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평가를 위한 한국형 간호학생 팀워크 측정도구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asuring Instrument for Korean Nursing Student' Evaluation of the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381 - 390  

남호희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  송현영 (구미대학교 간호학과) ,  이보람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 평가를 위한 한국형 간호학생 팀워크 측정도구(K-self assessment of teamwork)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본 연구의 대상자는 K지역 소재 2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응급상황 시뮬레이션 실습수업을 받은 경험이 있는 간호 대학생을 3~4학년 18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과 AMO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성타당도 검정은 문항분석, 확인적 요인분석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시행하였다. 또한 K-self assessment of teamwork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Mayo High Performance Teamwork Scale(MHPTS)과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분석하였다. 신뢰도 중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hronbach's ${\alpha}$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문항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고, 신뢰도 검증 부분에 있어서, 타당도는 문항 제거 시 신뢰도가 높아지는 세 개의 항목이 있었으나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가 .4 이상이어서 제거된 문항은 없었으며 전체 문항의 신뢰도가 .934로 나타나 K-self assessment of teamwork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번역된 K-self assessment of teamwork는 시뮬레이션 교육 중 간호학생의 팀워크를 측정할 수 있는 국내 적용 가능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추후 본 도구를 통해 간호 대학의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평가에 반영하고, 더 나아가 응급상황에서의 팀워크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mwork self-assessment tool for Korean nursing students (K-self assessment of teamwork)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an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tool. As the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85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팀워크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간호학생 팀워크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팀워크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평가는 정신·운동적 술기 중심으로 기대되는 수행여부를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측정하거나[12]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또는 학습만족도, 자신감 등에 초점을 두고 측정되어 왔다[13]. 그러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는 의료 팀의 구성원으로서 상황을 고려하여 간호행위를 결정하고 협력하면서 간호를 수행하게 되므로 기술적 술기는 물론 상황인지, 임상적 추론, 의사결정, 의사소통, 팀워크 역량 등이 동시에 요구된다.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서 간호교육의 목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지닌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이다[1]. 간호조직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한 팀 구성원들의 효과적인 팀워크가 요구되고, 팀 목표를 인지하고 업무와 관련한 지속적인 자기개발과 팀 동료와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2].
간호조직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서 간호교육의 목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지닌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이다[1]. 간호조직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한 팀 구성원들의 효과적인 팀워크가 요구되고, 팀 목표를 인지하고 업무와 관련한 지속적인 자기개발과 팀 동료와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2]. 이와 같이 간호 상황에서 팀제의 필요성에 따라 대학에서도 개인 수준의 학습에서 더 나아가 협동학습, 협력학습, 소집단학습, 문제 중심학습, 팀 기반 학습 등과 같은 팀 수준의 학습방법으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 R. Kim, E. Y. Choi, H. Y. Kang. Simulation Module development and team competency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18, pp. 392-400, 2011. 

  2. S. M. Lee. Relationships of nurses' teamwork skills to team effectiveness in nursing un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3. 

  3. DW Johoson, R Johnson, E Holubec. Circles of learning: Cooperation in the classroom (5th ed.), Edina, Mn: Interaction Book Company. 2002. 

  4. K. C. Li.,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pp. 246-256,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246 

  5. E. E. Suh.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tilizing human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 pp. 206-219, 2012. DOI: http://doi.org/10.5977/jkasne.2012.18.2.206 

  6. H. R. Kim, E. Y. Choi, H. Y. Kang, S. M. Kim.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fter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emergency nursing ca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pp. 5-13, 2011. 

  7. C. A. Blum, S. Borglund, D. Parcells. High 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7 (1), pp. 1-14, 2010. DOI: http://doi.org/10.2202/1548-923X.2035 

  8. A. J. Bland, A. Topping, B. A. Wood. 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 pp. 664-670, 2011. DOI: http://doi.org/10.1016/j.nedt.2010.10.013 

  9. J. H. Lee, M. Choi. Evaluation of effects of a clinical reasoning cours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3, pp. 1-9, 2011. DOI: http://doi.org/10.7475/kjan.2011.23.1.01 

  10. L. Cronenwett, G. Sherwood, J.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P. Mitchell, D. T. Sullivan, J. Warren.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55(3), pp. 122-131, 2007. DOI: http://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1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Specify the colleges four-year term of study screening. Retrieved January 20, 2014, from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Web site: http://kabon.or.kr/kabon02/index04.php 

  12. L. T. Gantt. Using the clark simulation evaluation rubric with associate degree and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1(2), 101-105, 2010. 

  13. S. E. Kardong-Edgren, A. R. Starkweather, L. D. Ward. The integration of simulation into a clinical foundations of nursing course: Student and faculty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1), 1-16, 2008. DOI: http://doi.org/10.2202/1548-923X1603 

  14. J. Weller, B. Shulruf, J. Torrie, R. Frengley, M. Boyd, A. Paul, B. Yee, P. Dzendrowskl. Validation of a measurement tool for self-assessment of teamwork in intensive care.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11(3), pp. 460-467, 2013. DOI: https://doi.org/10.1093/bja/aet060 

  15. H. E. Tinsley, D. J. Tinsley. Uses of factor analysi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 pp. 414-424, 1987.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34.4.414 

  16. J. F. Malec, L. C. Torsher, W. F. Dunn, D. A. Wiegmann, J. J. Arnold, D. A. Brown, V. Phatak. The Mayo High Performance Teamwork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valuation key crew resource management skills. Simulation in Healthcare, 2, pp. 4-10, 2007. DOI: https://doi.org/10.1097/SIH.0b013e31802b68ee 

  17. M. R. Lynn,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pp. 382-385, 1986.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18. JC Nunnally, I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3rd ed.). New York: McGraw-Hill, 1994. 

  19. J. F. Hair, R. L. Tatham, R. E Anderson, W Black. .Multivariatedata analysis (5th ed.) NewJersey: PrenticeHall INC, 1998. 

  20. J. H. Steiger.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180, 1990. DOI: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502_4 

  21. J. Tak, Psychological testing, 2nd ed. Seoul: Hakjisa Corp.; 2007. 

  22. MA Pett, NR Lackey, JJ Sullivan.,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care research, California: Sage, 2003. DOI: https://doi.org/10.4135/9781412984898 

  23. S. M. Jahng.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kert-type Scal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4(4), 1079-1100, 2015. 

  24. J. E. Ware, K. K Snow, M. Kosinski, B Gandek,. SF-36 health survey: mannual and institute, Bosten, The Health Institute, New Englnad, Medical Center, 1993. 

  25. K. S. No. Statistical analysis of thesis writing writing properly. Seoul: Hanbit academy, 2015. 

  26. RF DeVellis.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2. 

  27. B. M. Bym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Basic Concepts, application, and programming Maywah,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98. 

  28. R. L. Helmreich, J. A. Wilhelm, J. R. Klinect, A. C. Merritt . Culture, error, and crew resource management. In: Salas E, Bowers CA, Edens E, eds. Improving teamwork in organizations. Hillsdale, NJ: Erlbaum. 305-331, 2001. 

  29. J. M. Werner, S. W. Lestter., Applying taem effectiveness framework to the performance of student case reams.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2(4), 385-402, 2001. DOI: https://doi.org/10.1002/hrdq.1004 

  30. M. Hoegel, H. G. Gemuenden. Teamwor quality and the success of innovative projects: A theoretical concept and empirical evidence. Organizational Science, 12(4), 435-499, 2001. DOI: https://doi.org/10.1287/orsc.12.4.435.10635 

  31. L. R. Tucker, C. Lewis.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pp. 1-10, 1973. DOI: https://doi.org/10.1007/BF02291170 

  32.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pp. 238-246, 1990.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