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방식과 피복재료가 천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ield and Quality for Cultivation Type and Mulching Materials on Gastrodia elata Blum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1, 2017년, pp.78 - 87  

김창수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유인영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동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종엽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정만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이왕휴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의학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마의 수량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비가림시설재배와 노지재배, 비가림시설내 여러 피복재료를 활용하여 천마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천마의 수량은 비가림 시설이 노지재배에 비해 49% 증수되었다. 또한, 비가림시설재배내에서 피복재료 처리에 따른 천마의 수량성은 무피복에 비해 볏짚피복 44%, 낙엽피복 26%, 차광망피복에서 각각22% 증수되었다. 천마의 증숙 전 후 색도는 비가림시설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해 색도 변화가 적었다. 또한, 천마의 경도는 비가림시설재배가 노지재배보다 더 높았고, 비가림시설재배의 증숙 후는 증숙 이전에 비해 17.1%, 노지재배는 29.2% 각각 감소하였다. 증숙 후 무게 감소율의 경우 비가림시설재배는 10.3%, 노지재배는 9.1% 감소하였다. 가스트로딘, 바닐린 알콜은 노지재배 보다 비가림시설재배에서 함량이 증가하였고, 에르고티오닌은 재배시설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비가림시설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해 천마의 수량과 품질이 좋았으며, 피복재료에 따른 품질은 토양수분함량이 낮을수록 표면이 단단해져 경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mpared to outdoor field (OF) and rain shelter greenhouse (RSG) according to cultivation type of Gastrodia elata Blume. Also, the effects of yield and quality for mulching materials in RSG were compared. The yield of G. elata was investigated good merchantable quality, and the qua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천마의 재배는 그동안 노지에서 자연적인 기상에 의존하여 왔지만, 천마 특성상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계절에 따른 온도 차가 크고 한여름에 폭우가 자주 내리는 기상여건에서 천마를 인공재배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온·습도 등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비가림시설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마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기존의 노지재배와 달리 비가림시설재배법을 개발하고, 비가림시설재배에 적합한 피복재료를 선발하고자 수량 및 품질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마란 무엇인가?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목(蘭草目, Orchidales),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난식물의 일종으로 고등식물이지만 잎과 뿌리가 없어 탄소동화능력이 없는 퇴화된 다년생 초본식물이다(Ri, 1990). 또한 천마는 정풍초(正風草), 적근(赤根), 귀독우(鬼督郵), 난모(難母), 신초(神草)라고도 불리어진다(Huang, 1985; Xu et al.
노지재배 대비 비가림시설 재배 시, 천마의 수량 변화는? 천마의 수량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비가림시설재배와 노지재배, 비가림시설내 여러 피복재료를 활용하여 천마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천마의 수량은 비가림 시설이 노지재배에 비해 49% 증수되었다. 또한, 비가림시설재배내에서 피복재료 처리에 따른 천마의 수량성은 무피복에 비해 볏짚피복 44%, 낙엽피복 26%, 차광망피복에서 각각22% 증수되었다.
천마의 경도와 관련하여 피복재료에 따른 함수량 감소가 큰 영향을 미친 이유는 무엇인가? 볏짚의 경우 함수량은 가장 낮았고 경도는 가장 높은 반면, 낙엽의 경우 함수량이 가장 높았고 경도는 가장 낮았다(Table 5).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과실의 경도가 낮아지고 과중은 무거워지는 경향이며 특히 경도가 토양수분조건과 유의한 부의상관 관계가 있다는 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Kim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Y.N. and B.Y. Ahn. 2011. Decrease in intrinsic objectionable odors and change of gastrodin contents in lactic acid treated Gastrodia elate Blu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12:5056-5062 (in Korean). 

  2. Choi, J.H. 2012. The study on chemical analysis and increase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gastrodia extracts (Gastrodia elata var. Blume). Department of Hort. and Life Sci., Ph.D. Thesis, Yeungnam Univ., Korea. pp. 1-77 (in Korean). 

  3. Choi, S.R., I. Jang, C.S. Kim, D.H. You, J.Y. Kim, Y.G. Kim, Y.S. Ahn, J.M. Kim, Y.S. Kim and K.W. Seo. 2011. Changes of components and quality in gastrodiae rhizoma by different dry methods. J. Medicinal Crop Sci. 19:354-361 (in Korean). 

  4. Chu, H.N., J.S. Kim, K.O. Kim and J.K. Jeong. 2012. Effect of functional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e rhizoma by different drying condition. Kor. J. Herbology 27:139-145 (in Korean). 

  5. Ha, J.H., D.U. Lee, J.T. Lee, J,S. Kim, C.S. Yong, J.E. Kim, J.S. Ha and K. Huh. 2000. 4-hydroxybenzaldehyde from Gastrodia elata Bl. is active in the antioxidation and GABAergic neuromodulation of the rat brainout. J. Ethnopharm. 73:329-333 (in Korean). 

  6. Heo, J.C., J.Y. Park, S.M. An, J.M. Lee, C.Y. Yun, H.M. Shin, T.K. Kwon and S.H. Lee.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83-87 (in Korean). 

  7. Huang, Z.L. 1985. Pharmacologic stud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Gastrodia elata Blume. J. Modern Dev. Trad. Med. 5:251-254. 

  8. Huh, K., S.J. Yi, U.S. Shin and J.M. Park. 1995. Effect of the ether fraction of Gastrodia elata methanol extract on the pentylenetetrazole-induced seizures. Biomol. Ther. 3:199-204 (in Korean). 

  9. Hur, S.O. 2007. Application of soil moisture theory for irrigation, pp. 25-49. In: Song, K.C. (ed). Water management method for effective use of agricultural water. Suwon: NIAST (in Korean). 

  10. Hwang, Y.S., Y.A. Kim and W.S. Lee. 1999. Effect of postharvest $CO_2$ application time on the flesh firmness and quality in 'Nyoho' strawberries. J. Korean Soc. Horticulture Sci. 40:179-182 (in Korean). 

  11. Im, K.H. 1961. Medicobotany. Dongmyung Publishing Co., Paju, Korea. pp. 334-335 (in Korean). 

  12. Kim, H.T. and E.J. Park. 2013. Change of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with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 times. J. Medicinal Crop Sci. 21:282-288 (in Korean). 

  13. Kim, H.J., S.W. Ahn, K.H. Han, J.Y. Choi, S.O. Chung, N.Y. Roh and S.O. Hur. 2013. Comparison study of water tension and cont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ly textured soils under automatic drip irrigation. Pro. Hort. and Plant Fac. 22:341-348 (in Korean). 

  14. Kim, I.H. 1969. Studies on the active ingredient of Gastrodia elata (1). Chung-ang Univ. 14:449-452 (in Korean). 

  15. Kim, K.H. 1974. Studies on the sterol composi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Chung-ang Univ. 19:215-225 (in Korean). 

  16. Kim, H.G., D.H. Yoo, D.G. Choi, J.S. Jeong, J. Ryu, H.C. Kim and T.C. Kim. 2000.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oriental pear (Pyrus pyrifolia) according to soil water condition at preharvest. J. Life Sci. & Nat. Res. 27:64-70 (in Korean). 

  17. Kwon, Y.H., J.D. Lee, D.C. Jung, S.J. Yoon and Y.H. Hwang. 2005. Effects of shading and mixing ratio of recycling spawn bed logs on the yield of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Plant Res. 18:512-517 (in Korean). 

  18. Lee, C.B. 1982.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678-679 (in Korean). 

  19. Lee, M.U., J.Y. Lee, T.S. Lee, I.P. Hong, K.H. Ga and K.J. Jang. 2007. Characteristics of important medicinal plant and new cultivation technology. Dongguk Univ. pp. 32-118 (in Korean). 

  20. Lee, W.Y., E.J. Park and J.K. Ahn. 2009. Supplementation of methionine enhanced the ergothioneine accumulation in the Ganoderma neojaponicum Mycelia. App. Bioc. and Biot. 158:213-221 (in Korean). 

  21. Lin, J.H., Y.C. Liu, J.P. Hau and K.C. Wen. 1996. Parishins B and C from rhizomes of Gastrodia elata. Phytochemistry 42:549-551. 

  22. Liu, Z.H., H.T. Hu, G.F. Feng, Z.Y. Zhao and N.Y. Mao. 2005. Protective effects of gastrodin on the cellular model of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Abeta 25-35. Sichuan Da Xue Xue Bao. 36:537-540. 

  23. MIFAFF. 2016. An actual output of a crop for a special purpose in 2015.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in Korean). 

  24. Noda, N., Y. Kobayashi, K. Miyahara and S. Fukahori. 1995. 2,4-Bis-(4-hydroxybenzyl) phenol from Gastrodia elata. Phytochemicals 39:1247-1248. 

  25. Ong, E.S., M.Y. Heng, S.N. Tan, H.W.H. Yong, H. Koh, C.C. Teo and C.S. Hew. 2007. Determination of gastrodin and vanillyl alcohol in Gastrodia elata Blume by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J. Separation Sci. 30:2130-2137. 

  26. Paik, Y.S., J.K. Song, C.H. Yoon, K.S. Chung and H.S. Yun. 1995.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Gastrodia elata. Kor. J. Pharm. 26:385-389 (in Korean). 

  27. Park, E.J., W.Y. Lee, J.K. An and S.T. Kim. 2010. Production method in a bottle of none petiolie Gastrodia elata by sexual propagation. Kor. Forest res. Ins. pp. 3-10 (in Korean). 

  28. Park, E.J., W.Y. Lee, S.T. Kim, J.K. An and E.K. Bae. 2010. Ergothioneine accumulation in a medicinal plant Gastrodia elata. J. Mecicinal Plants Res. 4:1141-1147 (in Korean). 

  29. Piyada, T., M. Jeffrey, W.W. David and C.S. John. 2004.Suppression of polyphenol oxidases increases stresstolerance in tomato. Plant Sci. 167:693-703. 

  30. Ri, Y.M. 1990.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Sam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814 (in Korean). 

  31. Shaz and W. Sun. 1985. HPLC determination of Gastrodia and 4-hydroxybenzyl alcohol in Gastrodia elata. Yaowu Fenxi Zashi. 5:218-221. 

  32. Sung, J.M., Y.B. Yoo and D.Y. Cha. 1998. Mushroom Science.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95-106 (in Korean). 

  33. Smith, R.B. 1992.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of 'Redcoat' strawberry fruit. J. American Soc. Horticultural Sci. 117:260-264. 

  34. Taguchi, H., I. Yosioka, K. Yamasaki and I.L. Kim.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Chemical Pharmaceutical Bull. 29:55-62. 

  35. Ueda, Y. and J.H. Bai. 1993. Effect of short term exposure of elevated $CO_2$ on flesh firmness and ester production of strawberry. J. Japan. Soc. Hort. Sci. 62:457-464. 

  36. Xu, X., A.A.M. Van Lammeren, E. Vermeer and D. Vreugdenhil. 1998. The role of gibberellin, abscisic acid, and sucrose in the regulation of potato tuber formation in vitro. J. Plant Physi. 117:575-584. 

  37. Zhou, J., Y.B. Yang and X.Y. Pu. 1980. Phenolic compounds of fresh Gastrodia elata. Acta Botanica Yunnanica 2:370-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