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열 증상 클러스터 - 응급실 내원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The Clusters of Fever-Related Symptoms among Patients at the Emergency Room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20 - 29  

나선경 (삼성서울병원,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신현아 (삼성서울병원,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ymptoms experienced by patients who reported fever at the emergency room (ER) and to identify any existing cluster of symptom related to fever. Methods: The study used a retrospective and descriptive design with secondary data analysis. Data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발열과 관련된 증상 클러스터를 규명하고, 각 클러스터별 환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발열 관련 증상 특성에 따른 환자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성인 발열환자 간호에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염 없이 발열이 발생한 사람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항암 화학 요법 중인 암환자들이 응급실에 내원하는 증상 중 발열이 가장 많고, 이때 발생되는 발열은 치명적인 감염 양상으로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하다[5]. 반면 감염 없이 발열이 발생한 뇌손상 성인 환자의 경우에도 발열로 인해 뇌에 미치는영향은 심각하며, 발열기간이 길어질수록 예후가 나빠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6].
발열환자의 증상을 Ames는 어떻게 설명하였는가? 특히 전신 오한은 발열에 자주 동반되는 증상으로 균혈증의 중요한 증상일 수 있고, 노인, 화상 환자, 척수 손상 환자, 신부전이나 간부전 환자의 경우는 감염에 대한 발열 반응이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9]. Ames등[10]은 발열과 관련된 증상으로 오한, 떨림과 같은 추위, 위약감, 열감, 발한 뿐 아니라 비특이적인 신체 감각(견디기 힘든 느낌 등), 소화기계 증상(오심, 구토, 식욕감소), 두통, 발열과 관련된 정서적 변화(불안,분노,좌절), 통증, 호흡기 증상(숨가쁨, 기침 등), 망상이나 환각과 같이 흔하지 않은 증상을 호소한다고 보고하였다. 실제 응급실에서 발열로 인한 떨림, 전신통증을 호소하거나 고열로 인해 갑자기 의식이 저하되는 환자를 접할 수 있으나, 발열이나 동반 증상에 대한 의료진의 이해가 부족한 경우, 환자 및 보호자에게 적절한 응대나 설명을 제공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7,8,11].
응급실 성인환자의 발열 특징은 무엇인가? 발열은 응급실 성인환자의 16~21%가 호소하고, 응급실 의료진이 흔히 직면하는 다빈도 주호소 증상 5가지 중 2위를 차지하는 증상이다[1,2]. 또한 발열, 오한, 떨림등의전신적인 임상증상을 보이는 균혈증의 경우 40~5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KH, Han ST, Kang H. A study on property of emergency patients using health medic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1;6(5):1403-1413. 

  2. Marx J, Hockberger R, Walls R, Adams J. Rosen′s emergency medicine: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5nd ed. Philadelphia: MOSBY; 2002. p. 2233-2245. 

  3. Washington JA, 2nd, Ilstrup DM. Blood cultures: issues and controversies. Reviews of infectious disease. 1986;8(5):792-802. 

  4. Krzyzanowska MK, Walker-Dilks C, Morris AM, Gupta R, Halligan R, Kouroukis CT, et al. Approach to evaluation of fever in ambulatory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 systematic review. Cancer Treatment Reviews. 2016;51:35-45. http://dx.doi.org/10.1016/j.ctrv.2016.10.007 

  5. Sipsas NV, Bodey GP, Kontoyiannis DP. Perspectives for the management of febrile neutropenic patientswith cancer in the 21st century. Cancer. 2005;103(6):1103-1113. Epub 2005/01/25. http://dx.doi.org/10.1002/cncr.20890 

  6. Hinz J, Rosmus M, Popov A, Moerer O, Frerichs I, Quintel M. Effectiveness of an intravascular cooling method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oling technique in neurologic patients. Journal of Neurosurgical Anesthesiology. 2007;19(2):130-135. http://dx.doi.org/ 10.1097/ANA.0b013e318032a208 

  7. Kim HJ, Moon JM, Chun BJ. The usefulness of blood culture in febrile immunocompetent patients at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ine. 2006;17(5):463-470. 

  8. Presciutti M, Bader MK, Hepburn M. Shivering management during therapeutic temperature modulation: nurses' perspective. Critical Care Nurse. 2012;32(1):33-42. http://dx.doi.org/10.4037/ccn2012189 

  9. Eom JS, Kim W. Diagnostic approach of febrile out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Medicine. 2002;23(8):976-987. 

  10. Ames NJ, Peng C, Powers JH, Leidy NK, Miller-Davis C, Rosenberg A, et al. Beyond intuition: patient fever symptom experience. Journal of Pain and SymptomManagement. 2013;46(6):807-816.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13.02.012 

  11. McGowan JE, Rose RC, Jacobs NF, Schaberg DR, Haley RW. Fever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dical servic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987;82(3 Spec No):580-586. 

  12. Thompson HJ, Kirkness CJ, Mitchell PH,Webb DJ. Fevermanagement practices of neuroscience nurses: national and regional perspectives.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7;39(3):151-162. 

  13. Kiekkas P, Brokalaki H, Theodorakopoulou G, Baltopoulos GI. Physical antipyresis in critically ill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08;108(7):40-49. http://dx.doi.org/ 10.1097/01.naj.0000325812.77380.02 

  14. Knowlton MC. Nurses know how to manage fever, but what about the shivering? Nursing. 2013;43(11):49-51. http://dx.doi.org/10.1097/01.nurse.0000434315.90818.45 

  15. Shimoni Z, Rodrig J, Dusseldorp N, Niven M, Froom P. Increased emergency department chief complaints of fever identified the influenza(H1N1) pandemic before outpatient symptom surveillance. Environment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2012;17(1):69-72. http://dx.doi.org/ 10.1007/s12199-011-0213-2 

  16. Kim JH, Shun YS, Kim SR, Yoo SH, Kim SH, Kim JH, et al. A descriptive study for fever management in adult febrile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1):96-104. 

  17. Dodd MJ, Miaskowski C, Paul SM. Symptom clusters and their effect on the func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001;28(3):465-470. 

  18. Kim HJ, McGuire DB, Tulman L, Barsevick AM. Symptom clusters: concept analysis and clinical implications for cancer nursing. Cancer Nursing. 2005;28(4):270-282. 

  19. Park E, Lee J. Symptomclusters in Korean patients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3):378-387. http://dx.doi.org/10.4040/jkan.2015.45.3.378 

  20. Im TH, KTAS Committe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provider training Manual. Seoul(Korea):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21. Mooi E, Sarstedt M. A concise guide to market research: The process, data, and methods using IBM SPSS statistics. Berlin, DE: Springer; 2011.p. 273-3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