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즈 소비 행태에 대한 소비자 조사
Cheese Consumption: A Nationwide Survey of Korean Women aged 25 Years and Older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5 no.1, 2017년, pp.17 - 23  

송민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서동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천동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손지용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원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유자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함준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gain insight on cheese consumption and develop strategies for the cheese industry, we conducted a survey of 742 women (age 25 or older) who were responsible for purchasing food for their families. Of them, 49.5% consumed cheese more than once a week and 25.1% expected that the cheese consump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kg인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얼마나 더 증가할 수 있을지는 전망이 불투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소비를 책임지고 있는 주부 또는 미혼여성의 경우, 1인 가구로 한정하여 치즈 소비실태와 향후 소비전망, 치즈 구입시 고려사항 등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유가공 및 치즈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 결과에서 치즈 구입 시 고려요인은 무엇인가? 치즈 구입 시 맛과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유통기한, 제조회사, 영양성분 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높지 않았다. 집단별로 중소도시는 가격, 제조회사, 제품명을 상대적으로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간 차이는 없으나 소득이 낮을수록 가격을 더 고려하며, 미혼은 치즈 맛, 신혼부부 또는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은 영양성분을 상대적으로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본 연구 결과에서 어떤 집단이 치즈를 취식한 경험이 높게 나타났는가? 응답자의 75.1%는 최근 1개월 동안 치즈를 취식한 경험이 있으며, 수도권, 소득 수준이 높은 층,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치즈 취식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Fig. 2).
장기간의 치즈 소비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로 일관적이지 않다는 사례로 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장기간의 치즈 소비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며, 결과도 일관적이지 않다. 치즈를 포함하는 유제품 섭취가 2형 당뇨(T2DM)와 부의 상관건강이 있다는 문헌리뷰나 메타분석 결과에 의한 과학적 증거가 제시된바 있며(Aune 등, 2013), 최신 메타분석은 치즈소비와 심혈관질환 위험과 비선형적 부의 상관이 있음이 제안된바 있다(Chen, 2016). 반대로, 치즈 소비가 특정 질병에 해로울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 많은 치즈 섭취가 전립선암 위험을 증가시키거나(Aune 등, 2015), 파킨슨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Jiang 등, 2014). 치즈 소비와 다수의 만성질병 위험과의 관계는 긍정적 관련과 부정적 관련이 모두 보고되어 전체적으로 일관적이지 못하다. 그런데, 치즈 소비에 따른 비교에서 치즈 소비가 많은 그룹은 24~56 g/일 (Tong 등, 2017)로 이를 연간으로 환산시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une, D., Navarro Rosenblatt, D. A., Chan, D. S., Vieira, A. R., Vieira, R., Greenwood, D. C., Vatten, L. J. and Norat, T. 2015. Dairy products, calcium and prostate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of cohort studies. Am. J. Clin. Nutr. 101:87-117. 

  2. Aune, D., Norat, T., Romundstad, P. and Vatten, L. J. 2013. Dairy products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Am. J. Clin. Nutr. 98:1066-1083. 

  3. Chen, G. C., Wang, Y., Tong, X., Szeto, I. M., Smit, G., Li, Z. N. and Qin, L. Q. 2016. Cheese consumption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Eur. J. Nutr. doi:10.1007/s00394-016-1292-z 

  4. Hinrichs, J. 2004. Mediterranean milk and milk products. Eur. J. Nutr. 43(Suppl. 1):i12-i17. 

  5. http://www.dairy.or.kr/jsp/layout/LayoutControlCtrl.jsp?ACT_CDMAIN&INDEX_UPPERMENU_CODEinter&INDEX_MENU_CODEinter_dairy_default&INDEX_MENU_DEPTH2 

  6. http://www.dairyinfo.gc.ca/index_e.php?s1dff-fcil&s 2cons&s3consglo&s4tc-ft 

  7. Jiang, W., Ju, C., Jiang, H. and Zhang, D. 2014. Dairy foods intake and risk of Parkinson's disease: A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Eur. J. Epidemiol. 29:613-619. 

  8. Tong, X., Chen, G-C., Zhang, Z., Wei, Y-L., Xu, J-Y. and Qin, L-Q. 2017. Cheese consumtion and risk of all-cause mortality: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Nutrients. 9(1). pii: E63. doi: 10.3390/nu9010063 

  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202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8th ed. December 2015. Available online: http://health.Gov/dietaryguidelines/2015/guidelines/ (accessed on 20 July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