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복지적 관점에서의 농촌지역 가축매몰지 피해 분석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Damages of Carcass Disposal in Rural Area in Terms of Environmental Welfare Approach: A Questionnaire Based Survey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2 no.6, 2017년, pp.104 - 111  

김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현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황상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carcass disposal is increasing widely in Republic of Korea, there is a ne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impacts and subsequent damages of carcass disposal. Especially, since environmental policy aims to not only reduce environmental damages, but also enhance overall sustainability, we apply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축매몰지로 인한 피해는 기존에 주로 환경부문에 집중되어 그 피해가 조사되어왔으나 본 연구는 설문조사에 기반하여 각 환경복지 항목에 대한 농촌지역 가축매몰지의 피해 특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축매몰지의 환경복지 평가항목은 기존에 문헌을 통해 보고된 영향 및 피해 항목을 대상으로 선별하였으며 그 범위는 환경적 측면을 넘어 사회, 경제적 측면에 걸쳐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피해 대상인 관련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가축매몰지에 대한 체감피해를 조사한 사례가 희박하여 관련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경제-사회적 부문을 고려하여 환경복지적 관점에서의 농촌지역 가축매몰지 피해를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환경복지적 측면을 고려한 가축매몰지의 관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가축매몰지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인가? 우리나라의 가축매몰지는 2010~2011년 구제역 및 조류 인플루엔자 동시 발병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당시 약 4,800개의 가축매몰지가 조성되었다(Hwang, 2016). 현재 법정관리기간 3년이 지나 다수의 가축매몰지가 소멸되었으나, 2014년 이후에도 구제역과 AI 등의 가축질병이 꾸준히 발생하여 2016년 5월 기준 전국에 약 790개소의 가축매몰지가 신규 조성되었다(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015).
가축매몰지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미흡했던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처럼 우리나라의 가축매몰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2010~2011년 가축매몰지의 대량 발생 이후 가축매몰지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정책적 대응은 미흡하였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룬다. 그 사례로 매몰대응 과정에서 공공용지 확보 미흡에 따른 환경적·사회적 갈등 야기(Hong and Ha, 2012), 단기간 대량발생으로 인한 사회갈등 조성(Ko and Seol, 2013), 부실한 위기관리(Kim, 2011)가 지적된 바 있다.
2016년 5월 기준으로 전국에 가축매몰지가 신규 조성된 개소는 몇 개인가? 우리나라의 가축매몰지는 2010~2011년 구제역 및 조류 인플루엔자 동시 발병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당시 약 4,800개의 가축매몰지가 조성되었다(Hwang, 2016). 현재 법정관리기간 3년이 지나 다수의 가축매몰지가 소멸되었으나, 2014년 이후에도 구제역과 AI 등의 가축질병이 꾸준히 발생하여 2016년 5월 기준 전국에 약 790개소의 가축매몰지가 신규 조성되었다(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015). 이처럼 우리나라의 가축매몰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2010~2011년 가축매몰지의 대량 발생 이후 가축매몰지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정책적 대응은 미흡하였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ong, S. and Ha, D., 2012, Broadening environmental disaster and securing common site: Focusing on the FMD case in 2010-2011, J. Governance Studies, 7(1), 43-65. 

  2. Hwang, S., 2016, Developing Management Strategy on Carcass Disposal to Increase Environmental Welfare in Rural A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 1-141. 

  3. Kim, H. and Hyun, J., 2012, PTSD and depression of government officials who worked in front line during foot-and-mouth disease epidemic,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4), 205-229. 

  4. Kim, J., 2011, Environmental problem and citizens science owing to the failure of foot and mouth disease (FMD) policy, ECO, 15(1), 85-119. 

  5. Kim, J., 2014, Developing Indicators and Criteria for Environmental Welfar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 1-129. 

  6. Kim, M. and Kim, G., 2013,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s using LCA for the carcass burial, J.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2), 239-246. 

  7. Kim, Y., Hyun, Y., and Choi, Y., 2013, Local bownfields revitalization policy vision and strategy, J. Environ. Policy and Admin., 21(3), 1-21. 

  8. Ko, C. and Seol, S., 2013, Technology and plicy measures for landfill sites of foot-and-mouth disease in Korea, J. Korea Technol. Innovation Society, 16(4), 978-1005. 

  9. Koh, J., and Jeong H., 2013, Toward a peliminary conceptualization of environmental welfare, J. Environ. Policy and Admin., 21(3), 23-52. 

  10. Lee, K., 2011, Foot and mouth disease, leachate of carcass disposal, and groundwater pollution, Geoenviron. Engineering, 12(2), 6-17. 

  11.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5, Environmental Survey Guideline of Carcass Disposal. 

  12. OECD(2001), Environmental Strategy for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13. Olff, M., 2005, Impact of a foot and mouth disease crisis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farmers, Br. J. Psychiatry, 186, 165-166. 

  14. Pendell DL, Leatherman J, Schroeder TC, Alward GS, 2007, The economic impacts of a foot-and-mouth diseases outbreak: a regional analysis,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Wester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Portland, OR. 

  15. Qi Y., Daniel D.S., Shannon L. Bartelt-Hunt, 2013, Potential water quality impacts originating from land burial of cattle carcasses, Sci Total Environ, 246-253. 

  16.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015, Report on the Actual Condition of Pollution Management around Carcass Disposal, p. 1-59. 

  17. UK Environment Agency(UKEA), 2002, Assessing the Groundwater Pollution Potential of Cemetery Development, London, p.4-1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