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규칙과 대응'에 대한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Patterns and Correspondence'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ligned to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1, 2017년, pp.117 - 135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선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은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초등학교 수학에서 '규칙과 대응'은 함수 개념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관련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규칙과 대응을 지도하기 위한 핵심 교수 학습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7 개정 수학 교과서 및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규칙과 대응 관련 단원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생활 맥락의 반영, 다양한 유형의 패턴 과제 활용,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 탐구, 변수를 사용한 관계 표현에서의 의미 지도 측면에서 규칙과 대응 관련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생활 맥락의 반영은 두 교과서에 대체로 잘 구현되어 있었으며, 다양한 유형의 패턴 과제 활용과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 탐구는 부분적으로 구현된 편이었다. 한편 변수를 사용한 관계 표현에서의 의미 지도는 두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잘 구현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규칙과 대응을 지도하는 방안 및 차기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patterns and correspondence serve a fundamental basis of func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in this field. This study explored prior studies to extract the key instructional elements on how to teach patterns and correspondence. This study then analyz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이처럼 관련 문헌 검토를 토대로<표 III-1> 규칙과 대응 관련 단원의 학습 내용규칙과 대응의 핵심 교수ㆍ학습 요소를 도출한 후 그것을 분석 기준으로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은 2007 개정 수학 교과서와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규칙과 대응 관련 단원의 활동이나 소재 등 교과서의 외형적인 요소를 비교하는 데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규칙과 대응을 지도하기 위해 기존의 우리나라 교과서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교수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더욱 관심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학의 내용 영역별 특수성에 따라 그 내용에서 강조되는 교수ㆍ학습 요소가 다를 수 있다는 방정숙, 김정원, 김혜정의 연구를 고려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규칙과 대응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4학년 2학기 2007 개정 수학 교과서(교육과학기술부, 2010) 및 2009 개정 수학교과서(교육부, 2014)에 제시된 규칙과 대응 관련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 수학 교과서와 2009 개정 수학 교과서 두 권을 함께 분석하는 의도는 두 교과서를 비교․대조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규칙과 대응에 대한 핵심 교수ㆍ학습 요소에 비추어 우리나라의 수학 교과서에서 규칙과 대응을 구현하는 전반적인 경향성 및 변화의 방향성을 살펴보기 위해서이다.
  • 본 연구에서 이처럼 관련 문헌 검토를 토대로 규칙과 대응 관련 단원의 학습 내용규칙과 대응의 핵심 교수ㆍ학습 요소를 도출한 후 그것을 분석 기준으로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이 있다.
  • 이 과정에서 선행 연구를 토대로 규칙과 대응을 지도할 때 특히 고려해야 하는 핵심 교수ㆍ학습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규칙과 대응의 지도에 관한 특화된 시사점을 도출하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차기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논의한다.
  • 우리나라의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수로 표현되는 패턴과제를 주로 다룬다는 점은 권성룡(2007), 방정숙과 선우진(2016) 등에서도 지적되었던 문제이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y=ax 유형 뿐 아니라 y=x+b 유형의 서로 다른 관계의 패턴 과제도 균형 있게 다룰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표현의 패턴이나 서로 다른관계의 패턴들을 함께 다루는 경험을 통하여 대응 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김성준, 2003; 김정원, 2014; Beatty, 2010;Moss & McNab,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교 함수 영역에서 교수ㆍ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에 의하면 함수의 개념을 어떻게 도입하는가?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서(교육부, 2015), 초등학교 5~6학년군의 성취 기준에 “한 양이 변할 때 다른 양이 그에 종속하여 변하는 대응 관계”를 다루게 하며(p. 26), 이후 중학교의 함수 영역에서 “한 양이 변함에 따라 다른 양이 하나씩 정해지는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함수의 개념을 도입하도록 교수ㆍ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에 명시하고 있다(p. 33).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초등학생들은 함수를 어떻게 학습하는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교육부, 2015), 우리나라의 초등학생들은 주로 규칙성영역을 통하여 함수의 기초적인 개념 및 원리를 학습한다. 특히 5~6학년군의 내용 요소 중 ‘규칙과 대응’2)은 중학교에서 다루는 함수의 기본 개념과 상당히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함수는 학교 수학에서 다루는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인 이유는 무엇인가? 함수는 학교 수학에서 다루는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이다. 함수는 산술과 기하, 대수 등 수학의 여러 내용 영역을 통합하고, 주변 현상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김정원, 2014). 특히 Carraher와 Schliemann(2015)에 의하면, 함수와 관계에 대한 아이디어는 초등 수학과 중등 수학을 관통하는 매우 강력한 아이디어이므로 초등학교에서부터 꾸준히 지도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소희, 방정숙(2008).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 이해에 대한 실태 조사. 학교수학, 10(2), 139-154.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수학 4-2. 서울: 두산동아. 

  3. 교육부(2014).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5. 교육인적자원부(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6. 권성룡(2007). 초등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활동 고찰. 초등수학교육, 10(2), 111-123. 

  7. 김남희(1997). 변수(문자)의 의미 이해를 위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7(1), 345-356. 

  8. 김남희(1998). 대수적 언어 학습으로서의 문자식의 지도-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 지도 계획안 구성 및 수업 사례.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8(2), 439-452. 

  9. 김성준(2003). 패턴과 일반화를 강조한 대수 접근법 고찰. 학교수학, 5(3), 343-360. 

  10. 김정원(2014). 초등학교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의 특징 및 지도 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김정원(2017). 초등학생들은 표를 어떻게 이해할까?: 함수적 사고의 관점에서. 초등수학교육, 20(1), 53-68. 

  12. 방정숙, 김정원, 김혜정(2012). 측정 영역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의한 좋은 수학 수업 분석. 초등수학교육, 15(2), 77-89. 

  13. 방정숙, 선우진(2016).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패턴 지도방안에 대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1-18. 

  14. 방정숙, 최인영(2016).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에 대한 실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3), 223-247. 

  15. 서경혜(2003).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4(1), 163-180. 

  16. 유미경, 류성림(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패턴의 유형에 따른 일반화 방법 비교. 학교수학, 15(2), 459-479. 

  17. 최지영, 방정숙(2008).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2(2), 137-164. 

  18. 최지영, 방정숙(2014).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인식 및 사고 과정 분석: 기하패턴 탐구 상황에서의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2), 205-225. 

  19. 하수현, 이광호(2011).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변수 개념 이해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 50(2), 213-231. 

  20. Beatty, R. (2010). Supporting algebraic thinking: Prioritizing visual representations. Ontario Associa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Gazette, 49(2), 28-34. 

  21.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MeBride, J., et al. (2007). Everyday mathematics 4-2 (3rd Ed). Chicago: Wright Group. 

  22. Blanton, M., Brizuela, B. M., Sawrey, K., & Newman-Owens, A. (2015). A Learning trajectory in six-year-olds' thinking about generalizing algebraic relationships in func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 Education, 46(5), 511-558. 

  23.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In B. J. Dougherty, & R. M. Zbiek (Eds.), Essential understandings serie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방정숙, 최지영, 이지영, 김정원 공역(2017). 대수적 사고의 필수 이해. 서울: 교우사. 

  24. Brizuela, B. M., Blanton, M., Sawrey, K., Newman-Owens, A., & Gardiner, A. M. (2015). Children’s use of variables and variable notation to represent their algebraic idea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7, 34-63. 

  25. Carraher, D. W. & Schliemann, A. D. (2015). Powerful idea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91-218). New York: Routledge. 

  26. Moss, J., & McNab, S. L. (2011). An approach to geometric and numeric patterning that fosters second grade students' reasoning and generalizing about functions and co-variation.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pp. 277-301). New York: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