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귀추적 추론 모형을 적용한 초등 과학 수업의 입자 개념 형성 효과
The Effects on Particulate Concept Formation Based on Abductive Reasoning Model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7년, pp.25 - 37  

김동현 (강원 부안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4.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서 입자 개념을 학습할 때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입자 개념을 도입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귀추적 추론법에 주목하였다. 실험집단(N=26)은 귀추적 추론 모형(Kim, 2003)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총 열두 차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N=26)은 일반적인 교과서의 순서와 내용대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입자 개념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체 개념 이해도 검사를, 입자라는 추상적 실체를 다루는 단원이므로 인지 수준을 알기 위하여 GALT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처치 후 두 집단의 효과 차이를 알아본 독립표본 t 검정에서 21점 만점에 비교집단의 기체 개념 이해도 평균은 10.76, 처치집단의 기체 개념 이해도 평균은 14.65이며 t 통계값 2.890, 유의확률은 0.006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체 개념 이해도 검사지에 입자로 표현한 횟수를 살펴보았는데 일반 집단 53회, 실험집단 114회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처치 유무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이원분산 교차설계 검증을 하였는데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고, 실험집단이 인지 수준에 관계없이 비교집단보다 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귀추적 추론 모형을 적용하여 입자 개념을 다룬 수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particulate concept formation based on abductive reasoning model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is study, an author selected two groups in the sixth grade. One group is an ordinary textbook-based control group (N=26) and the other group i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추란 무엇인가? 한편 이 연구에서는 입자 개념을 학습하는 방법으로 귀추법에 주목하였다. 귀추란 어떤 현상에 대하여 알고 있는 이전의 상황과 유사함을 인지하고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는 추론의 형태이다(Lawson, 1995). 귀추의 과정은 연구자들마다 조금씩 다르게 제시되고 있으나 과학적 현상(result)을 보고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규칙(rule)이나 배경지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현상을 설명하는 것(case)이 일반적인 귀추법의 단계이다.
일반적인 귀추법의 단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귀추란 어떤 현상에 대하여 알고 있는 이전의 상황과 유사함을 인지하고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는 추론의 형태이다(Lawson, 1995). 귀추의 과정은 연구자들마다 조금씩 다르게 제시되고 있으나 과학적 현상(result)을 보고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규칙(rule)이나 배경지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현상을 설명하는 것(case)이 일반적인 귀추법의 단계이다. 귀추법에서는 과학적 현상에 대한 설명 지식을 갑작스러운 사고의 도약으로 보지 않고(Lawson, 1995, 2000; Kwon & Kwon, 2000; Kwon et al.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입자의 개념이 등장하는 이유는? 이는 중학교에서 다루는 정량적 개념인 분자를 정성적으로 다루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초등에서 중등으로 넘어가면서 분자, 분자 운동, 분자식과 같은 입자 관련 내용을 갑자기 배우기보다는 초등학교에서 기체에 입자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정성적으로 알게 하고 중⋅고등학교에서 보다 심화된 정량적 내용을 다루어 순차적으로 이해시킨다는 의도이다. 실제 핀란드, 영국, 미국, 일본 등 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한 연구(Kim & Kim, 2012)에서도 입자가 초등학교에서 정성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우리나라 2009 개정 교육과정도 비슷한 시기에 도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dadan, E., Irving, K., & Trundle, K. C. (2009). Impacts of multi-representational instru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3), 1743-1775. 

  2. Cho, H., Jeong, S., & Yang, I. (2008). The Development of the Analytic Coding Frames on the Abductive Reasoning in Scientific Inquiry.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7). 586-601. 

  3. Han, J., Lee, J., Kwack, J., & Noh, T. (2006). The Effects of Drawing and Analyzing Pictures in Concept Learn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 Comparison Based on Student Visual Learning Styl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1), 9-15. 

  4. Jeong, S., Choi, H., & Yang, I. (2011). An Analysis of Abductive Reasoning on the Inquiry of Scientists and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6), 901-919. 

  5. Jeong, D., Lee, H., Jeong, S., Oh, C., & Park, K. (2007).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Gas and an Analysis on the Type of Alterative Conceptions of Ga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4), 359-371. 

  6. Kang, S., Park, J., & Noh, J. (1998).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ALT Full Version and Short Version Used i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3), 399-413. 

  7. Kim, C.-J.(2003). Preparing teachers for systems science methodology. In V. J. Mayer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pp. 255-266). Columbus, OH: The Ohio State University. 

  8. Kim, D., & Kim, H. (2012).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n national science curricula.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164-176. 

  9. Kim, J. (2008). Education Research and Statistical Method. Seoul: Wonmisa Publication Co. 

  10. Kim, S.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the view of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Kongju Nationa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1. Kim, Y. (1988). Comparative study about elementary 6th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level with "science" textbook content level. Ehwa Woman University, Master's Thesis. 

  12. Kwon, D., & Kwon, S. (20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buoyance related with cognitive leve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1), 131-143. 

  13. Kwon, Y., Jeong, J., Kang, M., & Yang, I., (2002). A Process of Creative Knowledge-Generation in Scientific Explanation.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5(1), 5-18. 

  14.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5. Lawson, A. E. (2000). How do humans acquire knowledge? And what does that imply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Science & Education, 9(6), 577-598. 

  16. Lee, H., Yang, I., & Kwon, Y. (2008). A Study on the Abductive Thinking in the Processes of Biologists’ Science Knowledge Generation. Journal of Korean Biology Education, 36(2), 189-202. 

  17. Lee, S., Choi, C., Lee, G., Shin, M., & Song, J. (2013). Exploring Scientific Reaso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is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81-192. 

  18. Maeng, S., Park, M., Lee, J., & Kim, C. (2007).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bductive Inference during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818-831. 

  19. Ministry of Education a. (2015). Elementary School 3-2 Science 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94-105. 

  20. Ministry of Education b. (2015). Elementary School 3-2 Teacher's Guidebook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320-335. 

  21. Ministry of Education c. (2015). Elementary School 3-2 Work Book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51-53. 

  22. Ministry of Education d. (2015). Elementary School 6-1 Science Textbook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108-137. 

  23. Ministry of Education e. (2015). Elementary School 6-1 Teacher's Guidebook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338-387. 

  24. Ministry of Education f. (2015). Elementary School 6-1 Work Book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62-77. 

  25. Noh, T., Lim, H., & Woo, K. (1995). A Comparis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in Stoichiometry and Gas Stat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4), 437-451. 

  26. Oh, P. (2005). A Theoretical Study on Abduction as an Inquiry Method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5), 610-623. 

  27. Oh, P. (2006). Rule-Inferring Strategies for Abductive Reasoning in the Process of Solving an Earth-Environmental Probl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4), 546-558. 

  28. Oh, P. (2016). Roles of Models in Abductive Reasoning: A Schematization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4), 551-561. 

  29. Paik, S., Ryu, S., Kim, D., & Park, K. (2001). The Problems of Science Textbook Contents Related to Element and Atom in the Viewpoint of Science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5(4), 357-369. 

  30. Snir, J., Smith, C. L., & Raz, G. (2003). Linking phenomena with competing underlying models: A software tool for introducing students to the particulate model of matter. Science Education, 87(6), 794-830. 

  31. Yoo, S., Koo, I., Kim, B., & Kang, D. (1999). The Study of Students’ Misconception about the Properties of Gas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3(5), 564-577. 

  32. Yoon, H., & Woo, A. (2007). Misconception regarding Gas Properties: Comparative Studie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at Ewha Woman University, 11(2), 567-5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