and evaluation of its antioxidant activity, J. of Molecular Liquids, 215, 229-236. 

  18. Shaheen, T. I., El-Naggar, M. E., Hussein, J. S., El-Bana, M., Emara, E., El-Khayat, Z., Fouda, M. M. G., Ebaid, H., Hebeish, A., 2016, Antidiabetic assessment : In vivo study of gold and core-shell silver-gold nanoparticle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83, 865-875. 

  19. Shi, Z., Niu, Y., Wang, Q., Shi, L., Huicai, G., Liu, Y., Zhu, Y., Liu, S., Liu, C., Chen, X., Zhang, R., 2015, Reduction of DNA damage induced by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through Nrf2 in vitro and in vivo, J. Hazard Mater., 298, 310-319. 

  20. Tulodziecka, A., Szydlowska-Czerniak, A., 2016, Development of a novel gold nanoparticle-based method to determine antioxidant capacity of brassica oilseeds, white flakes and meal, Food Chem., 208, 142-149. 

  21. Yakub, N., Kanase, S. S., 2016, Bio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by Bacillus marisflavi and its potential in catalytic dye degradation, Arabian J. of Chemistry, in Press, Available online. 

  22. Wongkrongsak, S., Tangthong, T., Pasanphan, W., 2016, Electron beam induced water-soluble silk fibroin nanoparticles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reducing agent for a green synthesis of gold nanocolloid, Radiation Physics and Chemisry, 118, 27-3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