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 감초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및 인체적용 아토피 개선 효능 연구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topic Dermatitis Effect of Combined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2 no.2, 2017년, pp.49 - 56  

권오준 (경북지역사업평가단) ,  이아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 교실) ,  도국배 ((주)메디웨이코리아 피부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improving effect of Phellinus lint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PGE) on Atopic Dermatitis. Methods :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Hy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항염증 효능이 뛰어날 뿐 아니라 피부학적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상황버섯 및 감초를 복합 추출하여 상황버섯 감초 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고, 상황버섯 감초 복합추출물이 포함된 리포좀 로션을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개선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감초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독성을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에게 상황버섯 감초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리포좀 로션을 적용하여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상황버섯 감초 복합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토피 피부염은 어떤 질환인가?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은 주로 유아와 소아기에 발병하는 만성 재발성 피부염으로서, 주로 극심한 소양감과 피부 건조증, 홍반, 삼출 등을 동반하는 피부 질환이다. 특히, 극심한 소양감으로 인하여 피부를 긁는 행위를 반복하게 되고, 피부를 긁음으로써 피부에 상처가 유발되고 이를 통하여 다시 소양감이 나타나게 되는 “itch-scratch-itch”의 반복을 통하여 피부의 염증이 심해지는 악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현재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품 중 크림의 특징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해주는가? 현재 판매되고 있는 아토피 크림은 항염작용과 소독작용이 있는 tea tree, lavender, chamomile-roman으로 구성된 아로마 오일과 보습작용이 있는 베이스 크림으로 만든 외용제로 아토피 피부염의 염증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9) .
아토피 피부염의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과 발병기전은 아직까지 정립되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 3) , 피부 장벽의 이상 4)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일반적으로 IgE 합성의 증가와 호산구 증가증이 나타나는데 기존의 면역학적 연구에 의하면 IL-4, IL-5와 같은 Th2 cytokine이 증가하고 Th1 cytokine인 IFN-γ의 분비가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5,6) , 이러한 Th1과 Th2의 불균형을 조절 하는 방법으로 피부염의 치료에 접근하고 있다 7),8)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churer NY, Plewing G, Elias PM. Stratum corneum lipid function. Dermatology. 1991 ; 183(2) : 77-94 

  2. Elias PM, Brown BE. The mammalian cutaneous permeability barrier: defective barrier function is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correlates with abnormal intercellular lipid deposition. Journal of technical methods and pathology. 1978 ; 39(6) : 574-83 

  3. Chung YM, Kim SJ, Kim NI, Lee EY, Choue RW. Study of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and immune parameter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05 ; 38(7) : 521-32 

  4. Bak HN, Skin barrier and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Skin Barrier Research. 2009 ; 11(1) : 97-111 

  5. Holm L, Ohman S, Hage-Hamsten V, Scheynius A. Sensitization to allergens of house-dust Mite in adults with atopic dermatitis in a cold temperate region. Allergy. 1999 ; 54(7) : 708-15. 

  6. Sanda T, Yasue T, Oohashi M, Yasue A. Effectiveness of house dust Mite allergen avoidance through clean room therapy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992 ; 89(3) : 653-7. 

  7. Matsuoka H, Maki N, Yoshida S et al. A mouse model of the atopic eczema/dermatitis syndrome by repeated application of a crude extract of house­dust mite Dermatophagoides farinae. Allergy. 2003 ; 58(2) : 139-45. 

  8. Katoh N, Hirano S, Suehiro M, Matsuda K, Kishimoto S.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demonstrating a positive reaction in a scratch test after 48 hours against house dust mite antigen. The Journal of dermatology 2004 ; 31(9) : 720-26. 

  9. Cho SJ, The miracle of aroma therapy, seoul, woosuk publishing house. 2006 : 210, 140, 169-171. 

  10. Blos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 181(4617) : 1199-200. 

  1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1999 ; 26(9) : 1231-1237. 

  12. Gulcin I, Buyukokuroglu ME, Oktay M, Kufrevioglu OI. Antioxidant and analgesic activities of turpentine of Pinus nigra Arn. subsp. pallsiana(Lamb.) Holmbo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3 ; 86(1) : 51-8. 

  13.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1974 ; 47(3) : 469-74. 

  14. Ancerewicz J. Migliavacca E, Carrupt PA, Testa B, Brre F, Zini R, Crevat A. Structure property relationships of trimetazidine derivatives and model compounds as potential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1998 ; 25(1) : 113-20. 

  15. Pryor WA. Oxy-radicals and related species : their formation, lifetimes, and reactions. Annual Review of Physiology. 1986 ; 48(1) : 657-67. 

  16. Greenstock CL. Radiation and aging : free radical damage, biological response and possible antioxidant intervention. Medical hypotheses. 1993 ; 41(5) : 473-82. 

  17. Bryan DM, Murnaghan J, Jones KS, Bowley SR. Iron superoxide dismutase expression in transgenic alfalfa increase winter survival without a detectable increase in photosynthetic oxidative stress tolerance. Plant Physiology. 2000 ; 122(4) : 1427-38. 

  18. Carmichael J, DeGraff Willian G, Gazdar Adi F, Minna John D, Mitchell james B.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earch. 1987 ; 47(4) : 936-42. 

  19. Park JG, Kramer BS, Steinberg SM, Carmichael J, Collins JM, Minna JD, Gazdar AF.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earch. 1987 ; 47(22) : 5875-9. 

  20. Kim H, Yoon HS, Jeong JH, Jeong HS, Hwang JH, Yu KW. Enhancement of immunostimulation by fractionation of active polysaccharide from fermented gingseng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in solid culture. 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0 ; 42(2) : 223-32 

  21. Yun WS, Effect of Phellinus igniarius Quel Extract on the Anti-inflammatory, Anti allergy, Antioxidant, Anti-wrinkle. Daejeon University. 2010. 

  22. Jung YJ, The Synergy Effect of Pellinus Linteus Mushroom?hiitake Mushroom? Puerariae Radix Saponin on Antioxidation and Skin Lightening. Silla University. 2001. 

  23. Kim SE, Kim YH, Lee JT.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icacy of Ethanolic Extract of Herb Complex (Oenothera laciniata, Phellinus lint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2014 ; 10(1) : 27-33 

  24. Seo SH, Choi MO. Glycyrrhizae Radix Suppresses Human $TNF-{\alpha}$ -induced Inflammation Via Blockade of p38 Activation in HaCaT Cell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of cosmetology. 2013 ; 19(2) : 207-14 

  25. Wang ZT, Nixon DW. Licorice and cancer. Nutrition and cancer. 2001 ; 39(1) :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