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Pattern Area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4 no.4, 2021년, pp.189 - 202  

도주원 (서울용암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고 규칙성 영역 지도에 효과적인 발문 활용에 있어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은 학년군별로 공통되게 추론 발문, 사실 발문, 열린 발문 순으로 출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모든 학년군에서 추론 발문의 출현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규칙성 영역 단원에서는 규칙을 찾는 과정에서 추측, 발명, 해결 활동을 돕거나 수학적 추론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은 학년군별 학습 내용 및 학년군의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규칙성 영역 지도 시 발문 구안에 있어서 참고자료의 제공 및 나아가 규칙성 교수·학습을 발전적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acher's questions presented in the problem-solving situation stimulat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d them to find a solution to the given problem situation. In this research, the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Pattern area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38)

  1.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 (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서울: 경문사. 

  2. 강완, 장윤영, 정선혜(2011).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4(3). 293-302. 

  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교육부. 

  4. 교육부(2017a). 수학 1-2.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2017b).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2018).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2019a). 수학 5-1.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2019b).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9. 교육부(2019c).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10. 권성룡(2007). 초등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활동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0(2), 111-123. 

  11. 김성준(2003). 패턴과 일반화를 강조한 대수 접근법 고찰. 학교수학, 5(3), 343-360. 

  12. 남승인(2000).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규칙성 영역의 학습 자료 개발. 수학.과학 교육연구, 23, 91-121. 

  13. 도주원(2021).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셩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60(3), 265-279. 

  14. 박만구(2010). 초등 수학교과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3(1), 25-35. 

  15. 박만구, 김진호(2006).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25-457. 

  16. 백석윤(2016). 수학 문제해결 교육. 서울: 경문사. 

  17. 백소영, 김도현, 이경언(2014). 수업 시연에 나타나는 예비 수학교사의 발문 유형과 특성 분석. 교사교육 연구, 53(3), 400-415. 

  18. 이선영(2003). 수학 학습에서 발문 유형에 따른 학생의 반응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지승(2017). 초등 수학 수업에 나타나는 초임 교사의 발문 유형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한정민, 박만구(2010).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4. 

  21. Barnes, D. (1990). Language in the secondary class- room: a study of language interaction in twelve lessons in the first term of secondary education. In D. Barnes, Britton, & H. Rosen(Eds.), Langage, the Learner & the School (pp. 11-77). Baltimore, Md.: Penguin Books. 

  22. Brualdi, A. C. (1998). Classroom questions. ERIC/AE Digest. ERIC Clearinghouse on Assessment and Evaluation. Washington DC. 

  23. Burns, M. (1985). The role of questioning. The Arithmetic Teacher, 32(6), 14-17. 

  24.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CCSSM). Washington, D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and the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25. Cotton, K. (1989). Classroom questioning. Northwest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 School improvement research series (SIRS). Retrieved from http://www.nwrel.org/scpd/sirs/3/cu5.html. 

  26. Cunningham, R. T. (1987). What kind of question is that? In W. Wilen (Ed.), Questions, questioning techniques, and effective teaching (pp. 67-94).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7. Mason, J. (2010). Effective questioning and respond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reworked and updated from: Mason, J. (2002). 'Minding Your Qs and Rs: effective questioning and respond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spects of teaching secondary mathematics: perspectives on practice. London. 

  28. Manouchehri, A. & Lapp, D. A. (2003). Unveiling student understanding: the role of questioning in instruction. The Mathematics Teacher, 96(8), 562-566. 

  2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VA: Reston. 

  3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2000). Princip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cs. VA: Reston. 

  31. Newmann, (1990). A test of higher-order thinking in social studies: persuasive writing on constitutional issues using NAEP approach. Social Education, 54(4), 369-373. 

  32. Perry, M. VanderStoep, S. W. & Yu, S. L. (1993). Asking questions in first-grade mathematics classes: potential influences on mathematical though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1), 31-40. 

  33. Reys, E. R., Lindquist, M., Lamdin, D. V., & Smith, N. L. (2015).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 11 EDITION .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2017).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교우사. 

  34. Shahrill, M. (2013). Review of effective teacher questioning in mathematics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3(17), 224-231. 

  35. Sahin, A. & Kulm, G. (2008). Sixth grade mathematics teachers' intentions and use of probing, guiding, and factual questions. J 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3), 221-241. 

  36. Vacc, N. N. (1993). Implementing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question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Mathematics Teacher, 41(2), 88-91. 

  37. Watson, K. & Young, B. (1986). Discourse for Learning inthe Classroom. In S. Murphy (Ed.), Literacy through "language arts": Teaching and learning in context (pp. 39-49). Urbana, IL: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38. Wimer J. W., Ridenour, C. S., Thomas, K., & Place A. W. (2001). Higher order teacher questioning of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5(2), 84-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