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기록된 독우산광대버섯의 재동정
Re-evaluation of specimens recorded as Amanita viros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5 no.1, 2017년, pp.14 - 22  

진용주 (국립농업과학원 유전체과) ,  유기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안금란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성환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석순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수집되어 Amanita virosa로 동정된 40개 표본의 분자계통학적 종동정을 위해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Lepidella 아속의 Phalloideae절에 속하는 Amanita oberwinklerana의 14개 표본, A.cf. rimosa 5개 표본, A. pallidorosea 20개 표본 및 A. virosa 1개 표본을 확인하였고, 그들의 형태학적 특성을 재조사하였다. 백색 계열의 맹독성 버섯에 속하는 위 3종(A. oberwinklerana, A.cf. rimosa, A. pallidorosea)은 아직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형태학적 특징들이 A. virosa와 매우 유사하여 존재하더라도 오동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표본은 국립농업과학원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40 fungal specimen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from 2000 to 2015 and recorded as Amanita virosa was performed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data. Results confirmed that Amanita oberwinklerana (14 specimens), Amanita rimosa (5), A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수집되어 Amanita virosa로 동정된 40개 표본의 분자계통학적 종동정을 위해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Lepidella 아속의 Phalloideae절에 속하는 Amanitaoberwinklerana의 14개 표본, 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대버섯속의 분류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광대버섯속(Genus Amanita)은 계통학적으로 담자균문(Basidiomycota) 주름버섯목(Agricales) 광대버섯과(Amanitaceae)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500여 종이 보고되어 있다[1-3]. 또한, 전통적인 분류방식인 포자의 요오드 반응 유무에 의해 두 아속(Subgenus) Amanita와 Lepidella로 나뉜다[4, 5].
Amanita virosa 미세구조관찰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채집한 버섯은 현장에서 사진을 촬영하였고, 자실체의 발생 양상 및 서식지 환경에 대해 기록하였으며, 형태적인 특성은 갓, 대, 대기부 및 주름살의 색깔, 크기, 표면 상태 등의 육안적 특징 및 5% KOH용액을 이용하여 갓 상단의 화학적 색 변화를 조사, 기록하였다[10]. 미세구조관찰은 광학현미경(Axioplan 2;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을 이용하여 1% Congo red 용액으로 세포를 염색한 후 포자, 담자기, 시스티디아 등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상세하게 기록하였다[8]. 또한, 포자는 Melzer 용액을 이용하여 요오드 반응을 확인하였다.
Amanita virosa가 최초로 국내에서 보고된 것은 몇년도인가? Amanita virosa는 1866년 Bertillon에 의해 처음 보고된 독광대버섯군에 속하는 대표적인 독버섯이다. 이 종은 1943년 Takagi에 의해 국내 서식종으로 처음 보고되었고, 이후 1975년 한국산 고등균류의 우리나라 이름에서 한국명 ‘독우산버섯’으로 기록하였다가, 1978년 한국말 버섯이름 통일안을 통해 ‘독우산광대버섯’이란 한국명을 사용하게 되었다[9]. 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s C. Morphology and subdivision of Amanita and a monograph on its section Lepidella. Persoonia 1969;5:285-573. 

  2. Yang ZL. Die Amanita-Arten von Sudwestchina. Berlin: J. Cramer; 1997. 

  3. Yang ZL. Flora fungorum sinicorum v.27: Amanitaceae. Beijing: Science Press; 2005. 

  4. Singer R.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Koenigstein: Koeltz Scientific Books; 1986. 

  5. Tulloss RE, Yang ZL. Studies in the Amanitaceae [Internet]. Bronx (NY): New York Botanical Garden; 2003. [cited 2015 Oct 05 ]. Available from: http://www.amanitaceae.org. 

  6. Largent DL, Thiers HD. How to identify mushrooms to genus II: field identification of genera. Eureka (CA): Mad River Press; 1977. 

  7. Zhang L, Yang J, Yang Z. Molecular phylogeny of eastern Asian species of Amanita (Agaricales, Basidiomycota): taxonom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Fungal Divers 2004;17:219-38. 

  8. Zhang P, Chen ZH, Xiao B, Tolgor B, Bao HY, Yang ZL. Lethal amanitas of East Asia characteriz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Fungal Divers 2010;42:119-33. 

  9. Kim SS, Kim BG, Kim YS, Kim JH, Park YH, Lee YL, Lee JS, Lee JY, Yim JH, Jeong HS, et al. Mushrooms Korean name a unified draft. Kor J Mycol 1978;6:43-55. 

  10. Seok SJ, Jin YJ, Kwon SW, Kim YS, Kim WG. A taxonomic study of genus Melanophyllum in Korea. Kor J Mycol 2013;41:205-11. 

  11. Doyle JJ, Doyle JL.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 Bull 1987;19:11-5. 

  12. White TJ, Bruns TD, Lee SB, Taylor JW.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13. Thompson JD, Gibson TJ, Plewniak F, Jeanmougin F, Higgins DG.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1997;25:4876-82. 

  14. Hall TA.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1999;41:95-8. 

  15.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16. Ronquist F, Huelsenbeck JP. MrBayes 3: Bayesian phylogenetic inference under mixed models. Bioinformatics 2003;19:157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