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8 no.1, 2017년, pp.5 - 23  

송기호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포함된 매체를 정보처리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입장에서 매체활용능력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이 배우는 국정도덕 교과서 3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투입 요소는 사진(시각매체)과 이야기(인쇄매체)에 편중되어 있고, 처리 요소는 조사와 표를 이용한 학습지 중심이며, 산출 요소는 글쓰기, 말하기, 제작(창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입 요소인 매체를 활용하여 적절한 학습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이 부족하고, 투입 요소로 많이 출현하고 있는 시각매체의 읽기 전략도 부족한 실정이다. 투입 요소의 편향과 정보 처리 활동의 제한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매체활용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 학교도서관은 독서흥미발달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독서자료의 제공, 텍스트 유형에 따른 학습지 개발, 협동수업시간 확보 등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suggest some ways to boost media literacy within the school library. In this study, the three national moral curriculum for the 4th, 5th and 6th elementary students are assay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항인(2008)은 교육공학의 도덕 교과 활용 방안으로써 교사들이 선호하는 수업자료는 동영상 자료, CD-Rom 및 웹 자료라는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매체를 수업 목표와 방법에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한 교육공학 차원의 교수설계 전략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 이처럼 교과서에 수록된 매체에 대한 연구는 개별 매체의 특징과 역할을 분석하거나 탐구능력 향상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매체의 유형과 매체의 활용 및 표현 방법을 정보처리모형을 통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대상으로 개인의 정보처리와 학습역량에 영향을 끼치는 매체를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측면에서 매체활용능력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정 교과서로 개발되어 운영 중인 초등학교 4·5·6학년 도덕 교과서 3종에 포함된 매체를 <그림 1>에서 보는바와 같이 투입 요소-처리 요소-표현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체가 인간을 확장시킨 예는 무엇인가? 또한 매체는 인간의 감각을 외부로 끌어내고 물리적으로 닿을 수 없는 것을 지각하게 해줌으로써 인간을 확장시킨다. 예를 들면 책과 같이 인쇄된 문자에 의한 인간의 확장은 사회적으로는 내셔널리즘, 산업주의, 대량생산을 가져 왔으며, 보편적으로는 읽고 쓰는 능력과 교육을 초래하였다(McLuhan 2001, 248). 따라서 어떤 시대에 토대를 이룬 매체를 해독하면 문화와 사회의 기초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지배하고 통제할 수 있다(Mercsh 2009, 125).
매체란 무엇인가? 매체는 양식에 상관없이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개입하는 매개물이다(김상환 외 1998, 362). 매체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극복하고 경험과 기억을 기록하여 전승하려는 욕구에서 발전하였으며, 정보와 지식을 담고 있는 물리적 자료는 물론 환경과 인적자원을 포함한다.
매체가 발전한 배경은 무엇인가? 매체는 양식에 상관없이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개입하는 매개물이다(김상환 외 1998, 362). 매체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극복하고 경험과 기억을 기록하여 전승하려는 욕구에서 발전하였으며, 정보와 지식을 담고 있는 물리적 자료는 물론 환경과 인적자원을 포함한다. 경험과 기억의 보존 및 전승이라는 매체의 기본적인 기능은 자연스럽게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생산된 문화의 전달과 공유를 포함하며, 중요한 교육 수단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교육부. 2014. 도덕 4. 서울: 천제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4. Moral Textbook for 4th Grade. Seoul: Chunjae.) 

  2. 교육부. 2015a. 도덕 6.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a. Moral Textbook for 6th Grade. Seoul: Chunjae.) 

  3. 교육부. 2015b. 도덕 5. 서울: 동아출판. (Ministry of Education. 2015b. Moral Textbook for 5th Grade. Seoul: Dongachulpan.) 

  4. 교육인적자원부, 대구광역시교육청. 2010. 학교도서관에서 배우는 기쁨 아는 즐거움. 대구: 대구광역시교육청.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and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0. A pleasure to learn and joy to know in the school library. Daegu: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5. 김병선. 2005. 현행 초등학교 5-6학년 도덕 교과서 삽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Kim, Byung Sun. 2005. An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 textbook for the 5th and 6th grade in the 7th curriculum of primary moral education. M.A. thesis.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김상환, 오종환, 이기현, 이봉재, 이승종, 정호근. 1998. 매체의 철학. 서울: 나남출판. (Kim, Sang-Hwan, Jong-Hwan Oh, Ki-Hyen Lee, Bong-Jae Lee, Seung-Jong Lee, and Ho-Gun Jeong. 1998. Philosophical Study on Media. Seoul: Nanam.) 

  7. 김항인. 2008. 도덕 교과에서 교육공학 활용의 현황과 발전 방향. 도덕윤리과교육연구, 26: 51-76. (Kim, Hang-In. 2008. "Status and Suggestion of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26: 51-76.) 

  8. 김효정, 김승환, 한복희, 송영숙. 1997.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im, Hyo-Jeong, Seung-Hwan Kim, Bock-Hee Han, and Yeong-Sook Song. 1997. Theory and Practice of Reading Educatio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9. 박주연. 2016. 스마트 미디어 시대 독일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연구: 미디어능력 촉진 프로젝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26(1): 126-149. (Park, Joo-Yeun. 2016. "Media literacy Policy in Germany in the Era of Smart Media: Focusing on Media Competence Projects of German Media Authorities." Zeitschrift der Koreanisch- 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26(1): 126-149.) 

  10. 변우열. 2015. 독서교육의 실제.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Byun, Woo-Yeoul. 2015. Practice of Reading Education. 2nd.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1. 설진아, 강진숙. 2015. 미디어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Seol, Jin-A and Jin-Suk Kang. 2015. Media Education. Seoul: KNOUPRESS.) 

  12. 손정표. 2001. 신독서지도 방법론. 대구: 태일사. (Son, Jeong-Pyo. 2001. The New Methodology of Reading Education. Daegu: Taeilsa.) 

  13. 송기호. 2016.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4.5.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1-20. (Song, Gi-Ho. 2016.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Inquiry Tas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e 4th.5th.6th Grade in the First ter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1-20.) 

  14. 오미경. 2013.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사서교사의 독서교육이 중학생의 독해력과 독서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Oh, Mi-Kyeong. 2013. The Effects of Graphic Organizers Utilizing Reading Instruction of Teacher Librarian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15. 유소영. 1998. 창의성 개발을 위한 학습도구로서의 정보처리모형의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4): 87-103. (Yoo, So-Young. 1998. "A Feasibility Study o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as Learning Tools for Developing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4): 87-103.) 

  16. 유종열, 송기호. 2017.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 분석: 초등학교 4.5.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9-47. (Yu, Jong-Youl and Gi-Ho Song. 2017.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Role Embedded in Inquiry Tas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e 4th. 5th.6th Grade in the Second Term."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1): 29-47.) 

  17. 이경화. 2000. 매체언어의 국어 교재화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17: 39-56. (Lee, Kyeong-Hwa. 2000. "Media Literacy and Korean Language Textbook."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17: 39-56.) 

  18. 이경화, 박영민, 김승희, 김혜선, 윤숙현, 고진희, 김애연. 2007. 교과 독서와 세상 읽기. 서울: 박이정. (Lee, Kyeong-Hwa, Yeong-Min Park, Seung-Hee Kim, Hye-Seon Kim, Sook-Hyeon Yoon, Jin-Hee Ko, and Ae-Yeon Kim. 2007. Reading to Learn and Reading the World. Seoul: Bagijong.) 

  19. 이신동. 1994. 정보처리 이론의 한계와 신경망. 교육문제연구, 6: 231-247. (Lee, Shin-Dong. 1994. "The Limitations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Neural Network Theroy."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6: 231-247.) 

  20. 이은주. 2015. 비주얼 리터러시 관점에 따른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변화 연구: 한국 도덕 교과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6(4): 467-481. (Lee, Eun-Joo. 2015. "A Study on Textbook Illustration in the aspect of Visual Literacy: focused on elementary moral textbook in Korea."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4): 467-481.) 

  21. 이종흔. 2003. 교수 학습 매체의 패러다임 변화와 도덕과 교육의 방법 개선. 윤리교육연구, 3: 1-21. (Lee, Jong-Heun. 2003. "Study on Paradigm Shift in Teaching-Learning Media and Improvement Alternative for Efficient Moral Subject Education."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3: 1-21.) 

  22. 정말희. 2006.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도덕 교과의 자료기반학습 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Jeong, Mal-Hee. 2006. A study on the resource-based learning model for the subject of ethics using school libraries. M.A.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23. 정수영. 2009.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교과서 사료의 적합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Chung, Soo-Young. 2009.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Historical Documents in Six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최정순. 2016.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 매체의 특성 및 읽기 방향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97-118. (Choi, Jung-Soon. 2016. "Discussion on how to guide students to effectively read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cription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9(1): 97-118.) 

  25. AASL. 2009.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Chicago: AASL. 

  26. AASL and AECT.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LA. 

  27. California School Library Association (CSLA). 1997. From Library Skills to Information Literacy: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2nd ed. California: Hi Willow Research and Publishing. 

  28. Catts, Ralph and Jesus Lau. 2009. Towards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s. Paris: Unesco [online]. [cited. 2016.11.9]. . 

  29. Connell, J. Diane. 2008. 뇌 기반 교수-학습전략. 정종진, 임청환, 성용구 옮김. 서울: 학지사. (Connell, J. Diane. 2008. Brain-based Strategies to Reach Every Learner. Transted by Jeong, Jong-Jin, Cheong-Hwan Im and Young-Goo Seong. Seoul: Hakjisa.) 

  30. Doll, Carol A. 2005.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Maryland: The Scarecrow Press. 

  31. McLuhan, Marshall. 2001. 미디어의 이해. 박정규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cLuhan, Marshall. 2001.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Translated by Park, Jeong-Kyu. Seoul: Communicationbooks.) 

  32. Mersch, Dieter. 2009. 매체이론. 문화학연구회 옮김.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Mersch, Dieter. 2009. Medientheorien Zur EinfUhrung. Translated by Study Group for Cultural Studies. Seoul: Yons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