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수능 모의평가의 이질성이 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 수학 영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Heterogeneity between Nationwide Coalition Scholastic Ability Evaluations and CSAT Mock Tests on School Education: Focused on the Mathematics Section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0 no.1, 2017년, pp.1 - 18  

양성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수능을 준비하는 대부분의 재학생들은 3학년 1년 동안 두 유형의 모의평가를 통하여 수능을 준비하게 된다. 시 도교육청 주관으로 제작 시행되는 4회의 전국연합학력평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수능 6월 9월 모의평가를 치르게 된다. 그러나 이 두 유형의 시험은 많은 유사성을 내포하는 동시에 상당히 이질적인 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 교육청에서 발표한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분석 및 통계 자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발표한 2017학년도 수능 6월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두 유형 간의 이질성을 난이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 소재 2개 고등학교 5학급 161명 학생들이 치른 4회의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와 6월 9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성적을 분석하여 응시집단 변화에 따른 재학생들의 수학 영역 성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전국연합학력평가의 개선점과 이와 동반되어야 할 교육정책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enrolled students arranging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prepare it through two types of mock tests during the year of the third grade. One type is Nationwide Coalition Scholastic Ability Evaluation(NCSAE) conducted four times by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와 2017학년도 수능 6월・9월 모의평가의 이질성을 난이도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서울 소재 지역 2개 고등학교 5학급 161명 학생들이 치른 4회의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와 6월・9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성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수능 모의평가의 난이도 편차에 대하여 표준점수와 원점수, 문항 정답률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난이도 편차가 학생 성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2개교 자연계열 2학급, 인문계열 3학급 총 161명(자연계열: 69명, 인문계열: 92명) 학생들의 수능 6월・9월 모의평가와 전국연합학력평가 수학 영역 성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 또한 서울 소재 2개 고등학교 5학급 161명 학생들이 치른 4회의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와 6월・9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성적을 분석하여 응시집단 변화에 따른 재학생들의 수학 영역 성적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전국연합학력평가의 개선점과 이와 동반되어야 할 교육정책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수능 모의평가의 난이도 분석과 학생 성적 분석을 통하여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생평가는 어떤 활동인가?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생평가는 학생의 학습 성취에 대한 교사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여 활용하는 활동이다(McMillan, 2007).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은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수능 모의평가를 통하여 자신의 학습 정도를 확인하고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2017학년도 대학 입학 전형에서 수시모집 인원은? 01.)의 발표에 의하면 2017학년도 대학 입학 전형에서 수시모집 인원은 248,669명으로 전년 대비 3.2%p 증가한 69.
3학년 1년 동안 두 유형의 모의평가를 통해 수능을 준비하는 데, 어떤 평가인가? 보편적으로 수능을 준비하는 대부분의 재학생들은 3학년 1년 동안 두 유형의 모의평가를 통하여 수능을 준비하게 된다. 시・도교육청 주관으로 제작되는 4회의 전국연합학력평가5)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수능 6월・9월 모의평가를 치르게 된다. 그러나 이 두 유형의 시험은 많은 유사성을 내포하는 동시에 상당히 이질적인 평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경기도교육청(2016.04.). 2016학년도 4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처리 통계 및 분석 자료. 

  2. 경기도교육청(2016.11.08.). 2017학년도 전반기 전국연합학력평가 출제본부 합숙 숙식 및 시설 임차 용역. 경기도교육청북부청사. 

  3. 경북일보(2016.01.21.). 경북대 정시모집 합격자 발표. http://www.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48484(검색일: 2016.11.29.) 

  4. 경희대학교(2016.03.29.). 2016학년도 논술우수자전형 논술성적 및 수능최저학력 충족률. 

  5. 고호경, 이현숙(2007). 고등학교 수리영역 시험의 난이도 예측 요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1), 113-127. 

  6. 교육부(2015.04.01.). 수능 출제오류 개선방안 보도자료. 

  7. 김재철, 김성훈, 김선희(2009). 문항배열순서가 변별도와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2(2), 409-427. 

  8. 남진영(2011).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13(1), 89-105. 

  9. 남진영(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211-229. 

  10. 김진구 외 33명(2016).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안정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CAT 2016-24. 

  11. 박문환(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 관련 변인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4(1), 71-88. 

  12. 박영용, 박윤정, 이헌수(2016).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고등학교 수학 학습 내용에 미치는 영향:문과계열 수학 성적 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2), 177-196. 

  13. 박진동(2011). 한국 근현대사 과목의 문항 난이도 특성 분석: 전국 연합학력평가(10월) 채점 결과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119, 29-56. 

  14. 서울대학교(2016.01.14.). 2016학년도 서울대학교 정시모집 선발 결과 보도자료.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15. 서울특별시교육청(2013.12.04.). 서울교육협의회 월간 주요행사계획 및 주요업무보고. 

  16. 서울특별시교육청(2016.01.).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수능 모의평가 포함) 연간 출제범위표(3학년). 중등교육과. 

  17. 서울특별시교육청(2016.03.). 201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분석 및 성적 통계. 

  18. 서울특별시교육청(2016.10.). 2016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분석 및 성적 통계. 

  19. 양성현, 이환철(2014). 고등학교 수학과 지필평가 문항 분석: 기하와 벡터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565-585. 

  20. 이광호, 고호경(2010). 고등학교 수학 문제의 난이도 요인 분석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323-343. 

  21. 이상하, 이봉주, 손흥찬(2007).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문항 난이도 예측을 위한 회귀모형 추정.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 46(4), 407-421. 

  22. 이정우(2009). 사회.문화 선다형 평가 문항 분석: 2004년-2009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답지 반응 분석에 근거한 문항 특성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16(4), 71-82. 

  23. 인천광역시교육청(2015.07.). 2015학년도 7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처리 통계 및 분석 자료. 

  24. 인천광역시교육청(2016.07.). 2016학년도 7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처리 통계 및 분석자료. 

  25. 장호성(2011). 大學修學能力試驗評價問項의 理論과 實際: 高三全國聯合學力評價漢文問項을 중심으로. 한문학논집, 32, 265-290. 

  26. 조대훈 (2011). 고부담 시험에 대한 세 가지 이야기: 미국 뉴욕시 공립학교 사회과 교사들에 대한 질적 연구. 시민교육연구, 43(4), 117-152. 

  27. 조성민, 김재홍, 양성현(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7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에 대한 의견 조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2), 169-186.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3.11.27.).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보도자료.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07.03.).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 

  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09.26.).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 

  31.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12.03.).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보도자료. 

  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06.25.).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09.24.).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 

  3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12.02.).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보도자료. 

  35.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a).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Q&A자료집. 수능 CAT 2016-3-2. 

  3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b). 수능 난이도 안정화에 대한 학교 현장의 인식. 연구자료 ORM 2016-46-3. 

  3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06.23.).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 

  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09.27.).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 

  3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12.07.).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보도자료. 

  40.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6). 2017학년도 대입정보 11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M 2016-01-692. 

  41.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6.05.01.). 2017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발표 보도자료. 

  42. 홍은지, 성태제(2015). 문항배열순서와 성별이 피험자 능력추정의 정확성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8(2), 361-379. 

  43. Marchant, G. J. (2004). What is at Stake with High Stakes Testing? A Discussion of Issue and Research. Ohio Journal of Science, 104(2). 2-7. 

  44. McMillan, J. H. (200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4th ed). Boston: Allyn & Bacon. 

  45. Michaela, M. (2012). Negative impacts of high-stakes testing. Journal of Pedagogy, 3(1), 82-1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