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Ways to Restructure Sci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1 no.2, 2021년, pp.145 - 154  

이일 (광명고등학교) ,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구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고교학점제 전면시행에 대비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선택과목 구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한 고등학교들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지역별로 분배하여 표집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2개 학교의 과학교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심도있는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12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129명(67.2%)의 과학 교사가 현행 2015 교육과정의 과학과 선택과목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현행 선택과목 체제 유지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II과목이 생활과 과학 등의 교양 과목 성격의 교과와 진로선택과목에 함께 묶여 있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과학과 선택과목 기피가 심화되었고, II과목은 진로선택과목임에도 수능 선택과목으로 포함되어 있어 교육과정과 수능의 연계성이 떨어진다고 교사들은 응답하였다.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선택과목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기존처럼 과학 I·II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도록 일반선택과목을 구성하여 과학영역별 전체 내용을 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학점제에 대비하여 학생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과학과 선택과목을 편성·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층면담 결과를 보면, 현재의 과학 I과목 체제는 과목 수가 적은 만큼 과학의 내용영역을 최대한 많이 접하게 할 수 있고, 물리학과 같이 개념의 위계와 체계가 중요한 과목은 쪼개기보다는 한 과목 안에서 중요한 내용을 다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현재의 I과목 체제에서는 문과 진로적성인 학생들이 선택할만한 과목이 없으며, 4개의 과목만으로는 선택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내용영역별로 과목을 세분화하자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취지를 고려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편성의 필요성, 진로적성을 막론하고 모든 학생들을 위한 과목으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을 구성하는 방안, 과학과 진로선택과목 구성 방안, 대입 제도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편성·운영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mposition of high school science elective courses ahead of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6)

  1. Choi, S., Kim, E., Kwon, O., Oh, C., & Park, K. (2008). A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and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high school science subject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2(1), 96-106. 

  2. Gu, W. (2013).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coverage and depth based on the analysis of conflicting issu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20), 285-305. 

  3. Hwang. G. (2004).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coverage and depth.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2(3), 1-25. 

  4. Hong, W. (2011). Policy efforts for autonomous and diversified school curriculum: Paradoxical results and potential alternativ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9(2), 23-43. 

  5. Jo, K., Choi, J., & Cho, H. (2012). High school students' opinions on choosing their academic track and elective courses for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6(3), 839-857. 

  6. Kang, H., Lee, I., Jin, S., Ahn, J., & Yoo, J. (2015). Physics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ontent relevance of the 2009 revised 'Physics I' curriculum and difficulties in teaching. New Physics, 65(2), 152-169. 

  7. Kwak, Y., Son, J., Kim, M. Y., & Ku, J. (2014).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21-330. 

  8. Kim, H. (2011). The recent revis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Direction, issues, and future challenge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77, 113-132. 

  9. Kim, Y. (2019). Reconstruction of earth science high school selective courses: Centered on the solid earth area. School Science Journal., 13(3). 283-302. 

  10. Kim, Y. & Kwak, Y. (2020). Research on reconstruction of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3(1), 40-52. 

  11.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2006). Research on diversification of general high school operating systems. RR 2006-4. 

  12.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KOFAC).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draft development research II -Science curriculum. BD15110002. 

  13.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1). Restructuring of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RC 2011-1. 

  14.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4).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PIM 2015-4. 

  15.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7).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id- to long-term high school curriculum for response to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directions and tasks of the learner-centered high school credit system. CRC 2017-9. 

  16.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8). A study on restructuring high school curriculum to adopt the credit system. RRC 2018-8. 

  17. Lee, B., & Chang, S. (2008). The effect of educational backgrounds in high school sciences on the achievement of college scienc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2), 191-210. 

  18. Lee, I., & Kwak, Y. (2020). Exploration of the status of course completion and ways to raise selection rates of general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2), 217-226. 

  19. Lee, M., & Han, S. (2018). History of Education, Science, and Physics of High School in Korea. Journal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43(2), 117-139. 

  20. Ministry of Education(MOE). (2014a). Restructuring integrated science and curriculum research. Policy Research Report. TRKO201600015970. 

  21. Ministry of Education(MOE). (2014b). Key point about overview of 2015 integrated national curriculum(draft). Press release. 

  22. Ministry of Education(MOE). (2017). High school credit system promotion direction and research school operation plan(draft). Press release. 

  23. Ministry of Education(MOE). (2018). Briefing of university entrance system reform in 2022 and high school education innovation plan. Press release. 

  24. Ministry of Education(MOE). (2021). 2025,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for engagement and growth: High school credit system master plan. Press release. 

  25. Moon, S., & Lee, S.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I, II, and the general chemistry, and college students cognition about the subjec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5(1), 112-123. 

  26. Shin, Y., & Kwak, Y. (2019).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1), 64-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