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천마의 젖산발효에 따른 이취성분 및 Parishin 유도체의 변화
Changes of Off-Odor Constituent and Parishin Derivatives of Fermentation of Gastrodia elata Rhizome by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5, 2017년, pp.973 - 982  

송영은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이인석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송은주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최민경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한현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신소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최소라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이기권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명곤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신영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strodia elata Blume often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headaches, convulsions, hypertens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 main active constituents are gastrodin, 4-hydroxybenzyl alcohol, vanillyl alcohol, 4-hydroxybenzylaldehyde and parishin A, B, C and E. Because Gastrodia elata h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효 천마의 이취저감 및 기능성 성분 증대를 통한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천마의 성분 분리를 통하여 이취성분을 알아내고, 젖산균 발효에 의한 이취 경감과 기능성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천마의 용매분획 중 n-hexane:diethyl ether(80:20) 혼합액으로 용출한 분획에서 천마 특유의 강한 이취를 찾아내어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p-cresol 성분임을 알아내었다.
  • 또한, 발효시킨 천마의 생리활성 연구와 관련해서는 건천 마와 발효천마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과 신경 성장인자 유도 효과 비교(Choi 등 2013), 젖산균 발효 천마의 수면유도 효과연구(Lee 등 2013), 발효 천마의 기능성 성분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연구(Kim 등 2014), 흑천마 및 발효천마 제조에 따른 기능성 물질 gastrodin과 p-hydroxybenzyl alcohol 등 분석연구(Kim HJ 2014)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천마의 이취와 관련하여 주요 원인성분을 구명하고, 젖산균을 이용하여 천마의 발효시켜 이취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parishin 유도체 등 기능성 성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발효천마를 고부가가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써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마의 자생지는? 천마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남 아시아 부식질이 많은 계곡의 숲속에서 자생하고 있는 다년생 난과식물로서 비록 고등식물이지만, 엽록소가 없어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공생균인 뽕나무 버섯균을 이용하여 영양분을 공급받아 생장한다. 천마의 임상적 효능에 관해서는 본초강목, 동의보감을 비롯한 여러 본초관련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항경련, 진통, 진정과 신경성 질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천마의 본초관련 문헌에 기록된 효능은? 천마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남 아시아 부식질이 많은 계곡의 숲속에서 자생하고 있는 다년생 난과식물로서 비록 고등식물이지만, 엽록소가 없어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공생균인 뽕나무 버섯균을 이용하여 영양분을 공급받아 생장한다. 천마의 임상적 효능에 관해서는 본초강목, 동의보감을 비롯한 여러 본초관련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항경련, 진통, 진정과 신경성 질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천마는 뇌 기능 개선 및 중추신경계에 대한 신경 차단 기능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항염증 효과와 면역력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hn 등 2007; Zhou 등 2011).
천마의 주요 약리활성 성분 중 주요한 것은? 천마의 주요 약리활성 성분으로서는 gastrodin, 4-hydroxybenzyl alcohol, 4-hydroxybenzaldehyde, vanillyl alcohol, parishinA, B, C, E 등이 잘 알려져 있다(Taguchi 등 1981; Zhou 등1983; Lin 등 1996; Baek 등 1999; Jang 등 2010). 이들 중에서 특히 gastrodin은 주요 활성성분으로서 신경 쇠약으로 인해 유발되는 두통을 치료하는 약으로 시판되고 있고(Qiu 등 2014),parishin A는 뇌질환에 대한 신경보호 효과가 있는 것 알려져 있다(Tang 등 2015). 천마가 국내 농가에서 인공재배되기 시작한 이후로 천마의 활용성 증대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천마는 그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해 식품원료로 사용이 규제되어 있어서 가공식품으로의 이용이 제한되어왔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EK, Jeon HJ, Lim EJ, Jung HJ, Park EH. 2007. Anti-inflammatory and anti-angiogenic activities of Gastrodia elata Blume. J Ethnopharmacol 110:476-482 

  2. Baek NI, Choi SY, Park JK.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ucci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 inhibitory compound from the rhizome of Gastrodia elata Blume. Arch Pharm Res 22:219-224 

  3. Bandli JK, Heidari R, Mohammadkhani N. 2017. Phenolic content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of Artemisia fragrans Willd and Artemisia vulgaris L. Herbs. Pharml Chem J 51:52-55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5. Chang YN, Ahn BY. 2011. Decrease in intrinsic objectionable odors and change of gastrodin contents in lactic acid treated Gastrodia elate Blume.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5056-5062 

  6. Chen S, Liu JQ, Xiao H, Zhang J, Liu A. 2016. Simultaneous qualitative assessm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etabolites (phenolics, nucleosides and amino acids) from the roots of fresh Gastrodia elata using UPLC-ESI-triple quadrupole ion MS and ESI-linear ion trap high-resolution MS. PloSone 11:e0150647 

  7. Choi JH, Kim JH, Jung JY, Suh SG. 2013. Comparison of nerve growth factor induction and anti-aging activity using dried Gastrodia and fermented Gastrodia extracts. Kor J Hort Sci Technol 31:380-387 

  8. Davis WB. 1947. Determination of flava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476-478 

  9. Folin O, Den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3 

  10. Jang YW, Lee JY, Kim CJ. 2010. Anti-asthmatic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roots of Gastrodia elata Bl. Int Immunopharmacol 10:147-154 

  11. Kanisawa T, Tokoro K, Kawahara S. 1994. Flavor development in the beans of Vanilla planifolia. Olfaction and Taste 268-270 

  12. Kim HJ, Kwak IS, Lee BS, Lee HC, Lee EM, Lim JY, Yun YS, Chun BW. 2004. Methods of pretreatment for decrease of discomfortable odor of Gastrodia elata Blume. J Engineering Research 35:135-140 

  13. Kim HY. 2014. Change of functional substances, gastrodin and p-hydroxybenzyl alcohol in the manufacturing of black Gastrodia elata Blume and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Korea 

  14. Kim MH, Kim JG, Choi J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 Nutr 27:684-691 

  15. Kim MN. 2016. Strategies of gastrodin production from parishin A using heat or enzyme treatment.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Korea 

  16. Kim YM, Jeong HJ, Chung HS, Seong JH, Kim HS, Kim DS, Lee YG. 2016.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Life Sci 26:468-474 

  17. Krasner SW. 1988. Flavor-profile analysis: An objective sensory technique for th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off-flavors in drinking water. Water Sci Technol 20:31-36 

  18. Lee BY, Yang YM, Han CK. 2002. Analysis of the aroma pattern of Gastrodia rhizoma by the drying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3-17 

  19. Lee KH, Rhee KH, Kim BS, Choi YH, Kim CH. 2013. Sleep inducing effect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Kor J Pharmacogn 44:281-285 

  20. Leonardos G, Kendall D, Barnard N. 1969. Odor threshold determinations of 53 odorant chemicals. J Air Pollut Control Assoc 19:91-95 

  21. Li Z, Wang Y, Ouyang H, Lu Y, Qiu Y, Feng Y, Yang S. 2015. A novel dereplication strategy for the identification of two new trace compounds in the extract of Gastrodia elata using UHPLC/Q-TOF-MS/MS. J Chromatogr B 988:45-52 

  22. Lin JH, Liu YC, Hau JP, Wen KC. 1996. Parishins B and C from rhizomes of Gastrodia elata. Phytochem 42:549-551 

  23. Nowak A, Libudzisz Z. 2007. Ability of intestinal lactic bacteria to bind or/and metabolise phenol and p-cresol. Ann Microbiol 57:329-335 

  24. Park MR, Yoo C, Chang YN, Ahn BY. 2012.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Korean J Plant Res 25:379-386 

  25. Qiu F, Liu TT, Qu ZW, Qiu CY, Yang ZF, Hu WP. 2014. Gastrodin inhibits the activity of acid-sensing ion channels in rat primary sensory neurons. Eur J Pharmacol 731:50-57 

  26. Schultz TH, Flath RA, Mon TR, Eggling SB, Teranishi R.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ul Food Chem 25:446-449 

  27. Scheline RR. 1968. Metabolism of phenolic acids by the rat intestinal microflora. Acta Pharmacol Toxicol 26:189-205 

  28. Taguchi H, Yosioka I, Yamasaki K, Kim IH.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Cheml Pharm Bull 29:55-62 

  29. Tang C, Wang L, Li J, Liu X, Cheng M, Xiao H. 2015. Analysis of the metabolic profile of parishin by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Biomed Chromatogr 29: 1913-1920 

  30. Yong GR. 2015. Studi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Korea 

  31. Zhang X, Ning Z, Ji D, Chen Y, Mao C, Lu T. 2015. Approach based o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ingerprint coupled wit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Gastrodia rhizoma. J Sep Sci 38:3825-3831 

  32. Zhou J, Pu XY, Yang YB, Yang TR. 1983. The chemistry of Gastrodia elata BL. IV. the phenolic compounds of some Chinese species of Gastrodia. Acta Botanica Yunnanica 5:443-444 

  33. Zhou Y, Cao DB, Han YY, Sun JH, Yang SR. 2011. Protective effects of Gastrodia elata on myocardial cells of mice with viral myocarditis. J Clin Pediatr 29:766-7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