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Yangha (Zingiber mioga Rosc)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400 - 407  

김현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호서대학교 보건산업연구소) ,  강순아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호서대학교 보건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양하의 항산화성 활성과 양하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21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양하를 첨가한 농도는 5%, 10%, 및 15%를 김치를 제조할 때 첨가하였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을 보고자 pH, 염도, 무기질 농도, 유산균 함량, 색도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양하 1g에는 $3.85{\mu}M$ quercetin 당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양하 1 g에는 $0.49{\mu}M$ quercetin 당량으로 관찰되었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유산균수는 양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10% 첨가한 김치에서 가장 높은 유산균 수를 관찰하였다. 명도의 값은 양하를 첨가할수록 밝기가 밝아지면서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Redness는 양하 첨가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10%와 15% 첨가구에서는 양하 첨가에 의하여 붉은 색은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전반적 기호도, 맛, 풍미 및 색의 기호성은 10%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좋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결과 양하는 천연항산화제로서 양하를 첨가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가시키는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yangha(Zingiber mioga Rosc)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yangha during a 21-day fermentation process at $4^{\circ}C$. Yangha was added to salted cabbage at concentrations of 0, 5, 10, and 15% (w/w). The quality c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트륨 함량은 양하 5% 첨가에 의하여 약간 증가하였으나 양하 첨가양이 많아지면서 감소함으로써 양하 첨가에 의한 나트륨 함량을 감소하여 저염김치의 개발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15% 첨가하였을 때 양하를 첨가하지 않은 김치의 정도로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 양하를 이용한 묵[9, 10]장아찌, 피클 [18] 등이 알려져 있으나 양하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거나 과학적인 분석을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하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양하의 항산화성을 조사하였고 양하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와 숙성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수의 변화와 이화학적 및 품질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 결과를 활용하여 양하의 다양한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보기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하고저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하의 지하경에는 어떠 ㄴ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양하근은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닌 식물이며, 각종 요리의 향신료로 이용되고, 피클, 장아찌 등의 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약용으로는 종자와 지하경을 사용하는데, 지하경에는 zingiberrene, zingerene, zingirone, shogaol, 베타-phellandre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진통, 건위, 거담, 방향 등의 효능이 있고[2], 결막염, 종기, 안구충혈[3], 항암, 심혈관계질환 [4,5] 항응고제[4,6], 인지기능개선[7] 등에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식용으로 사용하는 꽃줄기인 양하근의 mioganal 성분은 독특한 향과 특유한 매운맛은 내므로 혈전생성저해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8].
김치의 유산균들은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김치의 발효과정에 관여하는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plantarum 등의 유산균은 pH와 관련하여 발효과정에 관여하며 특유의 맛과 향을 갖는다[13]. 이들 유산균은 각종 성인병 예방효과 및 항산화 작용, 항균작용, 정장작용 및 probiotics 생산효과, 항암작용, 혈장지질 저하효과 등의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14-17]. 최근 경제수준의 향상과 발달된 의료 기술에 의하여 평균 수명이 증가하여 초 고령 사회로 진입하면서 기능성이 강조된 식품 치유식이 각광받고 있으며, 항산화성이 있는 식품으로 메뉴 개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양하는 무엇이며 우리나라 어느 지방에서 자라는가? 양하(Zingiber mioga R.)는 생강과에 속하는 초본으로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및 남해안 일대에 가장 많이 자라는 식물이다[1,2]. 제주지 방에서는 “양애”라고 불리우며, 꽃이 피기 전의 부드러운 꽃줄기인 양하근을 식용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W. Lee, S. U. Chon, S. K. Han, D. G. Choi, J. Ryu,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pp. 203-209, 2007. 

  2. H. R. Han, J. L. Chang, Y. B. Park, "Studies on some ecological aspects and cultural practices of Zingiber mioga", J. Kor. Soc. Hort. Sci., 24, pp. 200-206, 1983. 

  3. T. S. Kim, "Natural Plant of Korea", p. 223. Seoul National Univ. Publishing Dep. Seoul, 1998. 

  4. M. Abe. Y. Ozawa. Y. Uda, Y. Morimitsu, Y. Nakamura, T. Osawa, "A novel labdane-type trialdehyde from myoga (zingiber mioga roscoe) that potently inhibits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human 5-lipoxygenase", Biosci. Biotechnol. and Biochem., 70, pp. 2494-2500, 2006. DOI: https://doi.org/10.1271/bbb.60226 

  5. E. N. Tjendraputra, A. J. Ammit, B. D. Roufogalis, V. H. Tran, C. C. Duke, "Effective anti-platelet and cox-1 enzyme inhibitors from pungent constituents of ginger", Thromb. Res., 111, pp. 259-265, 2003. DOI: https://doi.org/10.1016/j.thromres.2003.09.009 

  6. R. Grzanna, L. Lindmark, C. G. Frondoza, "Review, ginger, a herbal medicinal product with broad anti-inflammatory actions. J. Med. Food, 8, 125-132, 2005. DOI: https://doi.org/10.1089/jmf.2005.8.125 

  7. K. H. Cho, M. S. Oh, H. G. Kim, S. H. Lee, K. S. Chung, A. J. Kim, "Effects of Korean Zingiber mioga R. (Flower Buds and Rhizome) Extract on Memo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pp. 1519-1526, 2014. DOI: https://doi.org/10.3746/jkfn.2014.43.10.1519 

  8. A. Masako, O. Yoshio, U. Yasushi, M. Yasujiro, N. Yoshimasa, O. Toshihiko, "A novel labdane-type trialdehyde from myoga (Zingiber mioga Roscoe) that potently inhibits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human 5-lipoxygenase", Biosci. Biotechnol. Biochem. 70, pp. 2494-2500, 2006. DOI: https://doi.org/10.1271/bbb.60226 

  9. H. S. Kim, M. J. Kim, M. Lee, G. S. Lee. A. J. Kim,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kdumook using Yangha(Zingiber mioga R.) Powder", Korean J. Food and Nutr., 25, pp. 521-528, 2012. DOI: https://doi.org/10.9799/ksfan.2012.25.3.521 

  10. H. S. Kim,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Yangha mook using the Zingiber mioga R." M. S. Thesis. University of Kyonggi, Seoul, Korea, 2012. 

  11. D. H. Lee, S. H. Ji, W. C. Han, J. C. Lee, S. A. Kang, K. H. Jang, "Evaluation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Fermentation Qualitie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Yac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pp. 408-413, 2012. 

  12. K. Y. Park, S. H. Kim, T. J. Son,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ell wall and cytosol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Food Sci. Nutr., 3, pp. 329-333, 1998. 

  13. Y. J. Bong, J. K. Jeong, K. Y. Park,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pp. 1717-1726, 2013. DOI: https://doi.org/10.3746/jkfn.2013.42.11.1717 

  14. H. S. Kim, J. S. Ham,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pp. 186-192, 2003. 

  15. M. Kim, S. J. Lee, K. J. Seul, Y. M. Park, S. Y. Ghim,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pp. 24-32, 2009. 

  16. J. Y. Kwon, H. S. Cheigh, Y. O. Song,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pp. 1014-1019, 2004. 

  17. K. Y. Park, B. K. Kim, "Lactic acid bacteria in vegetable fermentations. In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Lathinen S, Ouwehand A, Salminen S, Wright A,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195-202, 2012. 

  18. M. H. Kim, Y-S, Han,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ha (Zingiber mioga Rosc) pickle with soy sauce during storage", Korea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6, pp. 260-270, 2016. 

  19. O. Folin, W, Denis,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pp. 239-243, 1912. 

  20. M. I. N. Moreno, M. I. Isla, A. R. Sampietro, M. A. Vattuone,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pp. 109-114, 2000. DOI: https://doi.org/10.1016/S0378-8741(99)00189-0 

  21. M.-J. Kim, M. K. Jeong, P.-S. Chang, J. H. L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poptotic effect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of black sesame seed extract", Int. J. Food Sci. Technol., 44, pp. 2106-2112, 2009. DOI: https://doi.org/10.1111/j.1365-2621.2009.02044.x 

  22. I. F. F. Benzie, J. J. Strain,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 299, pp. 15-27, 1999. DOI: https://doi.org/10.1016/S0076-6879(99)99005-5 

  23. J. S. Lee, K. S. Woo, A. Chun, J. Y. Na, K. J. Kim. "Waxy rice variety-dependent variation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gok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Crop Sci., 54, pp. 172-180, 2009. 

  24. J. H. Shin, S. J. Lee, N. J. Sung, "Effects of Zingiber mioga, Zingiber mioga Root and Zingiber officinale on the Lipid Concentration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pp. 679-684, 2002. DOI: https://doi.org/10.3746/jkfn.2002.31.4.679 

  25. M. H. Jo, I. K. Ham, G. H. Lee, J. K. Lee, G. S. Lee, S. K. Park, T. I. Kim, E. M. Lee,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between field grown and in vitro cultured rhizome of Korean native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Plant Res.,24, pp. 404-412, 2011. DOI: https://doi.org/10.7732/kjpr.2011.24.4.404 

  26. J. S. Bae, T. H. Kim,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Zingeiber officina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pp. 390-396, 2011. DOI: https://doi.org/10.11002/kjfp.2011.18.3.390 

  27. Y. A. Shin, K. S. Shin, "Trend of domestic research about antioxidant effects of natural products", J. Complement Altern. Med. Sci., 1, pp. 37-50, 2011. 

  28. S. H. Lee, "Effect of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on fermentation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pp. 559-563, 2006. 

  29. S. M. Kim, Y. J. Jeon, H. J. Sim, Y. E. Lee, "Protective Effect of Fresh Ginseng Kkakdugi against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Cult. 30, pp. 197-205, 2015. DOI: https://doi.org/10.7318/KJFC/2015.30.2.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