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사나무 잎 추출물 유래 멜라닌합성 저해 활성 성분
Anti-melanogenesis Active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Carpinus turczaninowii Leave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3 no.1, 2017년, pp.35 - 41  

강지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김정은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이남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C. turczaninowii) 잎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100{\mu}g/mL$)에서 72.2%의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동일 농도에서 MTT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분획물(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제조한 후 실험을 진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이 관찰되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크로마토그라피를 진행하였으며, 4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ethyl gallate (1), quercetin rhamnose (2), kaempferol rhamnose (3), quercetin galloylrhamnose (4). 화합물의 구조규명은 핵자기공명분광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4개의 화합물 모두 소사나무 잎에서는 처음 분리된 물질이다. 분리된 화합물을 대상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화합물 4에서 세포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인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합물 4는 세포 내에서 티로시나제 발현양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ELISA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사나무 잎 추출물이 화장품에서 미백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extracts prepared from the leaves of Carpinus turczaninowii (C. turczaninowii) by using B16F10 melanoma cells. As a result, the ethanol extract ($100{\mu}g/mL$) showed 72.2% inhibition activities without cell toxiciti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at 100 µg/mL concentration. The cell toxicities were examined for the 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by using MTT test. As shown in Figure 1, cell toxicities were not detected as cell viabilities were maintained at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for all of the fractions.

대상 데이터

  • B16F10 murine melanoma cell was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ell Culutre (ATCC, USA). These cells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 Inc.
  • turczaninowii were collected in May 2011 from Halla botanical garden in Jeju Island, Korea. Voucher specimen (sample number 308) was deposited at the herbarium of department of chemistry, Jeju National University.

이론/모형

  • The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cell viability assay. Briefly, cells were seeded into 6-well cell culture plat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Y. Cho, K. H. Kim, J. S. Shim, and J. K. Hwang, Inhibitory effects of macelignan isolated from Myristica fragrans HOUTT. on melanin biosynthesis, Biol. Pharm. Bull., 31(5), 986 (2008). 

  2. J. M. Gillbro and M. J. Olsson, The melanogenesis and mechanisms of skin-lightening agents-existing and new approaches, Int. J. Cosmet. Sci., 33(3), 210 (2011). 

  3. E. Jung, W. Hwang, S. Kim, Y. S. Kim, Y. S. Kim, J. Lee, and D. Park, Depigmenting action of platycodin D depends on the cAMP/Rho-dependent signalling pathway, Exp. Dermatol., 20(12), 986 (2011). 

  4. J. H. Han, S. H. Byeon, C. G. Hyun, and N. H. Lee,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in the extracts of Oreocnide fruticose (Gaudich.) Hand.-Mazz. branches, J. Appl. Polym. Sci., 4(1), 166 (2014). 

  5. J. S. Roh, J. Y. Han, J. H. Kim, and J. K. Hwang, Inhibitory effects of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for melanogenesis, Biol. Pharm. Bull., 27(12), 1976 (2004). 

  6. J. I. Jeon and J. S. Jang, Foliar flavonoids of genus Carpinus in eastern Asia primarily based on native taxa to Korea, Kor. J. Plant Tax., 30(2), 139 (2000). 

  7. H. N. Ko, T. H. Oh, J. S. Baik, C. G. Hyun, S. S. Kim, and N. H. Le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for the extracts and carpinontriols from branches of Carpinus turczaninowii, Int. J. Pharmacol., 9(2), 157 (2013). 

  8. O. Estradal, M. Hasegawal, F. G. Mujica, N. Motta, E. Perdomol, A. Solorzano, J. Mendezl, B. Mendezl, and E. G. Zea,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ethyl gallate as an antimicrobial compound produced by Geranium carolinianum, Weed Biol. Manag., 9(2), 169 (2009). 

  9. J. H. Lee, C. H. Ku, N. I. Baek, S. H. Kim, H. W. Park, and D. K. Kim,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Diodia teres, Arch. Pharm. Res., 27(1), 40 (2004). 

  10. S. K. Chung, Y. C. Kim, Y. Takaya, K. Terachima, and M. Niwa, Novel flavonol glycoside, 7-O-methyl mearnsitrin, from Sageretia theezans and its antioxidant effect, J. Agric. Food Chem., 54(15), 4664 (2004). 

  11. E. Omar, H. Masahisa, G. M. Freddy, M. Norma, P. Elsa, S. Alejandra, M. Jeannette, M. Bernardo, and Z. Gabriela, Evaluation of flavonoids from Bauhinia meglalandra leaves as inhibitors of glucose-6-phosphatase system, Phytother. Res., 19(10), 85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