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 지원서비스 이용 및 서비스 요구도 관련 요인
Correlates of Prenatal Care Service Use and Service Need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4, 2017년, pp.77 - 88  

나현 (목포미즈아이병원) ,  전경숙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및 여성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prenatal care servic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by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 Methods : We employed data from the 2015 Nationwide Multiculturale Family Survey. We selected 19- to 39-year-old marr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의 결혼이주여성 대상 임신·출산관리 교육 및 지원서비스 이용과 서비스 요구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15년 「전국다문화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 지원서비스 이용 및 서비스 요구도를 파악하고 Andersen[12]의 의료이용 모형에 기초하여 주요 관련요인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의 주요정책의 하나인 임신·출산 지원서비스를 실질적 이용자인 가임기 여성을 대상에 국한하여 서비스 이용 및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 지원서비스 내용과 이용의 양적·질적 향상의 근거를 제공하고 있음에 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가족을 위해 정부가 한 노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비교적 단기간에 이민자가 증가하였기에 다문화사회 경험이 적고 이들을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제도 및 내용이 아직은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4]. 정부는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제정하고 결혼이민자가족의 사회문화적응 지원 체계로써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여성가족부 주관 하에 시·도에 거점센터를 두고 있으며 시·군·구별로 배치하여 2016년 현재 217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의 언어습득, 사회· 문화적응, 임신·출산·자녀양육, 가족생활 및 취업 등에 관한 교육 및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5].
결혼이주여성이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가장 큰 장벽은 무엇인가? 한편 결혼이주여성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벽은 언어적 문제인 것으로 확인된다. 즉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병원에 가는 것을 기피하거나[6] 병원에 가더라도 수동적이고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호소한다[7].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결혼이주여성에게 임신은 일반 여성이 임신으로 인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경제적 변화에 더하여 새로운 사회·문화에 적응해야 하는 부가적인 어려움에 직면함을 의미한다. 결혼이주여성의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tatistics Korea(2016), "Dynamics of Multicultural Population in 2015", http://www.index.go.kr/potal/main/PotalMain.do 

  2. H.R. Kim, J.Y. Yeo, J.J. Jeong, S.H. Baek(2012),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Social Affairs, pp.29-135. 

  3. 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2015), An Analysis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pp.131-161. 

  4. A.N. Kim, S.A. Choi(2012),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2);295-334. 

  5. 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2017), Healthy Families.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tegrated Service Project(I), pp.5-58. 

  6. G.H. Jeong, H.J. Koh, K.S. Kim, S.H. Kim, J.H. Kim, H.S. Park, Y.S. Lee, Y.R. Han, K.W. Kim(2009),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Vol.15(4);261-269. 

  7. K.W. Kim, G.H. Jeong(2013), Development of a Scale to Assess Immigrant Women's Needs for Pregnancy and Postpartum Adaptation,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Vol.19(4);242-253. 

  8. G.H. Jeong, K.W. Kim, K.E. Bae(2012),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of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16(2);157-169. 

  9. I.S. Jang, N.M. Hwang, M.S. Yoon, S.M. Park(2010),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on Anxiety and Stres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Vol.16(4);326-335. 

  10. Y.S. Jung, Y.D. Kwan(2017),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3);143-158. 

  11. S.H. Chung, Y.S. Kim, T.M. Yi, K.H. Ma, Y.J. Chio, G.P. Park, C.Y. Tong, J.M. Hwang, E.A. Lee(2016), An Analysis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p.580. 

  12. R.M. Andersen, J.F. Newman(1973),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Vol.51(1);95-124. 

  13. I. Hyman(2001), Immigration and Health. Working Paper 01-05, Ottawa, ON: Health Canada, p.5. 

  14. S. Reitmanova, D.L. Gustafson(2008), "They can't Understand it": Maternity Health and Care Needs of Immigrant Muslim Women in St John's, Newfoundland. Matern Child Health, Vol.12;101-111. 

  15. J.E. Seo, H.M. Choi(2012), Determinants of Family Counseling Service Utilization of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Vol.28(3);23-43. 

  16. B.D. Shon(2014),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on and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mong Foreign Spouses of Multicultural Famil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4);354-384. 

  17. K.S. Bang, B.Y. Hun(2011), Foreign Immigrant Mothers' Experience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ol.14(1);36-44. 

  18. G.M.A. Higginbottom, M. Morgan, Y. Chiu, M. Alexandre, D. Kocay, J. Forgeron, R. Barolia(2015), Immigrant Women's Experiences of Maternity-care Services in Canada: A Systematic Review Using a Narrative Synthesis, http://www.systematicreviews journal.com/content/4/1/13 

  19. H.S. Ryu(2016), Effect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s Discriminatory Experience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6(8);345-356. 

  20. S.J. Yang(2010), 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24(2);323-335. 

  21. H.O. Park, M.R. Park, Y.M. Chun(2015), A Study on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s in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7);4632-46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