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에서의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Preliminary Testing of the Nursing Competency Scale in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4, 2016년, pp.549 - 558  

김은정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부.한림대학교 간호학연구소) ,  남경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부.한림대학교 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Nursing Competency Scale in Simulation (NCSS)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preliminary version of the NCSS of 14 items wa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 panel of seven experts reviewed the preliminary version for content valid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 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간호 역량 측정 도구(Nursing Competency Scale in Simulation [NCSS])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 본 도구는 자가 보고와 평가자의 관찰을 통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도구개발 과정은 DeVellis (2012)가 제시한 단계를 적용하여 3단계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간호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도구는 기술적 술기, 임상적 추론, 의사소통, 리더십과 팀워크, 전문직 실무등의 5개 영역 15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도구는 항목 수가 적고 관찰 가능한 행위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어 측정이 간편하다.
  • 이상의 문헌 고찰을 종합하여 기술적 술기, 임상적 추론, 의사소통, 리더십과 팀워크, 전문직 실무의 5개 영역으로 도구를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평가자는 수행 관찰과 동시에 평가를 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측정의 수행 용이성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항목 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각 영역에 따른 문항 수는 문헌고찰에서 도출된 정의 또는 구성요소에 따라 최소한으로 하여 14개 항목을 구성하였고 각 영역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 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간호 역량 측정 도구(Nursing Competency Scale in Simulation [NCSS])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축소는 어떠한 문제를 초래하는가? 그러나 최근 환자 권리와 안전이 강조되면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의 범위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게다가 교육목표로 설정되어도 학생이 임상에서 경험하지 못하면 성취할 수 없거나 비체계적인 도제식으로 실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어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Kardong-Edgren, Adamson, & Fitzgerald, 2010). 이러한 임상실습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 간호교육현장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팀워크란? , 2010). 팀워크란 자신과 다른 팀원의 수행을 서로 모니터링하면서 지식, 기술, 태도, 목표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Paris et al., 2000).
의사소통 영역의 평가자 간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또한 평가자 간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급내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일치도가 양호 또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의사소통 영역의 평가자 간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의사소통이 대인간 상호 역동에 의해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렵게 진행되며,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가 복잡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구체성이 높은 항목으로 구성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들이 주어진 단시간 내에서 시나리오에서 요구 하는 것을 생각하며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와의 의사소통에서 일관적인 접근을 보이지 않아 그 수준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ams, K. A., & Lawrence, E. K. (2014). Research methods, statistics, and applications. London: Sage Publications. 

  2. Andersen, P., Jensen, M. K., Lippert, A., & Ostergaard, D. (2010). Identifying non-technical skills and barriers for improvement of teamwork in cardiac arrest teams. Resuscitation. 81(6), 695-702.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0.01.024 

  3. Andrade, H. G. (2000). Using rubrics to promote thinking an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57(5), 13-18. 

  4. Benner, P., Sutphen, M., Leonard, V., & Day, L. (2010). Educating nurses: a call for radical transform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 Cato, M. L., Lasater, K., & Peeples, A. I. (2009). Nursing students' self-assessment of their simulation experienc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105-108. 

  6. Cooper, S., Cant, R., & Porter, J. (2010). Rating emergency teamwork performance development of the team emergency assessment measure (TEAM). Resuscitation, 81(4), 446-452.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9.11.027 

  7. Cronenwett, L. G., Sherwood, J.,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P., & Mitchell, D., et al. (2007).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55(3), 122-13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8. Davis, D. A., Mazmanian, P. E., Fordis, M., Van Harrison, R. T. K. E., Thorpe, K. E., & Perrier, L. (2006). Accuracy of physician self-assessment compared with observed measures of competence: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6(9), 1094-1102. http://dx.doi.org/10.1001/jama.296.9.1094 

  9. DeVellis, R. F. (2012).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Los Angeles: Sage. 

  10. Enlow, M., Shanks, L., Guhde, J., & Perkins, M. (2010). Incorporating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ISBARR) into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Nurse Educator, 35(4), 176-180. http://dx.doi.org/10.1097/NNE.0b013e3181e339ac 

  11. Gantt, L. T. (2010). Using the clark simulation evaluation rubric with associate degree and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1(2), 101-105. 

  12. Hayden, J. (2010).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National survey results. Journal of Nursing Regulation, 1(3), 52-57. http://dx.doi.org/10.1016/S2155-8256(15)30335-5 

  13. Kardong-Edgren, S. E., Adamson, K. A., & Fitzgerald, C. (2010). A review of currently published evaluation instruments for human patient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6(1), e25-e35. http://dx.doi.org/10.1016/j.ecns.2009.08.004 

  14. Kardong-Edgren, S. E., Starkweather, A. R., & Ward, L. D. (2008). The integration of simulation into a clinical foundations of nursing course: Student and faculty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1), 1-16. http://dx.doi.org/10.2202/1548-923X.1603 

  15. Kim, H. R. (2013). The proposed rubrics simulation education effect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487-497.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487 

  16. Kneebone, R., Kidd, J., Nestel, D., Asvall, S., Paraskevas, P., & Darzi, A. (2002). An innovative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clinical procedures. Medical Education, 36(7), 628-634. http://dx.doi.org/10.1046/j.1365-2923.2002.01261.x 

  17. Kolb, S. E., & Shugart, E. B. (1984). Evaluation: is simulation the answer?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3(2), 84-86. http://dx.doi.org/10.3928/0148-4834-19840201-12 

  18.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Specify the colleges four-year term of study screening. Retrieved January 20, 2014, from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Web site: http://kabon.or.kr/kabon02/index04.php 

  19. Lasater, K. (2011). Clinical judgment: the last frontier for evaluati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1(2), 86-92. http://dx.doi.org/10.1016/j.nepr.2010.11.013 

  20. Lewis, R., Strachan, A., & Smith, M. M. (2012). Is high fidelity simulation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non-technical skills in nursing? A review of the current evidence. The Open Nursing Journal, 6, 82-89. http://dx.doi.org/10.2174/1874434601206010082 

  21. Mitchell, L., & Flin, R. (2008). Non-technical skills of the operating theatre scrub nurse: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3(1), 15-24.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695.x. 

  22. Mulder, M., Gulikers, J., Biemans, H., & Wesselink, R. (2009). The new competence concept in higher education: Error or enrichment?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33(8), 755-770. http://dx.doi.org/10.1108/03090590910993616 

  23. Paris, C., Salas, E., & Cannon-Bowers, J. A. (2000). Teamwork in multi-person systems: A review and analysis. Ergonomics, 43(8), 1052-75. http://dx.doi.org/10.1080/00140130050084879 

  24. Rhodes, M. L., & Curran, C. (2005).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ment skill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3(5), 256-262. 

  25. Sung, T. 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26. Sung, T. J. (1996). Theory and practice: item development and analysis. Seoul: Hakjisa. 

  27. Tanner, C. A. (2006).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204-211. 

  28. Todd, M., Manz, J. A., Hawkins, K. S., Parsons, M. E., & Hercinger, M. (2008). The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for simulations in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1), 1-17. http://dx.doi.org/10.2202/1548-923X.1705 

  29. Yang, B. W. (1998).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multivariate data analysis. Seoul: Hakji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