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의 정서조절 수준에 따른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 분석
Mother-Child Interactions in a Stressful Situation by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Leve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8 no.1, 2017년, pp.251 - 262  

남은영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아동심리학전공) ,  박소은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아동심리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mother-child interactions in a stressful situation each second by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level.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6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playing a teaching task for 15 min. During the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ere vi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실제 상호작용과 유사한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을 도출하고자 약간의 긴장감과 자연스럽게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게임 상황을 설정하여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녹화된 자료는 어머니의 정서반응 및 참여행동과 아동의 정서반응으로 양적자료로 변환하여 반응의 지속시간을 실시간 초단위로 분석하였고, 그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측정의 객관적 분석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도중, 타인의 개입으로 의도치 않게 실험을 방해받는 경험을 제공하여 스트레스와 좌절감이 가중되는 상황의 어머니 정서조절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녹화된 자료는 어머니의 정서반응 및 참여행동과 아동의 정서반응으로 양적자료로 변환하여 반응의 지속시간을 실시간 초단위로 분석하였고, 그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측정의 객관적 분석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도중, 타인의 개입으로 의도치 않게 실험을 방해받는 경험을 제공하여 스트레스와 좌절감이 가중되는 상황의 어머니 정서조절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부 방해로 블록이 무너지는 상황은 어머니와 자녀 모두에게 스트레스가 상승될 수 있는 상황이나,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조절 방식이 모자녀 상호작용에 더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 본 실험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어머니-자녀의 정서 및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 스트레스 요인을 주고자 하였다. 첫째, 시간제한(15분), 둘째, 과제완성요구, 셋째, 외부의 방해이며, 어머니의 정서수준은 외부 방해로 인해 극대화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명하게 드러나게 하였고, 나머지 두 가지 요인들도 어머니 아동 모두에게 실험 전반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젠가를 활용한 15분간의 teaching-task실험을 통해, 스트레스가 유발된 긴장 상황 속에서 어머니와 자녀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 내에서 어머니의 정서반응 및 참여행동과 아동의 정서반응을 측정하였으며, 컴퓨터를 활용한 초 단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 상호작용 관찰은 Kahen (1995)이 개발하고 Nahm (2006)이 개정 및 번안한 Kahen 정서코딩체계(KACS)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정서적으로 접근하는 반응 및 아동의 정서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KACS는 부모-자녀 상호작용에서의 정서반응성과 아동의 정서발달 측정에 널리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Gottman & Katz, 2002; Katz & Gottman, 1997), 선행연구들을 통해 측정의 유용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관찰코딩체계이다(Kahen, Katz, & Gottman, 1994; Locke & Prinze, 2002).
  •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어머니와 자녀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정서적 반응을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일 뿐 아니라 주로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적 반응에 초점을 두거나 설문지 연구를 통한 어머니의 자기보고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의 정서조절 수준과 함께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서 드러난 반응들 간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제 상호작용과 유사한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을 도출하고자 약간의 긴장감과 자연스럽게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게임 상황을 설정하여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 첫째, 지금까지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실험연구가 널리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를 활용한 실시간 초단위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으며, 어머니와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적 상호작용 양상을 심도있게 살펴, 보다 실질적이고 유용한 결과들을 보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외부 방해로 블록이 무너지는 상황은 어머니와 자녀 모두에게 스트레스가 상승될 수 있는 상황이나,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조절 방식이 모자녀 상호작용에 더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또한 고조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보인 어머니의 정서조절 방식이 전반적 상호작용 가운데 드러날 것이라고 가정하에 탑이 무너지기 전 상황을 포함한 전체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 연구원의 개입은 실험 중반(약 7-8분경), 블록을 어느 정도 쌓아올린 상태에서 어머니와 아동이 실험에 적응하여 몰입도가 높아진 시점에 하였다. 전체 실험 내용에는 의도적인 방해 외에도 아동의 실수로 탑이 무너진 사건 모두가 포함되어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외부의 방해로 인한 실패경험에서 상승된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관찰실험 진행에는 연구자 외 여러 연구원들이 함께 참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사회에서 부모가 다양한 외부적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이 증가함에 따라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의 부모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다양한 외부적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일상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다루고 자녀와 정서적으로 건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에 있어 중요하다. 특히,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가운데 이뤄지는 정서적 교류는 아동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Blair & Raver, 2012; Gross & Thompson, 2007).
부모의 정서반응이 영향을 받는 것은 무엇인가? 한편 부모의 정서반응은 부모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다. 부모의 높은 스트레스는 처벌적이고 강압적 양육행동 등 부정적 양육행동을 유발한다고 보고된다(Anthony et al.
Gross가 정서조절에 대한 정의로 강조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어머니의 정서조절 수준은 단순히 상호작용 내 보이는 반응의 양이나 빈도만으로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스트레스 상황에서 보여주는 행동적 특성을 전사하여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정서조절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정서조절에 대한 정의로 자기조절의 측면을 강조하며(Gross, 1998), 부정적 정서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Baumeister, Heartherton, & Tice, 1994). 또한 정서조절의 방식으로는 크게 부정적 정서에 대한 능동적, 적극적 대처 방식과 회피적, 주의분산적 대처방식으로 구분하고 있다(Parkinson, Totterdell, Briner, & Reynolds,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33-154. doi:10.1002/icd.385 

  2. Baumeister, R. F., Heatherton, T. F., & Tice, D. M. (1994). Losing control: How and why people fail at self-regulation. San Diego: Academic Press. 

  3. Blair, C., & Raver, C. C. (2012). Child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adversity: Experiential canalization of brain and behavior. American Psychologist, 67(4), 309-318. doi:10.1037/a0027493 

  4. Creswell, J. W., Hanson, W. E., Clark Plano, V. L., & Morales, A. (2007). Qualitative research design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5(2), 236-264. doi:10.1177/0011000006287390 

  5. Denham, S. A. (1998). Emotion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New York: Guilford Press. 

  6. Denham, S. A., Bassett, H. H., & Wyatt, T. (2007). The socialization of emotional competence. In J. E. Grusec & P. D. Hastings (Eds.),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 (pp. 614-637). New York: Guilford Press. 

  7. Denham, S., & Kochanoff, A. T. (2002). 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 Marriage & Family Review, 34(3-4), 311-343. doi:10.1300/J002v34n03_06 

  8.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ar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4), 241-273. doi:10.1207/s15327965pli0904_1 

  9. Eisenberg, N., Fabes, R. A., Shepard, S. A., Guthrie, I. K., Murphy, B. C., & Reiser, M. (1999). Parental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ongitudinal relations to quality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0, 513-534. doi:10.1111/1467-8624.00037 

  10. Garner, P. W., & Power, T. G. (1996).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in the disappointment paradigm and its relation to temperament, emotional knowledge, and family expressiveness. Child Develo pment, 67(4), 1406-1419. doi:10.1111/j.1467-8624.1996.tb01804.x 

  11. Gottman, J. M., & Katz, L. F. (2002). Children's emotional reactions to stressful parent-child interactions: The link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vagal tone. Marriage & Family Review, 34(3-4), 265-283. doi:10.1300/J002v34n03_04 

  12.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doi:10.1037/0893-3200.10.3.243 

  13.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7). Meta-emotion: How familes communicate emotionall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Gottman, J. M., & Nahm, E. Y. (2007). The heart of parenting: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Seoul: Hankyung BP. 

  15.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71-299. doi:10.1037/1089-2680.2.3.271 

  16. Gross, J. J., & Thompson, R. A. (2007). Emotion regulation: Conceptual foundations. In J. J. Gross (Ed.),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pp.3-24). New York: Guilford Press. 

  17. Jarvis, P. A., & Creasey, G. L. (1991). Parental stress, coping, and attachment in families with an 18-month-old infant.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4(4), 383-395. doi:10.1016/0163-6383(91)90029-R 

  18. Kahen, V., Katz, L F. & Gottman, J. M. (1994). Linkages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Conversations of friends. Social Development, 3(3), 238-254. doi:10.1111/j.1467-9507.1994.tb00043.x 

  19. Katz, L. F., & Gottman, J. M. (1997). Buffering children from marital conflict and dissolu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 y, 26(2), 157-171. doi:10.1207/s15374424jccp2602_4 

  20. Katz, L. F., & Windecker-Nelson, B. (2004). The child/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Washington. 

  21. Landry, S. H., Smith, K. E., Miller-Loncar, C. L., & Swank, P. R. (1998). The relation of change in maternal interactive styles to the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of full-term and preterm children. Child Development, 69(1), 105-123. doi:10.1111/j.1467-8624.1998.tb06137.x 

  22. Locke, L. M., & Prinz, R. J. (2002). Measurement of parental discipline and nurturanc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2(6), 895-929. doi:10.1016/S0272-7358(02)00133-2 

  23. Mangold, P. (2008). INTERACT (version 8.7.1) [Computer software]. Arnstorf, Germany: Mangold International GmbH. 

  24. Mcdowell, D. J., Kim, M., O'Neil, R., & Parke, R. D. (2002).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middle childhood: The role of maternal and paternal interactive style. Marriage & Family Review, 34(3-4), 345-364. doi:10.1300/J002v34n03_07 

  25. Meyer, S., Raikes, H. A., Virmani, E. A., Waters, S., & Thompson, R. A. (2014). Parent emotion representations and the socialization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family. International Journal o f Behavioral Development, 38(2), 164-173. doi:10.1177/0165025413519014 

  26. Morris, A. S., Silk, J. S., Steinberg, L., Myers, S. S., & Robinson, L R. (2007). The role of the family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16(2), 361-388. doi:10.1111/j.1467-9507.2007.00389.x 

  27. Nahm, E. Y. (2006).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Kore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its relationship to parent-child interac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519650 

  28. Parkinson, B., Totterdell, P., Briner, R. B., & Reynolds, S. (1996). Changing moods: The psychology of mood and mood regulation. London: Longman. 

  29. Pasalich, D. S., Waschbusch, D. A., Dadds, M. R., & Hawes, D. J. (2014). Emotion socialization styl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callous-unemotional traits.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45(2), 229-242. doi:10.1007/s10578-013-0395-5 

  30. Romens, S. E., & Pollak, S. D. (2012). Emotion regulation predicts attention bias in maltreated children at-risk for depress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3(2), 120-127. doi:10.1111/j.1469-7610.2011.02474.x 

  31. Skinner, E. A., & Wellborn, J. G. (1994). Coping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A motivational perspective. In D. Featherman, R. Lerner, & M. Perlmutter (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Vol. 12, pp. 91-13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2. Thayer, R. E., Newman, J. R., & McClain, T. M. (1994). Selfregulation of mood: Strategies for changing a bad mood, raising energy, and reducing ten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5), 910-925. doi:10.1037/0022-3514.67.5.910 

  33.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s and method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4. Zhou, Q., Eisenberg, N., Losoya, S. H., Fabes, R. A., Reiser, M., Guthrie, I. K., ... Shepard, S. A. (2002). The relations of parental warmth and positive expressiveness to children's empathy-related responding and social functioning: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3(3), 893-915. doi:10.1111/1467-8624.00446 

  35. Hwang, H. S., & Oh, Y. K. (2014).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humor style, children's emotionality, and peer competenc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2), 199-211. doi:10.6115/fer.2014.52.2.199 

  36. Kim, M.-J., & Yu, Y.-O. (2011).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and their gender.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 95-111. 

  37. Lee, J. L. (2008). Model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maternal acceptance-rejection: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2), 57-71. 

  38. Lim, H. S. & Park, S. Y. (2002).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s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1), 37-54. 

  39. Park, S. E., & Nahm, E. Y. (2010). The relationship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wareness, acceptance and parenting attitude: A comparison of low income and middle income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3(3), 89-103.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375199 

  40. Shin, J. Y., Lee, Y. A., & Lee, K. H. (2005). The effects of life meaning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4), 1035-1057.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3695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