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간호사의 표준 교대근무 지표(Standard Shiftwork Index) 차이
A Comparison of Standard Shiftwork Index between Night Shift Fixed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54 - 63  

김정희 (서울아산병원) ,  김명숙 (서울아산병원 간호팀) ,  김연희 (서울아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orking status and Standard Shiftwork Index (SSI) between night shift-fixed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367 nurses working as registered nurses at 7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야간전담간호제도가 있는 기관에서의 3교대간호사와 야간전담간호사의 근무 현황을 파악하고 SSI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야간전담근무제도의 실효성을 파악하기 위해 야간전담간호제를 시행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의 3교대간호사와 야간전담간호사의 근무 현황과 SSI를 비교하여 간호사들의 근무형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야간전담간호제도를 운영하는 7개 의료기관의 야간전담간호사와 같은 병동에 근무하는 비슷한 연차의 3교대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야간전담근무제도의 실효성을 파악하기 위해 야간전담간호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3교대근무간호사와 야간전담간호사의 SSI를 비교하여 간호사들의 근무형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는 어떤 직업군인가? 간호사는 24시간 동안 대상자를 관찰하면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주로 3교대로 근무하고 있는 대표적인 직업군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는 주로 1일 3교대로 근무하고 있다[1].
밤 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특히 교대근무 중에서도 밤 근무는 일주기 리듬을 깨는 가장 큰 요인으로 수면과 생리적인 기능의 큰 변화를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건강과 근무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2]. 밤 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는 수면-각성 패턴이 변화되고 규칙적인 생체리듬이 교란되어 수면장애, 피로, 식욕부진, 우울 등의 생리적, 신경행동적 교란을 야기한다[3]. 교대근무간호사는 수면 후 회복의 어려움, 수면 만족도 저하, 수면 유지의 어려움, 잠들기 어려움, 일어나기 어려움 등 수면의 질에 영향을 받기도 하며[4,5], 교대근무에 따른 적응문제는 업무의 부담감 및 직업의 불만족 요인으로 작용하여 직무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이직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6].
간호사의 야간전담제를 시행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교대근무간호사는 수면 후 회복의 어려움, 수면 만족도 저하, 수면 유지의 어려움, 잠들기 어려움, 일어나기 어려움 등 수면의 질에 영향을 받기도 하며[4,5], 교대근무에 따른 적응문제는 업무의 부담감 및 직업의 불만족 요인으로 작용하여 직무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이직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6].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무엇보다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감으로 만족도가 높을 때, 자신의 업무수행을 증진시키고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할뿐 아니라 환자만족을 증진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7]. 그러므로 교대근무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hin SW, Kim SH. Influe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in rotating-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14;21(2):123-130. 

  2. Burch JB, Yost MG, Johnson W, Allen E. Melatonin, sleep, and shift work adap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47(9):893-901. 

  3. Kudielka BM, Buchtal J, Uhde A, Wust S. Circadian cortisol profiles and psychological self-reports in shift workers with and without recent change in the shift rotation system. Biological Psychology. 2007;74(1):92-103. http://dx.doi.org/10.1016/j.biopsycho.2006.08.008 

  4. Son YJ, Park YR.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3):229-237. 

  5. Garde AH, Hansen AM, Hansen J. Sleep length and quality, sleepiness and urinary melatonin among healthy Danish nurses with shift work during work and leisure time.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09;82(10):1219-1228. http://dx.doi.org/10.1007/s00420-009-0419-4 

  6. Muecke S. Effects of rotating night shifts: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0(4):433-43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409.x 

  7. Kim CU. The study on the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0. p. 1-88. 

  8. Jang SY. Comparison of life quality, bun-ou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three rotating shift nurse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0. p. 1-72. 

  9. Park YW, Shin HK, Lee HS, Lee HY, Kim EH, Park JS, et al. A study for developing the effectiveworking pattern for nurses in shift work.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3):333-344. 

  10. Lee ES, Kim KO, Song HJ, Lee JS, Kim SY, Lee HS, et al.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nurses on fixed nights and nurses on three shifts, and nurses understanding of fixed night shift syste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63-73. 

  11. Barton J, Spelten E, Totterdell P, Smith L, Folkard S, Costa G. The Standard Shiftwork Index: a battery of questionnaires for assessing shiftwork-related problems. Work and Stress. 1995;9(1):4-30. http://dx.doi.org/10.1080/02678379508251582 

  12. Working Tme Society. The standard shiftwork index(SSI) [Internet]. a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Occupational Health (ICOH); 2016[cited 2016 February 16]. Available from: http://www.workingtime.org/technical 

  13. Korompeli A, Muurlink O, Tzavara C, Velonakis E, Lemonidou C, Sourtzi P. Influence of shiftwork on greek nursing personnel. Safety and Health at Work. 2014;5(2):73-79. http://dx.doi.org/10.1016/j.shaw.2014.03.003 

  14. Barton J. Choosing to work at night: a moderating influence on individual tolerance to shif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4;79(3):449-454. 

  15. Ruggiero JS, Avi-Itzhak T. Sleep pattern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on workdays and days off. Th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6;24(2):173-180. http:/dx.doi.org/10.1097/jnr.0000000000000121 

  16. Courtney JA, Francis AJ, Paxton SJ. Caring for the country: fatigue, sleep and mental health in Australian rural paramedic shiftworker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013;38(1):178-186. http://dx.doi.org/10.1007/s10900-012-9599-z 

  17. Kaliterna L, Prizmic Z. Evaluation of the survey of shiftworkers (SOS) short version of the standard shiftwork index.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998;21(3-4):259-265. http://dx.doi.org/10.1016/S0169-8141(97)00052-8 

  18. Bjorvatn B, Dale S, Hogstad-Erikstein R, Fiske E, Pallesen S, Waage S. Self-reported sleep and health among Norwegian hospital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Nursing in Critical Care. 2012;17(4):180-188. http://dx.doi.org/10.1111/j.1478-5153.2012.00504.x 

  19. Ruggiero JS. Correlates of fatigue in critical care nurs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3;26(6):434-444. http://dx.doi.org/10.1002/nur.10106 

  20. Ferri P, Guadi M, Marcheselli L, Balduzzi S, Magnani D, Di Lorenzo R. The impact of shiftwork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a comparison between rotating night shifts and day shifts. Risk Management and Healthcare Policy. 2016;9:203-211. http://dx.doi.org/10.2147/rmhp.s115326 

  21. Korompeli A, Sourtzi P, Tzavara C, Velonakis E. Rotating shift-related changes in hormone levels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6):1274-1282.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4987.x 

  22. Cohen J.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2(1):155-159. 

  23. Wanous JP, Reichers AE, Hudy MJ. Overall job satisfaction: how good are single-item measu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7;82(2):247-52.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CH: Author; 2015[cited 2015March 1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25.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26. Tucker P, Knowles SR. Review of studies that have used the sandard siftwork idex: evidence for the underlyingmodel of shiftwork and health. Applied Ergonomics. 2008;39(5):550-564. http://dx.doi.org/10.1016/j.apergo.2008.02.001 

  27. Lee CY, Chen HC, Meg Tseng MC, Lee HC, Huang LH. The relationships among sleep quality and chronotype, emotional disturbance, and insomnia vulnerability in shift nurse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5;23(3):225-235. http://dx.doi.org/10.1097/jnr.0000000000000095 

  28. Conway PM, Campanini P, Sartori S, Dotti R, Costa G.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shiftwork, age and work stress on health in an Italian sample of healthcare workers. Applied Ergonomics. 2008;39(5):630-639. http://dx.doi.org/10.1016/j.apergo.2008.01.007 

  29. Nicoletti C, Spengler CM, Laubli T. Physical workload, trapeziusmuscle activity, and neck pain in nurses' night and day shifts: a physiological evaluation. Applied Ergonomics. 2014;45(3):741-746. http://dx.doi.org/10.1016/j.apergo.2013.09.016 

  30. Costa G. Shift work and health: current problems and preventive actions. Safety and Health at Work. 2010;1(2):112-123. http://dx.doi.org/10.5491/shaw.2010.1.2.112 

  31. Knutsson A. Methodological aspects of shift-work research.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004;21(6):1037-10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