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Phellinus baumii)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β-glucan 함량
Antioxidant capacities and β-glucan content of ethanol extract from Phellinus baumii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5, 2015년, pp.721 - 726  

배현경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황인욱 (경북대학교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홍희도 (한국식품연구원) ,  정신교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황버섯$90^{\circ}C$에서 환류추출 시 시간과 추출용매의 조건(물 및 에탄올 농도, pH)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여 ${\beta}$-glucan 함량과 항산화활성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율과 ${\beta}$-glucan 함량이 증가하여 24시간 추출 조건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상황버섯 추출물의 수율은 60% 에탄올, pH 4의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beta}$-glucan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산성과 중성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60% 에탄올, pH 7 조건에서 추출한 것이 가장 높았다. 항산화성분의 함량 또한 항산화활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수율, ${\beta}$-glucan 함량, 항산화활성 및 성분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60% 에탄올, pH 7 추출 조건이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ellinus baumii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cancer types, such as lung cancer, ovarian cancer and malignant melanoma. It has strong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due to its polysaccharides including glucan, schizophyllan,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물 및 에탄올 농도, pH를 달리하여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여 β-glucan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황버섯은 어떤 질병들에 대한 항암 약리효과들이 있는가? 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은 분류학적으로 소나무 비늘버섯과 진흙버섯속에 속하며, 뽕나무와 활엽수의 줄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초기에는 노란 진흙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로 자란다(1,2). 상황버섯은 소화기계 암, 폐암, 난소암, 악성 흑색종 등에 대한 항암활성과 면역증강 및 항산화효과 등의 약리효과가 있어 건강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3,4). 최근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에서 임상적 치료 효과(5),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효과(6), 지방소화효소 억제 효과(7)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이러한 상황버섯의 항암활성, 면역 증강 및 항염증 작용은 polysaccharide, 항산화 활성은 폴리페놀성 화합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8).
상황버섯은 무엇인가? 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은 분류학적으로 소나무 비늘버섯과 진흙버섯속에 속하며, 뽕나무와 활엽수의 줄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초기에는 노란 진흙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로 자란다(1,2). 상황버섯은 소화기계 암, 폐암, 난소암, 악성 흑색종 등에 대한 항암활성과 면역증강 및 항산화효과 등의 약리효과가 있어 건강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3,4).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u regen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그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u regen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19). 시료 100 μL에 2 N Folin-Ciocalteau 시약 50 μL와 20% sodium carbonate 30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증류수 1 mL을 넣고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gallic acid 검량선의 회귀식을 이용하여 gallic acid equivalent(GAE g/L)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2. Kim MS, Lee YH, Lim IY, Eom TK, Kim SH, Jo NJ, Yu SR, Jeong YH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42-2048 

  3. Han KW, Lee SW, Han KS, Lee DJ, Lee BE, Jang WC (2003) Antitumor activities to cytotoxicity of Phellinus linteus ethanol extract. J Toxicol Pub Health, 19, 147-152 

  4. Kozarski M, Klaus A, Niksic M, Jakovljevic D, Helsper JPFG, Van Griensven LJLD (2011) Antioxidative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extracts of the medicinal mushrooms Agaricus bisporus, Agaricus brasiliensis, Ganoderma lucidum and Phellinus linteus. Food Chem, 129, 1667-1675 

  5. Hong WK, Shin JH, Lee YH, Park DK, Choi GS (2008) The clinical effect of Phellinus linteus grown on germinated brown rice i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Korean J Herbologym, 23, 103-108 

  6. Choi HY, Ha KS, Jo SH, Ka EH, Chang HB, Kwon YI (2012) Antioxidant and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a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au) water extract. Korean J Food Nutr, 25, 239-245 

  7. Kim JH, Son IS, Kim JS, Kim KH, Kwon CS (2008) Lipase-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and the powder of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4-161 

  8. Choi SJ, Lee YS, Kim JK, Kim JK, Lim SS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9. Kim HM, Lee DH (2010) Characterization of anti-inflammation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Phellinus baumii. Korean J Mycol, 32, 179-183 

  10. Chan GCF, Chan WK, Sze DMY (2009) The effects of ${\beta}$ -glucan on human immune and cancer cells. J Hematol Oncol, 2, 25 

  11. Olson EJ, Standing JE, Griego-Harper N, Hoffman OA, Limper AH (1996) Fungal ${\beta}$ -glucan interacts with vitronectin and stimulate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release from macrophages. Infect Immun, 64, 3548-3554 

  12. Kang SA, Jang KH, Hong KH, Choi WA, Jung KH, Lee IY (2002) Effects of dietary ${\beta}$ -glucan on adipo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aen Soc Food Sci Nutr, 31, 1052-1057 

  13. Lee KH, Kwon HJ, Chun SS, Kim JH, Cho YJ, Cha WS (2006) Biological activites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98-303 

  14. Jung JY, Lee IK, Seok SJ, Lee HJ, Kim YH, Yun BS (2008) Antioxidant polyphenols from the mycelial culture of the medicinal fungi Inonotus xeranticus and Phellinus linteus. J Appl Microbiol, 104, 1824-1832 

  15. Park HM, Hong JH (2014)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with extraction methods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um on Mori ramulus. Korean J Food Preserv, 21, 565-572 

  16. Youn SJ, Cho JG, Kwoen DJ, Choi UK, Kang SC (2006) Determination of optimal conditio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ter extracts of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15-220 

  17. Blois MS (1958) Antioxidants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8.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ic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 

  20.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1. Park HG, Shim YY, Choi SO, Park WM (2009) New method development for nanoparticle extraction of water-soluble ${\beta}$ -( $1{\rightarrow}3$ )-D-glucan from edible mushrooms, Sparassis crispa and Phellinus linteus, J Agric Food Chem, 57, 2147-2154 

  22. Lee YT, Kim YS (2005) Water-solubility of ${\beta}$ -glucans in various edible mushroom. J Food Sci Nutr, 10, 294-297 

  23. Ballance GM, Manners DJ (1978) Structural analysis and enzymic solublization of barley endosperm cell-walls. Carbohydr Res, 61, 107-118 

  24. Lee SH, Jang GY, Kim KJ, Lee MJ, Kim TJ, Lee JS, Jeong HS (2012) Effect of temperature, solvent concentration, and pH on the ${\beta}$ -glucan extraction. Korean J Food Nutr, 25, 871-877 

  25.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26. Kwoen DJ, Youn SJ, Cho JG, Choi UK, Kang SC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logical proper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Soc Appl Biol, 49, 91-96 

  27. Middleton E, Kandaswami C, Theoharides TC (2000)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s :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 disease, and cancer. Pharmacol Rev, 52, 673-751 

  28. Kang JY, Ibrahim KE, Juvik JA, Kim DH, Kang WJ (2006)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of glucosinolate content in Chinese cabbage. HortScience, 41, 1382-1385 

  29. Kim JO, Jung MJ, Choi HJ, Lee JT, Lim AK, Hong JH, Kim DI (2008)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84-6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