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체 미디어의 담론 흐름과 연구경향 학술논문의 주제, 방법, 쟁점에 대한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Methodology and Flow of Discourses of Community Media Focusing on the Meta-analysis of Topics, Methods, and Issues of Academic Journals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1, 2017년, pp.9 - 39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0년대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는 다양한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활성화되었고, 정치적 공론장이자 일상적인 유희의 놀이터가 되어왔다. 이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용자들은 참여민주주의를 경험하고 궁극적으로는 일상의 삶 정치를 기획하는 새로운 주체상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관련한 현상들이 학술담론의 지형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진단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공동체 미디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의 개발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 학술담론에 나타난 주제, 방법, 그리고 쟁점에 대한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역사적으로 축적된 학술 담론들의 경향성과 특이점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국내 언론학계의 학술등재지 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언론 유관학회들 중에서도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등에서 발간하는 학술등재지들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 이유는 다른 학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술지 발간의 역사가 오래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관련 학술담론들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키워드 입력은 여러 차례의 다양한 시도들을 거쳐 최종적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를 투입한 결과 총 53건의 연구논문들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공동체 미디어 관련 논문이 처음 게재된 2001년 이후 2016년 11월 현재까지 축적된 과거의 학술담론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할 때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line communities have become playgrounds for enjoyment and political public spheres as well as have been vitalized by participation of diverse users, which shows that users of online communities experience participatory democracy and new subjects who project the politic of everyday life eventuall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체 미디어의 의미는? 2000년대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나 공동체 미디어에 대한 담론은 다양한 입장을 통해 접근되어 왔다. 온라인 커뮤니티가 인터넷, SNS, 스마트폰 등을 통해 연결된 사이버 공동체의 형태라면, 공동체 미디어는 보다 포괄적인 용어로서 다양한 지역 공동체나 소수자 집단의 미디어 활동 등을 망라하는 의미를 지닌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 때, 온라인 커뮤니티 담론의 경우, 온라인 커뮤니티가 공동의 주체와 목적을 위해 상호관계하고 의견을 교류하는 공간이라는 입장(김유정·조수선, 2001), 그리고 다양한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정치적 공론장이자 일상적인 유희의 놀이터가 되어 왔다는 입장(김지연·강진숙, 2015) 등에 근거한다.
메타분석 방법의 분석대상이 된 것들은? 분석대상은 국내 언론학계의 학술등재지 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언론 유관학회들 중에서도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등에서 발간하는 학술등재지들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 이유는 다른 학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술지 발간의 역사가 오래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관련 학술담론들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기계는? 281)로서 다른 정보기계들과 결합하고, 유희하고, 정치행위를 수행하고 있다. 키틀러에 따르면, 정보기계(Informationsmaschine)란 인간을 이성적 존재가 아니라 기계ᐨ주체로 파악하는 이중적 존재의 위상을 의미한다(강진숙, 2012). 즉 인간은 역사의 실천주체나 이성적 존재가 아니라 물질, 기술, 문화에 기반한 기록시스템의 한 구성체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강진숙 (2009). 장애인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사례 연구: 장애인 미디어교육 교사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46호, 148-176. 

  2. 강진숙 (2012). SNS 속도문화와 창조적 저항: 비릴리오와 키틀러의 속도와 주체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 58호, 31-54. 

  3. 강진숙 (2016). . 서울: 지금. 

  4. 강진숙.소유석 (2016).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네그리와 하트, 비르노의 다중이론을 중심으로. , 60권 5호, 292-318. 

  5.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을 중심으로. , 25권 2호, 37-66. 

  6. 구교태 (2005). 가상 커뮤니티 이용 욕구(needs)와 행위(behavior)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인터넷카페 이용을 중심으로. , 30호, 7-33. 

  7. 구자순 (2005). 고령층의 온라인 공동체 활동에 관한 연구: 남성과 여성 간에 차이를 중심으로. , 16호, 241-272. 

  8. 권상희.방경화 (2006). 온라인 커뮤니티 내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자아성향(Self-construal)에 따른 관계 중심으로. , 36호, 423-462. 

  9. 권지현.김명혜 (2015). 인터넷 팬 커뮤니티의 규율권력이 어떻게 행사되는가?: 디시인사이드 '주군의 태양' 갤러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 32권 2호, 5-50. 

  10. 김경모.정은령 (2012). 내러티브 프레임과 해석 공동체: '전작권 환수 논란'의 프레임 경쟁과 해석 집단의 저널리즘 담론. , 57호, 109-136. 

  11. 김경희.김주연 (2004). 인터넷 커뮤니티 개설자의 개설동기와 커뮤니티 속성에 대한 연구. , 13호, 5-37. 

  12. 김민하 (2008). 한국 언론의 탐사보도와 시민공동체 형성의 전망: 한국기자협회 수상작의 공공저널리즘적 기능과 한계. , 52권 4호, 105-128. 

  13. 김상배 (2010). 집합지성보다는 커뮤니티?: 한국사의 맥락에서 본 인터넷 문화의 특징. , 27권 4호, 45-92. 

  14. 김소정.양은주.권정혜 (2013). 온라인?오프라인 자기개방이 공동체 소속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수평적 집단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의 비교. , 30권 4호, 5-42. 

  15. 김수아 (2007). 사이버 공간에서의 힘돋우기 실천: 여성의 일상생활과 사이버 커뮤니티. , 51권 6호, 346-380. 

  16. 김유정 (2005).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와 이용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 49권 3호, 291-317. 

  17. 김유정.김용찬.김지현.우지희.정혜선.손해영 (2012). 중국동포 커뮤니티 형성과 에스닉미디어의 역할: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의 관점에서. , 56권 3호, 347-375. 

  18. 김유정.조수선 (2001). 사이버 커뮤니티로서의 인터넷 사이트 연구: 여성 사이트에 대한 탐색적 접근. , 45권 3호, 5-38. 

  19. 김은규.최성은 (2013). 영국 공동체라디오 정책 고찰을 통한 국내 정책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 30권, 113-158. 

  20. 김은규.최성은 (2013a). 정규방송 도입 이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 및 정책에 대한 평가적 고찰: 전문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13권 3호, 184-214. 

  21. 김지연.강진숙 (2015). SNS 독서 커뮤니티의 집단지성과 미메시스 실천에 관한 연구: 벤야민의 미메시스와 레비의 집단지성을 중심으로. , 29권 4호, 225-257. 

  22. 김학수 (2007). 공동체 문제 가깝게 하기를 통한 과학커뮤니케이션 가능성 연구. , 51권 4호, 181-198. 

  23. 노정규.민영 (2012). 정치 정보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태도 극화에 미치는 효과: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 56권 2호, 226-248. 

  24. 박경섭 (2015). 항쟁의 에토스와 공동체: 1980년 5월 광주의 마음을 찾아서. , 71호, 33-51. 

  25. 박근서 (2011). 모드하기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 55호, 100-118. 

  26. 박근영.최윤정 (2014). 온라인 공론장에서 토론이 합의와 대립에 이르게 하는 요인 분석: 개방형 공론장과 커뮤니티 공론장의 토론 숙의성 비교. , 58권 1호, 39-69. 

  27. 박성복 (2007). 온라인 대인관계의 정서적 애착(emotional attachment) 형성에 관한연구: 온라인 커뮤니티의 번개모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51권 3호, 407-429. 

  28. 박영득.이정희 (2013).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치적 의견표현. , 30권 2호, 73-109. 

  29. 박유진.김재휘 (2006). 사이버 커뮤니티의 몰입과 정체성이 친커뮤니티행동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19호, 41-77. 

  30. 박정의 (2001). 지역공동체 구조와 뉴스프레임이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 , 17호, 37-60. 

  31. 박준식 (2001). 가상 공동체의 구성 원리와 함의: 지구적 두뇌의 관점. , 8호, 47-84. 

  32. 박창식.정일권 (2011). 정치적 소통의 새로운 전망: 20-30대 여성들의 온라인 정치커뮤니티를 중심으로. , 55권 1호, 219-244. 

  33.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 78호, 79-115. 

  34. 배상률.이창호 (2016). 소셜미디어가 청소년 여가문화 및 팬덤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페이스북을 활용한 청소년 집단지성 토론단 운영결과를 중심으로. , 27권 3호, 189-218. 

  35. 손해영.심홍진.황유선 (2011).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원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티 소속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25권 1호, 116-158. 

  36. 송경재 (2006). 자발적인 시민참여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사례연구. , 19호, 221-255. 

  37. 안진.채영길 (2015).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라디오 참여활동과 권능화. , 29권 6호, 94-136. 

  38. 안진.최영 (2016).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프리카 TV 를 중심으로. , 30권 2호, 5-53. 

  39. 양소은.김은미 (2014). 누구와 소통하는가: 연결된 청소년의 공동체적 삶 역량 계발. , 58권 1호, 5-38. 

  40. 양은경 (2006).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의 형성과 텔레비전의 소비: 배용준의 일본 팬 커뮤니티 가족 담론을 중심으로. , 20권 3호, 198-238. 

  41. 양정혜.노수진 (2012). 휴먼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장애인: KBS 인간극장에 나타난 장애인 내러티브 분석. , 26권 3호, 371-415. 

  42. 오미영.차동필 (2006). 케이블TV 방송국(SO)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조직 특성이 지역사회 관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 , 20권 4호, 156-197. 

  43. 윤명희 (2007). 미니홈피 커뮤니티의 사회문화적 특징: 대학생 이용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21호, 83-122. 

  44. 윤명희 (2008). 블로그의 사회이론적 탐색: '커뮤니티'의 시각에서. , 25권 4호, 121-169. 

  45. 윤선희 (2009). 아시아 공동체의 문화 정체성: 한국 역사 드라마의 아시아 미디어 수용에 대한 문화 연구. , 46호, 37-74. 

  46. 윤수진.손동영 (2014). 사회적 익명성이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공동체 신뢰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동질성(perceived homophily)과 공감경험(empathy)을 중심으로. , 31권 4호, 189-226. 

  47. 윤해진 (2006). 온라인 서포트 커뮤니티에서의 인지된 익명성: 계층적 개념구조와 공적인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 50권 6호, 305-332. 

  48. 이영음 (2003). 사이버 공동체에서의 윤리. , 12호, 187-220. 

  49. 이은비.강진숙 (2013). 차이와 소수성을 위한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MWTV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57권 6호, 441-468. 

  50. 이은비.강진숙 (2013). 차이와 소수성을 위한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MWTV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57권 6호, 441-468. 

  51. 임정수 (2006). 케이블방송의 커뮤니티 복지에 대한 케이블방송사와 시청자의 인식. , 20권 4호, 231-266. 

  52. 임종섭.김진희.최수연.원용진 (2014). 온라인 공동체 규범인식과 몰입이 운영방식 만족, 지각된 가치, 오프라인 모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관계. , 58권 5호, 153-179. 

  53. 장덕진.배영 (2006). 사이버 공간의 공동체와 연결망. , 19호, 175-219. 

  54. 장용호.공병훈 (2012). 문학 커뮤니티의 집합적 창작(collective creation) 과정에 대한 생태계적 모형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 문장(Munjang)을 중심으로. , 29권 3호, 163-218. 

  55. 장유정 (2016. 2.). . 중앙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전영아.강정한 (2010). 사이버 커뮤니티에서 유형별 사회자본이 정치적 의견표명과 호응에 미치는 효과: 광우병 촛불집회 사례를 중심으로. , 27권 3호, 177-226. 

  57. 정의철 (2015). 이주민의 커뮤니케이션 권리와 역량강화: 이주민 미디어와 이주민 미디어교육을 중심으로. , 59권 2호, 257-286. 

  58. 채영길 (2013). 다문화사회와 상호주관적 소통권: 미디어 중심에서 커뮤니티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 9권 4호, 136-175. 

  59. 채영길 (2014). 한국 보수 언론 및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주노동자 재현과 갈등 은유 분석. , 58권 4호, 210-237. 

  60.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 12권 2호, 4-46. 

  61. 최윤정 (2009). 온라인 커뮤니티 속 오피니언 리더 집단 검증: 이용 동기, 활동 정도, 대인관계 형성과정의 비교 분석. , 53권 4호, 372-394. 

  62. 한선 (2014). 궐기하는 자들의 웃음 공동체 되기(becoming)의 가능성: '국정원 파파라치' 사례를 중심으로. , 58권 3호, 59-86. 

  63. 한선.이오현 (2008). 공동체 라디오와 자기 효능감: 미국 공동체 라디오 KOPN에 대한 민속지학적연구. , 52권 5호, 275-294. 

  64. 황슬하.강진숙 (2014). 온라인 여성호명 담론에 대한 질적 연구. , 28권 4호, 356-388. 

  65. 황주성.오주현 (2011). 인터넷 커뮤니티의 자기조직화에 대한 사례 연구: (주)다음 카페를 대상으로. , 55권 5호, 261-285. 

  66. Campbell, D. T., & Fiske, D. W. (1959).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by the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Psychological Bulletion, 56, 81-105. 

  67.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NY: McGraw Hill. 

  68. Kittler, F. (1986). Grammophon, Film, Typewriter. Berlin: Brinkmann & Bose. 

  69. Matsaganis, M. D., Katz, V. S., & Ball-Rokeach, S. J. (2011). Understanding ethnic media: Producers, consumers, and societies. Los Angeles, CA: Sage. 

  70. Negri, A., & Hardt, M. (2001). Multitude: War and democracy un in the age of empire. 조정환.정남영.서창현 (역) (2008). . 서울: 세종서적. 

  71. Patton, M. Q. (1987). How to use qualitative methods i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72.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홍용희.노경주.심종희 (역) (2000). . 서울: 창지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