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이팝(K-pop)의 한국 팬덤에 대한 연구 해외 팬들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Korean Fandom of the K-pop Focusing on Its Perspectives on Foreign Fans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1, 2017년, pp.272 - 298  

베르비기에 마티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 ,  조영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 팬덤의 해외 팬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케이팝(K-pop)은 한류의 여러 장르 가운데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팬들이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장르다. 가상민속지학의 방법을 채용하여 연구자들은 한국 팬들의 트위터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대화 및 활동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팬들은 자신이 우상시하는 아이돌의 해외 진출과 인정을 바라보면서 놀라움과 동시에 개인적인 만족감을 누린다. 동시에 그들은 아이돌과 같은 언어와 국적을 공유한 것을 강조하면서 민족적 우월감을 드러낸다. 하지만 아이돌의 해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해외 팬들에 대한 경계를 드러내거나 때로는 열등감을 표출하기도 한다. 한국 팬덤은 아이돌에 대한 충성심이 높은 해외 팬들을 연대의 대상 혹은 중요한 타자로 인식하는 동시에, 문화적 규범을 어긴 팬들은 적대 혹은 비하의 대상으로 본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 속에서 한국 팬덤은 해외 팬들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을 구성한다. 한국 팬덤의 해외 팬들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은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맥락 속에서 한국 팬덤의 특징을 이해하게 하고, 케이팝의 전 지구적 확산의 이면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Korean fans who are also one of the most inquisitive consumers of the Korean pop products. For this purpose, it examines how Korean fandom perceives the procedures of the K-pop's globalization and constructs different perspectives of foreign fans. Firstly, it examin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케이팝(K-pop)이란? 본 연구는 한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 팬덤의 해외 팬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케이팝(K-pop)은 한류의 여러 장르 가운데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팬들이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장르다. 가상민속지학의 방법을 채용하여 연구자들은 한국 팬들의 트위터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대화 및 활동을 관찰하였다.
한류는 어디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가? 1990년대 말 시작된 한국 대중문화의 해외 수용 및 인기, 즉 한류는 동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류 현상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면서 한류에 대한 연구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국 팬덤의 어떤 상이한 감정은 '민족'이라는 이름 아래 합리화되지만, '욕망'이라는 지점에서 분열하는 양상을 보이는가? 본 절에서는 한국 팬들이 케이팝의 세계화로 인하여 해외 팬들과 자신의 아이돌을 공유하게 된 부분에 주목한다. 자신의 아이돌을 독점하고 싶은 팬덤의 개인적인 욕망과 아이돌의 해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나타나는 모순된 감정을 탐색한다. 한국 팬덤의 이러한 상이한 감정은 ‘민족’이라는 이름 아래 합리화되지만, ‘욕망’이라는 지점에서 분열하는 양상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수아 (2013). K-POP과 신한류에 대한 텔레비전 담론: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글로벌 성공 이야기 구조를 중심으로. , 50권 1호, 45-83. 

  2. 김수아 (2014). 소셜 웹 시대 팬덤 문화의 변화. , 31권 1호, 45-94. 

  3. 김수정 (2012). 동남에서 한류의 특성과 문화취향의 초국가적 흐름. , 13권 1호, 5-54. 

  4. 김현미 (2005). . 서울: 또 하나의 문화. 

  5. 김현지, 박동숙 (2004). 온라인 팬덤: 접근성의 강화에 따른 팬들의 새로운 즐기기 방식. , 2호, 41-69. 

  6. 박신의 (2012). 한류 글로벌 팬덤 현상을 통해 본 문화소통 및 교류의 전망. , 5권, 23-37. 

  7. 손병우, 양은경 (2003).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글로벌화 방안. , 14권, 147-171. 

  8. 손승혜 (2009). 학술 논문의 메타 분석을 통해 본 한류 10년: 연구 경향과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17권 4호, 122-153. 

  9. 신현준 (2005). K-Pop의 문화정치(학): 월경하는 대중음악에 관한 하나의 사례 연구. , 13권 3호, 7-36쪽. 

  10. 신현준 (2013).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 한국 대중음악을 읽는 문화적 프리즘. 파주: 돌베개. 

  11. 심두보 (2013). 케이팝(K-pop)에 대한 소고: 한류, 아이돌 그리고 근대성. , 52권 2호, 13-28. 

  12. 양은경 (2003). 동아시아 트렌디 드라마의 유통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 연구. , 2003년 여름호. 197-220. 

  13. 유상철 외 (2005). , 생각의 나무. 

  14. 이경숙 (2012). 중국의 '한드' 팬덤과 초국적 드라마 수용: 의 중국 온라인 팬덤 분석. , 23호, 177-209. 

  15. 이동연 (2011). 케이팝(K-pop): 신자유주의 시대 초국적 국민문화의 아이콘. , 45권, 234-252. 

  16. 장원호, 송정은 (2015). 필리핀 K-Pop 팬덤이 K-Pop의 현지화에 미치는 영향. , 9권 3호, 31-43. 

  17. 정민우 & 이나영(2009).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실천의 특징 및 함의. , 12호, 191-240. 

  18. 정수영 (2009). 열성 한류 팬을 통해 본 한류의 의미 및 한일관계 전망: 일본 여성을 중심으로. , 11호, 75-122. 

  19. 조영한 (2012).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가능성과 과제. , 21호, 101-134. 

  20. 조영한 (2015). 인터넷 민속지학 설계하기: 가능성과 한계. 조항제, 김영찬, 이기형 외. (349-382쪽). 서울: 컬쳐룩. 

  21. 조한혜정 (2003). 글로벌 시작 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 열풍'. 조한혜정 (편), (1-42쪽).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2. 최순심 (2014). 프랑스 한류 현상에 대한 한국인과 외국인의 인식 유형 비교 연구. , 14권 4호, 295-327. 

  23. 황유선 (2013). 유명인과의 투위터 매개 상호작용 특성 탐색. , 13권 8호, 72-82. 

  24. 홍석경 (2012). 프랑스의 한국 아이돌 문화 여성팬덤과 성 담론에 대한 연구. , 56권, 1호, 185-2008. 

  25. 히리타 유키에 (2005). . 책세상. 

  26. Bennett, L. (2014). Tracing textual poacher: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fan studies and digital fandom, The Journal of Fandom Studies, 2(1), 5-20. 

  27. Cho, Y. (2009). The glocalization of U.S. sports in South Korea. Sociology of Sport Journal, 26(2), 320-334. 

  28. Cho, Y. (2011). Desperately seeking East Asia amidst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pop culture in Asia,Cultural Studies, 25(3), 383-404. 

  29. Chua, B-H. (2004). Conceptualizing an East Asian popular culture. Inter-Asia Cultural Studies, 5(2): 200-221. 

  30. Duffet, M. (2013). Understanding Fandom: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Fan Culture. 김수정, 곽현자, 김수아, 박지영 (역) (2016). 서울: 한울 아카데미. 

  31. Hills, M. (2002). Fan Cultures. London: Routledge. 

  32. Hubinette, T. (2012). The reception and consumption of hallyu in Sweden: Preliminary findings and reflections, Korea Observer, 43(3), 503-525. 

  33. Iwabuchi, K. (2013). Korean Wave and Inter-Asian referencing, In Y. Kim (Ed.), The Korean Wave: Korean Media Go Global (pp. 43-57). New York, NY: Routledge. 

  34. Jacobson, B. (2003). Social psychology of the creation of a sports fan identity: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thletic Insight: The Online Journal of Sport Psychology, 5(2), 1-14. 

  35. Jenkins, H. (1992).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Participatory Culture. New York, NY: Routledge. 

  36. Jenkins, H. (2006). Fans, bloggers, and gamers: Exploring participatory culture. New York,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37. Joo, J. (2011). Transnationalizat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and the rise of "Pop Nationalism" in Korea. The Journal of Popular culture, 44(3), 489-504. 

  38. Jung, S. (2012). Fan activism, cybervigilantism, and othering mechanisms in K-Pop fandom. Transformative Works and Cultures, 10. Retrieved from http://journal.transformativeworks.org/index.php/twc/article/view/300/287 

  39. Lee, S. (2015). Introduction. A decade of Hallyu scholarship: Toward a new direction in Hallyu 2.0, In S. Lee & A. M. Nornes (Eds.), Hallyu 2.0: The Korean wave in the age of social media, (pp. 1-27).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0. Lie, J. (2012). What is the K in K-pop? South Korean popular music, the culture industry, and national identity. Korea Observer, 43(3), 339-363. 

  41. Lie, J. (2015). K-Pop: Popular music, cultural amnesia, and economic innovation in South Kore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 Otmazgin, N. & Lyan, I. (2013). Hallyu across the desert: K-pop fandom in Israel and Palestine, Cross-Culture: East Asian History and Culture Review, 9, 68-89. 

  43. Shim D. & Noh K. (2012). YouTube & Girls' Generation fandom.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 125-137. 

  44. Siriyuvasak, U. & Shin H. (2007). Asianizing K-pop: Production, consumption and identification patterns among Thai youth. Inter-Asia Cultural Studies, 8(1), 109-136. 

  45. Wood, M. & Baughman, L. (2012). Glee fandom and Twitter: Something new, or more of the same old things?. Communication Studies, 63(3), 328-34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