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1기 신도시 지역산업의 성장과 고용효과의 변화 분석: 고양시와 성남시를 대상으로
Analysis on The Regional Industrial Growth and the Employment Effects of the First Newtown Project in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0 no.1, 2017년, pp.34 - 48  

박소현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고양시와 성남시 지역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친 특화 차별화된 산업의 성장과 고용창출효과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지역의 산업별 입지계수를 산출하고 동태적 변이 할당분석을 실시하여 지역산업의 구조 변화와 성장요인을 분석하였다. 수도권 1기 신도시구역이 포함된 고양시와 성남시는 지난 20여 년간 서울의 주거기능을 담당한 베드타운에서 점차 지식서비스 활동의 신흥 집적지로 입지가 강화되면서 지역산업의 기반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식서비스업종 중 고양시는 의료보건과 관광레저 부문, 성남시는 정보서비스와 과학기술 부문에서 수도권여타지역 대비 산업의 특화도와 경쟁력을 확보하였고, 두 지역 모두 음식숙박과 교육서비스 부문에서 지속적으로 고용을 창출하였다. 저성장 시대 지역자체의 산업 성장력에 의한 고용효과를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 지역별 특화산업 및 상대적 우위를 갖는 산업의 세부업종별 집중 육성에 지역경제주체들의 협력과 지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major industries and effects of regional employment on the economic growth of Goyang city and Seongnam city in Gyeonggi Province. We examin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and factors of the growth in two regions b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양시와 성남시 지역의 고용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지역산업의 특화도 및 상대적 우위산업을 분석하여 이들 지역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산업 경쟁력의 변화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2006~2014 년간 두 지역의 산업별 입지계수를 산출하고,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한다2).
  • 본 연구는 신도시지역이 갖는 태생적 문제를 극복하고 지역자체 차원의 산업 고도화로 지역고용을 창출하고 있는 고양시와 성남시를 사례로 지역산업의 구조 변화와 성장요인을 동태적으로 파악하였다. 신도시 개발 이후 주민 입주가 시작된 1995~6년부터 2016년까지 20여 년 동안 서울의 베드타운에서 점차 차별·특화된 산업구조를 갖으며 경제적 자족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이들 두 지역의 인구구조 및 산업·직업구조의 변화를 살펴 보았고, 2006~2014년간 산업별 입지계수를 산출하고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여 특화된 산업과 상대적 우위를 갖는 산업을 도출하였다.
  • 박소현·이금숙(2016) 연구에 따르면, 수도권에 입지 분포하고 있는 지식 서비스산업 중 경제활동의 주요 연령층인 20~30대 청년층의 취업분포가 높은 전문직 업종으로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과 교육 서비스업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업종의 입지 분포는 기존의 강남지역과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일대를 비롯해 최근 신흥지역으로 경기북부의 고양시와 경기남부의 성남시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두 지역의 공통점이 모두 수도권 1기 신도시구역인 일산과 분당이 포함된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조성된 거주밀집지역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의 베드타운에서 점차 차별·특화된 산업구조, 특히 지식서비스업의 신흥 집적지로 고용을 창출하고 있는 고양시와 성남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지역산업의 성장과 고용창출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분석의 공간범위는 수도권이므로 수도권성장효과(NGE)는 일정기간 수도권 전체산업의 성장으로 유발된 i지역 j산업의 성장(고용) 증가분을 의미한다. i지역 j산업이 수도권의 성장(고용)증가율과 같은 비율로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 산출되는 효과이다. 산업구조효과(IME)는 수도권 j산업의 성장률에서 전체산업의 성장률을 뺀 수도권 j산업의 순성장률이 i지역 j산업에 대하여 유발한 고용 증가분을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출산, 고령화 문제까지 경제성장에 부담으로 가중 되면서 어떤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는가? 최근 저성장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저출산, 고령화 문제까지 경제성장에 부담으로 가중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로 지식을 집약적으로 생산, 가공, 활용해 다른 산업과의 융합으로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지식기반서비스업(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여부가 국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되면서(채지민·이원호, 2014), 광역·기초지자체별 지역실정에 맞는 지식기반 주력산업을 선정하고, 지역맞춤형 지식기반산업을 모색하는 등 지역적 차원의 산업구조 재편과 산업입지정책을 추진 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고양시와 성남시의 두 지역에 분포하는 거주인구 중 대졸 이상 학력의 비중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경기지역 내에서도 두 지역에 분포하는 거주인구 중 대졸 이상 고학력의 비중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학력구성에서 대졸 이상의 학력분포는 두 지역 모두 거주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고양시 52.99%, 성남시 53.98%의 구성비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미취학과 초졸, 중졸 이하의 학력, 고졸 학력의 분포는 경기지역 전체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1기 신도시 개발을 추진한 이유는? 1988년 올림픽 이후 정부는 서울의 인구과밀에 따른 주택난과 부동산투기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과 20km 이내에 위치한 외곽지역 중 비교적 지가가 낮은 고양시(일산)와 성남시(분당), 그리고 별도로 택지개발사업이 추진 중이었던 부천시(중동), 안양시(평촌), 군포시(산본)의 3개 지구를 포함시켜 1989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수도권 1기 신도시 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동안 학계를 중심으로 수도권 1기 신도시 개발로 변화한 도시공간구조 및 주변 구도시지역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한 연구(임동일, 2008; 김경아·허재완, 2016)와 주민 입주가 시작된 1995~6년 이후 이들 지역의 산업고용(신인식, 2001; 김광 익, 2006), 상권분석(이창무 외, 2006), 통근통행 (전명진, 2000; 이수기 외, 2001; 안국현·이명훈, 2006)등의 변화를 분석하여 수도권 1기 신도시지역의 자족정도에 대해 평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경아.허재완, 2016,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구시가지 변화에 관한 연구-경기.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추계학술대회집, pp.503-517. 

  2. 김광익, 2006, "서울 교외도시들의 서비스업 고용입지 패턴변화: 성남과 안양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0(4), pp.529-538. 

  3. 김학훈, 2011, "청주의 고용 성장과 산업 변화, 1985-2005: 변이할당모형에 의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325-341. 

  4. 박소현.이금숙, 2016,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94-711. 

  5. 박재홍, 2004, "경기도 지식기반산업의 공간적 분화 및 입지 전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pp.23-44. 

  6. 변필성.김광익.김태환, 2005, "지역 경쟁력과 경제발전간의 관계: 변이할당분석기법의 고용성장에의 적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2), pp. 267-284. 

  7. 신인식, 2001, "신도시 형성이 지역산업에 미치는 영향: 일산신도시 형성전후를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 19, pp.137-156. 

  8. 안국현.이명훈, 2006, "수도권 도시의 자족도에 관한 연구-수도권 신도시 소재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3), pp.233-253. 

  9. 이수기.주미진.하재현, 2015, "수도권 1기 신도시 통근 통행특성과 공간구조의 변화(1996-2010):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국토계획 50(5), pp.5-23. 

  10. 이창무.여홍구.나강열, 2006, "분당 신도시의 성장과 상권의 변화과정," 국토계획 41(6), pp.65-78. 

  11. 임동일, 2008, "신도시 개발에 따른 도시구조 변화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 8(10), pp.317-327. 

  12. 전명진, 2000, "수도권 신도시 주민의 통근통행 특성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2(2), pp.157-170. 

  13. 채지민.이원호, 2014, "수도권 창조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사회통합적 영향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60-674. 

  14. 최병두.엄진찬.채은혜, 2014, "영남권 도시들의 특화산업과 산업연계: 네트워크도시이론에 바탕을 둔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718-742. 

  15. Brown, H. J., 1969, "Shift and share projection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 empirical test," Journal of Regional Science 9(1), pp.1-18. 

  16. Clapp, J. A., 1971. New Towns and Urban Policy: Planning Metropolitan Growth, Dunellen: New York. 

  17. Creamer, D., 1943, "Shift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n: Industrial Location and National Resources,"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pp.85-104. 

  18. Golany, G., 1976, New Town Planning: Principles and Practice, New York: John Wily & Sons. 

  19. Lagendijk, A., 1997, "From New Industrial Spaces to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Beyond: How and from whom should industrial geography learn?," EUNIT Discussion Paper 10, Newcastle: CURDS. 

  20. Lee, K., Song, Y., Park, J. S., Anderson, W. P., 2012, "Relationship between Diurnal Patterns of Transit Ridership and Land Use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1), pp.26-41. 

  21. Marshall, A., 1927, Principles of Economics, London: Macmillan. 

  22. Malmberg, A. and Maskell, P., 2002, "The elusive concept of localization economies: towards a knowledgebased theory of spatial clustering," Environment and planning A 34(3), pp.429-449. 

  23. Maskell, P. and Malmberg, A., 1999, "Localized learning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23, pp.167-185. 

  24.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November-December, pp.77-90. 

  25. Song, Y., Lee, K., Anderson, W. P., and Lakshmanan, T. R., 2012,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transport accessibility in metropolitan Seoul,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14(3), pp.299-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