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한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논의
A discussion from a multi-dimensional curriculum perspective on how to instruct the computational estima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9 no.3, 2020년, pp.255 - 269  

도주원 (서울방현초등학교) ,  백석윤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의도-작성-실행된 교육과정이라는 일련의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초등 수학의 연산 중 기본이 되는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출발하여 작성-의도된 교육과정의 상향식 피드백 방식으로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의 쟁점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ow to instruct the computational estima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was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a 'intended-written-implemented' multi-dimensional curriculum. To this e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s a intended curriculum and the 2015 r...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도-작성-실행된 교육과정’이라는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Reys et al., 2010)에서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을 교육과정적 개선의 척도가 되는 교사에 의해 구현되는 ‘실행된 교육과정’으로부터 ‘작성, 의도된 교육과정’으로 향하는 피드백 관점에서의 논의하였다.
  • 이를 위해 초등 수학교육관련 전공자로서 대학원에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거나 재학 중인 수학 교과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43명을 의도적 표집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림셈 지도방식과 관련한 실행된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의도-작성-실행된 교육과정 국면들 간의 관련성과 실행된 교육과정으로부터 작성, 의도된 교육과정으로의 피드백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에 의해 실행된 교육과정 측면의 연구를 위하여 연구 대상 교사 선정에 있어서 의도적 표집 방법과 실제 교사의 설문으로써 자료 수집한 방법으로 인하여 연구에 제한점이 따른다.
  • 따라서 교사는 어림의 본질적인 기능을 인식하여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어림을 일관되게 강조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어림하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NCTM, 198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림의 세 가지 영역 중 가장 강력하고 유용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어림셈(Trafton, 1986)의 지도 방식에 대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도-작성-실행된 교육과정이라는 일련의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초등 수학의 연산 중 기본이 되는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의 쟁점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상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 M. Y. (2014). A study on the way to teach estim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Bell, M. S. (1974). What does "everyman" really need from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 67, 196-202. 

  3. Bestgen, B. J., Reys, R. E., Rybolt, J. F., & Wyatt, J. W, (1980). Effectiveness of systematic instruction on attitudes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skill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2). 124-136. 

  4. Choi, J. S. & Park, K. S. (2009). An contents analysis of number sense for elementary school grade 1-2.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4), 513-530. 

  5.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CCSSM). Retrieved March 10, 2018, http://www.corestandards.org/assets/CCSSI_Math%20Standards.pdf 

  6. Kang, M. B. (2011). Review teaching division of whole numbers - focussing on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manuals for teacher.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1), 1-16. 

  7. Kim, S. Y., Kim, J. S., & Kwon, S. Y. (2018). An exploration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decimal fractional multiplication unit in textbook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2(4), 475-486. 

  8. Kim, J. Y. (2019).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n the aspect of estimation in number and operations areas - focusing on Korea, USA, Finland, and Singapor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Kwon, J. R. & Shin, I. S. (1997). A study on the estimate learning program: focusing o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J. Korea Soc. Math. Ed. Ser. 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2), 149-161. 

  10. Kwon, S. R., Kim, N. K., Kim, S. H., Kim, Y. D., Nam, S. I., Ryu, S. R., Bang, J. S., Shin, J. S., Lee, D. H., Lee, B. J., Cho, W. J., & Cho, J. S. (2005). Nurture the power of mathematics. Why? How? Seoul: Gyeongmunsa. 

  11. Lee, Y. M. (2010). On the effect of the estimation strategy of decimal points to improv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bility of decimal fractions.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Lee, Y. M. & Park, S. S. (2011). The effect of the estimation strategies on placing decimal point i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decimal.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1), 1-18. 

  13. Leutzinger, L. P., Rathmell, E. C., & Urbatsch, T. D. (1986).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pp. 82-92). Reston, VA: NCTM. 

  14. Macmillan & McGraw-Hill (2009). Math Connects 1, 2, 3, 4. OH: McGraw-Hill. 

  15. Makovits, Z. & Sowder, J. T. (1994) Developing number sense: An intervention study in grade 7.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1), 4-29. 

  16. Ministry of Education. (1955).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Author. 

  17. Ministry of Education. (1962). Arithmetic 6-1. Seoul: Gukjeong Textbook Co., Ltd. 

  18. Ministry of Education. (1963).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Author. 

  19. Ministry of Education. (1979).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Author. 

  20. Ministry of Education. (1981a).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Author. 

  21. Ministry of Education. (1981b). Arithmetic 6-2. Seoul: Gukjeong Textbook Co., Ltd. 

  22. Ministry of Education. (198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Author. 

  23. Ministry of Education. (1990). Arithmetic 5-1. Seoul: Gukjeong Textbook Co., Ltd. 

  24. Ministry of Education. (1992).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Author. 

  25. Ministry of Education. (1997a). Mathematics 6-1. Seoul: Gukjeong Textbook Co., Ltd. 

  26. Ministry of Education. (1997b).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Author. 

  27. Ministry of Education. (2000). Mathematics 2-na. Seoul: Genius Education Co., Ltd. 

  28.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Author. 

  29. Ministry of Education. (2017). Mathematics 2-2. Seoul: Genius Education Co., Ltd. 

  30. Ministry of Education. (2018). Mathematics 3-1. Seoul:Genius Education Co., Ltd. 

  31.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Author. 

  3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Mathematics 2-2. Seoul: Doosan Dong-A. 

  3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0). Mathematics 3-1. Seoul: Doosan Dong-A. 

  3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1)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Author. 

  3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4). Mathematics 3-1. Seoul: Doosan Dong-A. 

  3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8. Park, K. S. (2011). An analysis on the 2011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ith a focus on change in learning topic.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3), 579-598. 

  39. Reys, B. J. (1984). Affective variables and mathematics education. Elementary School Journal, 84, 558-581. 

  40. Reys, B. J. (1986). Teaching computational estimation: Concepts & strategies.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pp. 31-44). Reston, VA: NCTM. 

  41. Reys, R. E., Suydam, M. N., Limdquist, M. M., & Smith, N. L. (1992).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3rd ed). Boston: Allyn & Bcon. 

  42.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 (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5th ed). Boston: Allyn & Bcon. 

  43. Reys, B. J., Reys, R. E., & Rubenstein, R. N. (2010). Mathematics curriculum: Issues,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Reston, VA: NCTM. 

  44. Reys, R. E. & Yang, D. C. (1998). Relationship between computational performance and number sense among sixth and eight grade students in Taiwa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 225-227. 

  45. Sowder, J. T. (1992). Estimation and number sense.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project of the National Council oc Teachers of Mathematics (pp. 371-389). New York: Macmillan.. 

  46. Trafton, P. R. (1986). Teaching computational estimation: Establishing an estimation mind-set.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pp. 16-30). Reston, VA: NCTM. 

  47. Usiskin, Z. (1986). Reasons for estimating.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pp. 1-15). Reston, VA: NC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