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매유발제인 알루미늄에 대한 Rosmarinic Acid의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Rosmarinic Acid on the Aluminum of Dementia Induce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1, 2017년, pp.8 - 14  

정인주 (동신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서영미 (서남대학교 간호학과) ,  제갈승주 (원광보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매유발제인 $AlCl_3$에 대한 rosmarinic acid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뇌세포종인 배양 C6 glioma 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OD-유사활성(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및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AlCl_3$는 배양 세포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AlCl_3$$XTT_{50}$값이 $142.2{\mu}M$에서 나타남으로 이는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여 중간독성(mid-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osmarinic acid가 $AlCl_3$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40{\mu}M$ rosmarinic acid 처리에서는 $AlCl_3$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AlCl_3$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손상을 보호하였다. 또한 rosmarinic acid는 전자공여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및 지질과산화의 억제효과를 보임으로서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산화적 손상이 $AlCl_3$의 독성에 관여하고 있으며, rosmarinic acid는 항산화능에 의하여 $AlCl_3$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rosmarinic acid와 같은 천연성분은 치매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병변의 치료적 개선을 위한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rosmarinic acid on the aluminum of dementia inducer, cultured C6 glioma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luminum chloride ($AlCl_3$) or rosmarinic acid. The cell viability,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uperoxide dismutase (SOD)-l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rosmarinic acid의 항산화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이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치매에 대한 rosmarinic acid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대뇌의 신경교종세포를 재료로 치매유발제인 염화알루미늄(AlCl3)의 독성과 이에 대한 rosmarinicacid의 영향을 산화적 손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 더욱이 rosmarinic acid는 천연성분으로서 기존의 화학치료제에 비하여 안전하여 부작용이 없으며 또한 효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osemarinic acid의 항산화능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화적 손상이 AlCl3의 독성에 관여하고 있으며, rosmarinicacid는 항산화능에 의하여 AlCl3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rosmarinic acid와 같은 천연성분은 치매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병변의 치료적 개선을 위한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특징은 무엇인가? 치매(dementia)는 뇌의 위축과 함께 기억력 저하, 사고 장애 및 판단 이상과 같은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이환될경우, 정상적인 삶의 영위는 물론, 개인적인 인격 상실과 같은 증상을 초래한다[1]. 특히,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선진국처럼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전환되는 싯점에서 노인들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노인성 치매(Alzheimer’s disease, AD)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2].
염화알루미늄이 인체에 축적 될 경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최근, AD의 병인의 하나로 알루미늄이 제시된 바 있는데, 알루미늄은 포장용기를 비롯하여 페인트재료, 의약품이나 음료수캔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체에 축적될 경우 AD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제시되면서 이의 사용에 특별한 주의를 요하고 있다[8]. 더욱이 알루미늄과 같은 몇몇 중금속류는 이의 붕괴시 자유라디칼을 생성함으로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을 비롯한 AD와 같은 난치성 뇌질환의병인으로 제시되면서, 이들 질환들이 산화적 손상(oxidative stress)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이에 대한 연구가 관심의 대상으로 떠 오르게 되었다[9]. 산화적 손상은 super oxide radical (∙O2−)이나 hydroxyl radical (∙OH−)과 같은 산소자유기에 의하여 막의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를 비롯하여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의 과활성 및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저해와 같은 여러 세포퇴행적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10].
노인반의 특징은 무엇인가? 더욱이, 치매의 임상학적 조사에서 신경세포 내 신경섬유의 변성을 비롯한 노인반(senile plaque), 신경세포의 변성(degeneration)과 같은 신경조직의 퇴행성 변화가 밝혀졌다[3]. 특히, 노인반은 중심에 위치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섬유(β-amyloid fiber) 주위에 신경돌기나 별아교세포(astrocyte)가 모여 있는 것으로서 대뇌의 마이너트(Meynert) 기저핵의 세포사멸과 함께 대표적인 현상의 하나이다[4]. 특히, β-amyloid는 amyloid precursor protein(APP)의 C-terminal fragment가 감마 시크리티아제(γ-secretase)에 의하여 잘려져 만들어진 것으로서 노인반의 침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cGeer EG, McGeer PL. The importance of inflammatory mechanism in Alzheimer's disease. Exp Gerontol. 1998;33(5):371-378. 

  2. Trabace L, Cassano T, Steardo L, Pietra C, Villetti G, Kendrick, et al. Biochemical and neurobehavioral profile of CHF2919, a novel, orally activ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or Alzheimer's disease. J Pharmacol Exp Ther. 2000;294:187-194. 

  3. Lemere CA, Lopera F, Kosik KS, Lemdon CL, Ossa J, Sadio TC, et al. The E280A presenilin-1 Alzheimer mutation procedures increased alpha-beta 42 deposition and severe cerebellar pathology. Nat Med. 1996;2(10):1146-1150. 

  4. Kimberly WT, Xia W, Rahmati T, Wolfe MS, Selkoe DJ. The transmebrane aspartates in presenilin 1 and 2 are obligatory for secretase activity and amyloid-protein generation. J Biol Chem. 2000;275(5):3173-3178. 

  5. Bryan-Sisneros AA, Fraser SP, Suh YH, Djamgoz MB, Toxic effect of the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 C-terminal fragment and $Na^{+}/Ca^{2+}$ gradients. Neuroreport. 2000;11(15):3357-3360. 

  6. Yu G, Nishimura M, Arakawa S, Levitan D, Zhang L, Tandon A, et al. Nicastrin modulates presenilin mediated notch/glp-1 signal transduction and APP processing. Nature. 2000;407:48-54. 

  7. Steiner H, capell A, Pesold B, Citron M, Kloetzel PM, Selkoe DJ, et al. Exp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associated presenilin-1 is controlled by proteolytic degradation and complex formation. J Biol Chem. 1998;273:32322-32331. 

  8. Klein GL. Nutritional aspects of aluminum toxicity. Nutr Res Rev. 1990;3(1):117-141. 

  9. Kontush A. Amyloid-beta: an antioxidant that becomes a pro-oxidant and critically contributes to Alzheimer's disease. Free Radic Biol Med. 2001;31(9):1120-1131. 

  10. Yamamoto T, Yaksh TL. Comparison of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pre-and post-treatment with intrathecal morphine and MK-801, an NMDA antagonist, in the formalin test in the rat. Anesthesiol. 1992;77(4):757-763. 

  11. Kim TY, Jekal SJ. Antioxidative effect of Chelidonium majus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injured by cadmium chloride of toxicant. Kor J Clin Lab Sci. 2016;48(1):1-7. 

  12. Osakabe N, Yasuda A, Natsume M, Sanbongi C, Kato Y, Osawa T, et al. Rosmarinic acid, major polyphenolic compounent of Perilla frutescens, reduces lipopolyssacharide (LPS)-induced liver injury in D-galactosamine (D-GalN)-sensitized mice. Free Radic Biol Med. 2002;33(6):798-806. 

  13. De-Heredia JB, Torregrosa J, Dominguez JR, Peres JA. Kinetic model for phenolic compound oxidation by Fenton's reagent. Chemosphere. 2001;45(1): 85-90. 

  14. Park ST, Choi MK, Lee KC, Cho KH, Jeon BH, Woo WH. Study on the effect of vitamin E on methylmercury in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Kor J Oriental Med Pathol. 2000;14(3):7-10. 

  15. Borenfreund E, Puerner JA. A simple quantitative procedure using monolayer culture for cytotoxicity assay (HTD/NR-90). J Tiss Cult Meth. 1984;9(1):7-9. 

  1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26:1199-1200. 

  17.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1974;47(3): 468-474. 

  18. Kikuzaki H, Nakatani N. Antioxidant effects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1993;58(6):1470-1410. 

  19. Crapper DR, Krishnan SS, Dalton AJ. Brain aluminum distribu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experimental neurofibrillary degeneration. Sci. 1973;180:511-513. 

  20. Han SH, Kim IS, Kim JM. Effects of aluminum compound in lung and liver tissues of rat. Kor J Gerontol. 1997;7(2):24-28. 

  21.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protein reagent. J Biol Chem. 1951;193(1):265-271. 

  22. Linert W, Bridge MH, Huber M, Bjugstad KB, Grossman S, Arendash GW.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investigating possible antioxidant actions of nicotine: relevance to Parkinson's and Alzheimer's diseases. Biochem Biophysiol. 1999;1454(2):143-152. 

  23. Vatassery GT. Oxidation of vitamin E, vitamin C, and thiols in brain synaptosomes by peroxynitrite. Biochem Pharmacol. 1996;52(4):579-586. 

  24. Cho CG, Kim HM, Park ST. Effect of vitamin E on cultured mouse cerebral neurons damaged by oxidative stress. Kor J Gerontol. 1998;8(3):17-22. 

  25. Jesberger JA, Richardson JS. Oxygen free radicals and brain dysfunction. Int Neurosci. 1991;57:1-17. 

  26. Lee JY, No JK, Soung DY, Kim YJ, Je JH, Kim MS, et al. ROS/RNS scavenging activity of rosmarinic acid. Kor J Gerontol. 2005;15(2):10-16. 

  27. Gates MA, Tworoger SS, Hecht JL, DE Vivo I, Rosen B, Hankinson SE.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incidence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Int J Cancer. 2007;121(10):2225-2232. 

  28. Sanbongi C, Takano H, Osakabe N, Sasa N, Natsume M, Yanagisawa R, et al. Rosmarinic acid inhibits lung unjury induced by diesel exhast particles. Free Radic Biol Med. 2003;34(8):1060-1069. 

  29. Rosen D, Siddique T, patterson D, Figlewiez D, Sapp P. Mutation in Cu/Zn superoxide dismutase gene are associated with familial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Nature. 1993;362:59-62. 

  30. Hall E, Braughler JM. Lipid peroxidation in post-traumatic spinal cord degeneration. CNS Trauma. 1986;3(4):281-29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