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 자리 수의 범위에서 학습한 덧셈과 뺄셈 원리의 일반화 가능성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Principles for Multi-Digit Addition and Subtraction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1, 2017년, pp.137 - 151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  임미인 (서울오류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주요 변화 내용 중 하나는 덧셈과 뺄셈의 지도를 네 자리 수의 범위에서 세 자리 수의 범위로 축소한 것이다. 이전 교육과정과 달리 2009 개정 시에는 세 자리 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의 계산 원리를 파악하고 나면 그 원리를 일반화하여 네 자리 이상의 자연수의 덧셈과 뺄셈도 가능하다고 가정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원리 이해가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계산 원리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2015년과 2016년 2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6개 시 도에 속한 6개 학교로 부터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까지 배운 5학년 339명(집단 2015)과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까지만 배운 5학년 316명(집단 2016)을 표집하여 세 자리 수와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검사를 실시하고, 두 집단의 성취 수준 결과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네 자리 수의 뺄셈에 대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에 대한 논의로부터 몇 가지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generalization from three-digit numbers to multi-digit numbers in principle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One of main changes was the reduction of range of number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from four-digit to three-digit. 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성취기준의 변화가 학생들의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로, 변화된 성취기준은 수와 연산 영역의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관련이다.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의 학습 여부에 따라 구별된 두 집단에게 덧셈과 뺄셈 문제를 풀게 하여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학습 여부가 계산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세 자리 수의 범위에서 학습한 덧셈과 뺄셈의 일반화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요컨대 받아올림이나 받아내림이 2회 또는 3회 있는 문제, 0의 포함 횟수에 있어 0개, 1개, 2개, 3개인 문제 등 다양한 유형을 포함하였고, 특히 뺄셈의 경우에는 0처리 오류의 영향을 고려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덧셈의 경우는 뺄셈과 달리 0처리에 대한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0 포함 문항은 0처리 오류가 예상되는 것을 중심으로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의 원리 이해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덧셈과 뺄셈 각각의 문항 구성은 <표 III-3>, <표 III-4>와 같다1).
  • 따라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사항인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의 명시적인 학습 여부를 판단 가능한 학년을 선정하기 위해 연도별 교육과정 적용 학년을 과 같이 정리하였다.
  • 따라서 의 결과 중 뺄셈에서의 차이가 세 자리 수와 네 자리 수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만약 집단 2016이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을 배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두 집단 간 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면,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원리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양적 연구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 중 정답률의 차이가 큰 문항에 대해서는 부수적으로 구체적인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오류의 유형을 통해 학생들이 경험한 어려움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덧셈과 뺄셈 계산원리의 일반화 가능성 및 교수학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그림 III-2]).
  •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성취기준의 변화가 학생들의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로, 변화된 성취기준은 수와 연산 영역의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관련이다.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의 학습 여부에 따라 구별된 두 집단에게 덧셈과 뺄셈 문제를 풀게 하여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학습 여부가 계산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세 자리 수의 범위에서 학습한 덧셈과 뺄셈의 일반화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와 좀 더 직결되는 연구로는 Cauley(1988), Davis & McKnight(1980), Fuson & Kwon (1992), Hiebert & Wearne(1996), Resnick(1982)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을 배운 학생들이 그 원리를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으로 확장할 수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세 자리 수까지의 덧셈과 뺄셈을 배운 학생들과 네 자리수까지의 덧셈과 뺄셈을 배운 학생들의 덧셈과 뺄셈 성취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자연수의 덧셈과 뺄셈 원리의 일반화를 위해 몇 자리 수까지 명시적으로 지도해야 하는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처럼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학습으로 덧셈과 뺄셈 원리의 일반화가 가능한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자가 추측한 세 자리 이상의 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에 대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덧셈구구와 뺄셈구구, 계산 전략, 가감문장제, 비형식적 지식 등에 대한 연구에 비해 여러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계산 능력 및 계산 원리의 일반화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많지 않다. 세 자리 이상의 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은 그 근간으로서 한 자리 수의 덧셈구구와 그 역연산인 뺄셈구구,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이 중요하며, 이로부터의 일반화에 기초하여 세 자리 이상의 수의 덧셈과 뺄셈 방법이 설명된다고 기대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예컨대 국내 연구로, 강완(2000)이 역대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지도 방법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와 연산의 변화 경향은 어떠한가?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한 초등학교 수학과 내용에서의 변화 중 하나도 이와 관련 있다. 수와 연산의 변화 경향은 수의 지도 시기는 앞당기되 덧셈과 뺄셈은 수의 범위와 별개로 지도되고 지도 범위도 축소된 것이다. 이전 교육과정까지에서는 수의 범위를 확장하면서 그에 따른 가감 연산을 맞추어 지도하였다.
여러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알고리즘에는 어떤 원리가 포함되는가? 여러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알고리즘은 자릿값을 맞추어 일의 자리부터 각 자리마다 덧셈구구와 뺄셈구구를 적용하되 필요할 때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한다는 것이다. 이때 자릿값 및 십진법에 따라 각 자리에 적합한 다시 묶기를 해야 한다는 원리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NCTM(2006)은 “(2학년) 아동이 여러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을 위해 효과적이고 정확하며 일반화 가능한 방법을 개발하고 논의하고 이용한다(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완(2000).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계산 지도 방법의 변화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4, 21-37.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수학 익힘책 3-2. 서울: 두산동아.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4. 교육부(2014).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 

  5. 교육인적자원부(200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별책 8]. 

  6. 문교부(1986). 산수 4-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 송상헌, 방정숙, 임재훈 외 15인(2013). 수학교육학 연구 방법. 서울: 경문사. 

  8. 장혜원, 강태석, 박원규, 김동원, 이환철(2014).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4(2), 181-204. 

  9. 장혜원, 최민아, 임미인(2014). 0처리 오류에 기초한 교과용 도서 분석 및 활동 구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57-278. 

  10. Cauley, K. M. (1988). Children's misconceptions about the multidigit subtraction algorith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D 294766. 

  11. Davis, R. B. & McKnight, C. (1980). The influence of semantic content on algorithmic behavior.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1), 38-87. 

  12. Fischbein, E. (1987). Intuition in Science and Mathematic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3. Flores, M. M. (2009). Teaching subtraction with regouping to students experiencing difficulty in mathematics, Preventing School Failure: Alternative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53(3), 145-152. 

  14. Fuson, K. C. & Kwon, Y. (1992). Korean children's understanding of multidigit addition and subtraction. Child Development, 63(2), 491-506. 

  15. Hiebert, J. & Wearne, D. (1996). Instruction, understanding, and skill in multidigit addition and subtrac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14(3), 251-283. 

  1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6). Curriculum Focal Points for 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8 Mathematics: A Quest for Coherence. Reston: NCTM. 

  17. Powell, A. B., Borge, I. C., Fioriti, G. I., Kondratieva, M., Koublanova, E., & Sukthankar, N. (2009). Challenging tasks and mathematics learning. In E. J. Barbeau, & P. J. Taylor(eds.). Challenging Mathematics in and beyond the Classroom. New ICMI Study Series 12, 133-168. Springers. 

  18. Resnick, L. B. (1982). Syntax and semantics in learning to subtract. Pittsburgh Univ. Learn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ED 2213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